1분기 성장률 -0.3%

지난 1분기 우리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3%를 기록했다. 분기 기준으로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3.3%) 이래 최저 성장률이다. 또 2017년 4분기(-0.2%) 이후 5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이다. 제조업 부진과 수출 급감이 ‘성장률 쇼크’의 진원지다. ‘반도체 효과’가 걷히면서 경제 취약성이 그대로 드러났고, 성장 지탱을 위한 재정 등 정부부문의 적극적 역할에 대한 요청이 커지고 있다. 부가가치 총생산이 감소로 돌아서면서 경기 후행지표인 고용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25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이 전분기 대비 0.3%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1.8% 성장하는 데 그쳤다. 항목별로 보면, 수출(-2.6%), 설비투자(-10.8%), 건설투자(-0.1%)가 지난해 4분기에 견줘 뒷걸음쳤다. 특히 설비투자는 1998년 1분기(-24.8%) 이래 21년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민간소비(0.1%)는 소폭 증가했다. 수출 급감에다가 제조업의 부가가치 생산 감소(-2.4%)가 성장을 마이너스로 끌어내렸다. 생산활동별로 1분기 전체 성장에 기여한 정도를 보면, 제조업 -0.7%포인트, 서비스업 0.5%포인트다.

한은은 분기 성장률 마이너스가 놀랄 말한 쇼크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수출과 반도체가 우리 경제에서 갖는 양면성을 이번 1분기 성장지표가 그대로 드러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우리 경제의 주요 성장 버팀목이지만 반도체 품목 하나에 절대 의존해온 수출의 구조적 취약성이 성장률 쇼크로 현실화했다는 것이다. 반도체 수출은 1~3월에 전년 동기 대비 21.3%나 감소했다. 이미 국제통화기금은 2017년 여름께 세계 경제가 순환사이클에서 정점을 찍고 하강 국면에 들어서 있다고 밝혔다.

독일·일본 경제 등은 지난해 3분기부터 성장이 크게 둔화한 반면 우리는 반도체 호황 사이클에 기대 버텨왔지만 연말부터 반도체 효과가 걷히면서 역성장까지 왔다는 분석이다. 특히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해 경기 후행지표인 고용에서 충격이 뒤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또 올해 초반 경기 둔화에 대한 막연한 비관이 실물생산활동 지표에서 ‘팩트’로 확인되면서, 그동안 1분기 지디피 속보치를 주시해온 기업·가계의 실망감이 퍼져 민간소비도 덩달아 부진에 빠져들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출처: 한겨레 (2019.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