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전경련, 보수단체의 돈줄과 배후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들이 탈북자들에게 일당을 주고 각종 친정부 집회에 동원한 것으로 드러난 데 이어, 그 돈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퇴직 경찰관 단체인 재향경우회에서 나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자발적인 참여가 아니라 돈으로 사람을 사서 만든 집회는 여론 조작의 명백한 폭력이다. 집회·결사의 자유를 왜곡하고 민주주의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짓이다. 그 돈을 전경련이 댔다면 경제권력의 노골적인 정치개입이다.

보수단체들이 연일 벌이는 집회에 대해선 진작부터 의구심이 있었다. 세월호 유족들을 조롱하고 공격하는 집회부터 경제활성화법 제정 촉구 집회,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비판 집회 등 각종 시국현안마다 발빠르게 연 수백 차례의 집회는 하나같이 박근혜 정부, 특히 청와대의 입장을 대놓고 편드는 것이었다. 자발적인 참여라기엔 믿기지 않는 집회 내용이나 시기, 방식도 의문이었거니와 그 비용이 어디서 나왔는지도 알 수 없었다.

예상대로 수상한 커넥션이 있었다. <시사저널>이 확보한 어버이연합의 집회 회계장부에는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102차례 연 세월호 반대 집회에 7618만원의 알바비를 들여 모두 3809명의 탈북자를 고용한 것으로 돼 있다. 엄마부대라는 단체도 탈북자들에게 돈을 주고 집회를 열었다는 증언이 있다. 돈의 출처도 나왔다.

JTBC 보도에 따르면, 어버이연합 차명계좌로 보이는 계좌에 2014년 9월부터 넉달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전경련 이름으로 1억2000만원이 입금됐다. 계좌에는 어버이연합 사무실 임대료 등이 나간 흔적이 있고, 탈북자단체에 2900만원이 송금된 기록도 있다. 동원된 탈북자들의 알바비로 보인다. 어버이연합은 계좌에 4000만원이 입금된 다음날인 9월6일 전경련이 강하게 요구하는 법안처리 촉구 집회를 열기도 했다. 인위적인 여론몰이의 명백한 정황이다.

돈줄이 드러났다면 그 배후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어버이연합이 탈북자들을 동원해 연 집회는 대부분 그때그때 박근혜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옹호하는 것이었다. 집회가 누구를 위한 것이었는지를 보면 그 윗선이 어디인지도 드러날 터이다.

출처: 한겨레 (2016.4.20)

‘탈북자 알바’ 시위, 국정원과 또 누가 배후인가

대한민국어버이연합 등 이른바 보수단체들의 ‘탈북자 알바 동원’ 의혹이 갈수록 요지경이다. 어버이연합은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았다고 시인했으나 청와대 지시 의혹은 한사코 부인했다. 해명이라지만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아 헛웃음만 나온다.

어버이연합이 권력의 비호를 받는다는 의혹은 더욱 짙어졌다. 어버이연합은 사무실 임대료도 제대로 못 낼 정도였다고 한다. 그런 단체가 2014년 7~8개월 동안의 세월호 유족 비난 집회에만 7618만원의 알바비를 썼다. 회비로 운영한다지만 자신들의 자료로도 월 회비가 고작 260여만원이니 아귀가 맞지 않는다. 2014년엔 전경련이 1억20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된 터다. 전경련이 누구의 요청으로 이 돈을 몰래 보냈는지 밝혀야 한다.

국가정보원과의 유착 흔적도 곳곳에서 드러났다. 어버이연합 간부들은 국정원의 서울시공무원 유우성씨 간첩조작사건 당시 유씨의 간첩 증거를 제공했다는 탈북자 김아무개씨에게 경비로 500만원을 줬다고 밝혔다. 김씨는 재판에서 어버이연합을 통해 국정원에 자료를 전달해달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어버이연합과 국정원이 밀접한 관계였음을 보여주는 정황이다.

어버이연합이 그동안 비상한 정보력과 기동력을 보인 것도 권력의 지원이 아니면 설명하기 힘들다. 평판사가 잠시 거주하는 원룸 주소나 주요 참고인의 검찰 출석 일정, 정치권의 급변하는 이슈 등은 일반인이 공개된 정보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는 게 아니다.

출처: 한겨레 (2016.4.22)

관련기사: 어버이연합과 전경련, 청와대 ‘검은 커넥션’ 의혹 총정리(한겨레 2016.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