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지난해 우리나라는 노인이 전체 인구의 14%를 웃도는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산연령인구(15~64살)도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전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지난 수십년간 경제성장을 이끈 ‘인구효과’가 앞으로는 한국 경제 최대 리스크 요인이 된 것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65살 이상 노인(내국인)은 712만명으로 2016년보다 34만명 늘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6%에서 14.2%로 커져, 고령사회 진입이 확정됐다. 지난해 총인구(외국인 포함)는 5142만명으로 전년(5127만명)에 견줘 0.3% 증가했다.
유엔 등 국제기구는 노인 비중이 7% 이상일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노인 비중이 7.3%에 이르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뒤 17년 만에 고령사회로 들어선 것이다. 통계청은 이런 이행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양동희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일본의 경우, 1970년 7%에서 1994년 14%로 고령 인구 비중이 늘어나는 데 24년이 걸렸다. 다른 나라에 견줘 급속한 속도로 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2026년에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추계된다. 미국, 영국 등이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기간이 100년 안팎으로 전망되는 데 견줘, 우리는 26년으로 단축되는 셈이다.
출처: 한겨레 (2018.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