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자산기준 재계 12위인 두산그룹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최장수 기업이다. 창업주인 매헌 박승직이 1896년 서울 종로4가 배오개(현재의 연지동) 인근에 포목점인 ‘박승직 상점’을 연 이래 118년을 이어왔다. 매헌은 보부상에서 출발해 재산을 모은 뒤 한국 근대기업의 출발을 이루었고, 1915년에는 우리나라 근대 화장품의 효시인 ‘박가분’을 만들었다. 매헌의 장남인 박두병 회장은 1946년 박승직 상점을 두산상회로 바꾸고, 1952년 일본 쇼와기린맥주를 인수해 동양맥주(현 오비맥주)를 설립하는 등 두산그룹의 기틀을 갖추었다.

지난 100여년간 두산그룹의 주력사업은 두차례 완전히 바뀌었다. 창업주 시절에는 포목점을 하다가, 2대 시절에는 이를 다 정리하고 식음료로 바꾸었고, 3대 때인 1996년에는 다시 식음료를 모두 정리하고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 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잇달아 인수해 중공업 그룹으로 탈바꿈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3조3천억원이었던 매출이 2013년 22조원으로 늘어날 정도로 두산의 구조조정은 성공적이었다. 박용만 회장은 “두산은 특정 회사나 사업(패밀리 비즈니스)을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사업을 하는 집안’(비즈니스 패밀리)이라는 전통을 물려받았다. 이 전통은 지금의 3세대에 그치지 않고 4세대 이후로까지 계속 지속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고 말했다

두산의 기업문화는 인화를 바탕으로 한 합리성 사고를 강조한다. 두산의 형제들이 그룹을 공동으로 경영하는 ‘형제경영’이 가능했던 것은 이런 오랜 전통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두산의 3세들은 장남인 박용곤, 차남인 박용오, 3남인 박용성, 4남인 박용현을 거쳐 현재는 5남인 박용만 회장이 그룹 총수를 맡고 있다. 2005년 발생한 이른바 ‘형제의 난’은 둘째인 박용오 전 회장이 이런 그룹 전통에서 벗어나 과욕을 부린 게 화근이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출처: 한겨레신문(2014.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