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서구강자들의 늑대정신 '화웨이'가 두렵다

지난 10월 엘지유플러스(LGU+)가 2.6㎓ 광대역 엘티이(LTE) 장비 공급업체로 삼성전자·노키아솔루션스앤네트웍스(NSN)와 함께 화웨이를 선정했다. 기존 운용중인 800㎒, 2.1㎓ 대역 엘티이 장비는 삼성전자·NSN·에릭슨엘지 세 회사에서 납품받았는데, 화웨이가 에릭슨엘지의 자리를 꿰찼다.

화웨이는 2000년대 중반 국내 시장에 진출해 유선장비들을 납품했지만 엘티이 장비 시장에 발을 딛기는 처음이었다.

그런데 얼마 뒤 <조선일보>가 화웨이 제품의 보안 문제를 거론하고 나섰다. ‘중국 정부로 통신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미국 등에서 사용을 금지한 화웨이 제품을 한국 업체가 쓰기로 해 논란’이라는 내용이었다.

엘지유플러스는 서울 상암사옥 데이터센터를 기자들에게 공개하고 “이동전화망은 폐쇄망으로 외부 접근이 불가능하고, 미국 등은 장비업체에 망 운용을 맡기지만 한국과 일본은 이동통신사가 직접 운용해 장비업체가 정보를 빼돌리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10여년 만에 ‘부동의 1위’ 에릭슨 밀어내

잠잠해지는 듯하던 ‘화웨이 논란’은 이달 초 다시 불거졌다. <월스트리트 저널> 등 미국 언론들은 로버트 메넨데즈 미 상원 외교위원장이 존 케리 국무장관, 척 헤이글 국방장관,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장한테 엘지유플러스의 화웨이 장비 도입을 우려하는 편지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편지에서도 보안 문제가 거론됐다. “화웨이가 한국의 엘티이 통신망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됐는데, 잠재적 안보 우려가 있다. 통신망 보안은 (두 나라) 안보동맹에 매우 중요한 문제다.”

이에 엘지유플러스는 8일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된 인증기관에서 화웨이 장비의 보안성 공인 인증을 받겠다”며 논란에 쐐기를 박고 나섰다. 그렇다면 정말로 화웨이 제품을 쓰면 통신 내용이 도감청돼 중국 정부로 흘러갈까?

일단 화웨이를 중국 정부의 스파이로 의심하는 미국 쪽에서 확실한 물증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정부 산하 보안 인증기관의 인증을 받았지만, 또다시 받겠다. 통신망 정보를 정부에 넘기는 것은 글로벌 기업으로서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는 화웨이 쪽 설명이 좀더 와 닿는다.

검증을 자처한데다 발각될 경우 시장에서 퇴출당할 수 있는 행위를 매출 수십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기업이 쉽사리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그 가능성을 100%라고 장담할 수 없고, 기술적으로 도감청이 불가능하다고 단언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한겨레신문 (201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