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 : SL28, SL34, RUIRU11, BATIAN
지역 : KIAMBU COUNTY
고도 : 1,732m
가공 : FULLY WASHED
플로럴, 라즈베리, 체리, 브라운슈거
커피체리 속에 두 개가 아닌 하나의 씨앗(생두)이 들어있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두 개 중 하나의 씨앗은 퇴화해 말라비틀어지고, 남은 하나의 씨앗이 살아남은 경우입니다. 커피 체리의 크기는 약간 작은 편이고, 생두의 경우 둥근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네. 일반적이지 않은 커피이죠. 하지만 일반적이지 않음이 아름답지 않음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이 커피가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오늘도 안녕히.
추출가이드
Dose 16g - Brew 240g (2’)
부어주는 물의 양이 240g이지 추출되는 커피의 양이 아님.
가진 게 많은 커피라 원두 양을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다소 텁텁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사실 원두의 양은 물 컨디션과 로스팅 컨디션에 따라 달라집니다. 텁텁하지 않을 정도로 원두를 줄여 주시고, 묽지 않을 만큼 늘려주시면 좋습니다. 추출 간격은 20초 내외로 빠르게 부어 주세요. 아주 근사한 차를 마신다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초반에 헷갈린 원인은 피베리를 AA 컨디션으로 볼 것인가 AB 컨디션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선택 문제였다. 마냥 작단 생각에 AB 기준에서 출발했던 것이 돌아가게 만든 원인이었던 것이다. 물론 피베리라고 모두 같은 조건은 아니겠지만 이번 경우만 보자면, AA에서 한발 정도 AB로 옮겨간 기분.(AA와 AB 사이에 열 발자국 정도 있다면) 어쨌든 케냐 피베리다. 음, 피베리 나무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같은 나무에서 드물게 나오는 것이 피베리다. 원래는 두 개의 씨앗(생두)이 커피체리에 들어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피베리의 경우 하나의 씨앗은 퇴화해 말라비틀어져 있고 하나의 씨앗만이 살아남은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피베리의 체리는 일반적인 체리보다 약간 작다. 이 부분이 궁금해 송 교수님께 여쭤봤는데, 아무래도 체리 상태보단 생두 상태에서 피베리와 플랫베리가 분류되는 모양이다. 꽤나 번거로울 것 같다. 피베리가 어떤 특별한 맛과 향을 내어 준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고, 반대로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라고 해서 맛과 향이 더 못하다고도 할 수 없을 것 같다. 피베리도 하나의 커피일 뿐.
2022년 9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