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의 형성은 그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학습의 역동성을 위해 중요하다.
생각을 나누고, 평가와 자기 평가를 하고, 다른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개인 연구의 목적을 집단의 목적들과 긴밀하게 연결짓는 역량은
각 개인과 집단의 학습에서 모두 필요한 조건이 될 수 있다.
미시적, 거시적 수준을 오가는 이러한 구조 내에서 어린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대한 강한 존중심과 부분적으로 공존하고
함께 더 복잡한 집단 이론을 만들어내는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면서 자신들의 이론을 비교한다.
<< 기록작업을 통한 학습의 가시화 : 개인과 집단 학습자로서의 어린이 >>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