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 헌장 (A Charter of Rights) - Loris Malaguzzi

어린이의 권리 (The rights of children)

어린이들은 개인적 권리, 법적 권리, 공민권, 사회적 권리를 가진 주체로서 인정받을 권리가 있다. 또한, 어린이들은 자신들의 경험의 원천이며 구성자로서, 나아가서는 또래들과 성인들, 아이디어들, 사물들, 그리고 상호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세상의 실제적이면서 가상적인 사건들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신들의 정체성, 능력, 그리고 자율성을 능동적으로 조직하는 참여자로서 인식되어질 권리가 있다. 이 모든 것은, 보다 나은 "세계 시민(citizen of the world)"을 창출하고 인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근본적인 전제이기도 하며 동시에, 모든 어린이들을 인정하고, 또한 개개의 어린이가 지극히 풍부하고 강하며 창의력과 잠재력을 갖고 태어났다고 믿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어린이들은 그들의 잠재럭을 인정받지 못하거나 저지 받게 되면, 흔히 돌이킬 수 없는 결핍과 괴로움을 겪게 마련이다.

이러한 사실을 참고로, 우리는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사회활동 능력을 소중히 하고, 애정과 신뢰를 받으며, 배우고자 하는 자신들의 욕구와 자신들의 잠재력을 확장시키고 실현해 낼 권리가 있다고 인정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삶에 관여하는 성인들이 서로 효율적으로 연대를 맺으면서, 필요하면 도와줄 준비가 항상 되어 있고 지식이나 기술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보다는 사고와 행위의 구성적인 책략을 찾아내는 것을 더 높이 살 때에 위와 같은 일이 더욱 더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권리가 모든 어린이들에게 해당되는 권리로서 인식된다는 사실은 보다 높은 수준의 인간다움의 징후이기도 하다.

부모의 권리 (The rights of parents)

공교육 체제에 자녀들을 믿고 맡긴 부모들은, 기본적인 원칙에 자발적으로 동조를 하면서, 자신의 아이들의 성장, 보살핌과 발달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다. 이는 부모가 권리를 양도해 버리거나 소외되는 것과 거리가 멀다. 오히려, 우리 교육 체제 안에서 항상 소중하게 생각되어 온 부모의 존재와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것이다.

우선, 학교는 부모와 긴밀하게 협동해 나가는 것이 어린이들의 보다 나은 안전과 행복을 위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모두 잘 인식하고 있다. 부모참여는 의사소통망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보다 풍부

하며 상호교류적인 지식을 얻게 할 뿐만 아니라 최선의 교육방법, 내용과 가치를 효율적으로 함께 추구하도록 이끈다. 그런데 우리 부모들은 대부분 젊고 서로 다른 분야와 직업,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

그리고 종종 서로 다른 민족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부모들은 공통적으로 시간적 여유의 부족, 생활비, 부모로서의 책임에 따르는 어려움, 그리고 자신들의 문제점, 특히 어린이들의 성장과 교육에 관한 문제점들을 찾아내어 토로하고 깊이 고찰해 보고 싶은 욕구 등에 시달린다.

학교와 부모가 협동적 경험, 즉,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선택한 합리적이고 유익한 상호교류적인 경험을 하는 방향으로 뜻이 모아지게 되면, 자족적이고 처방적인 교육이 얼마나 해롭고 잘못된 생각이며 그 대신 참여하고 함께 연구해 나가는 책량이 얼마나 도움이 되며 풍요로운지를 쉽게 느낄 수가 있다. 참여와 탐구는 사실상 우리 교육이론의 개괄적 개념을 요약해주는 두개의 용어이다. 이 두 용어는 어린이의 교육적 전망에 표함된 다른 모든 가치들과 더불어, 부모들과 교사들이 협동적으로 이해하게 되고 그 이해를 지속시키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권리 (The rights of teachers)

각 학교의 교사와 직원들은 교육적 내용, 목표, 실제를 결정하는 개념적 모델을 연구하고 준비하는 데에 기여할 권리가 있다. 교직원들은 교육조정관들과 지역사회 이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부모와 어린이의 권리'와 조화를 이루며, 그들 간에 열린 대화를 통해서 기여한다. 또한 교수법, 연구와 관찰 프로젝트 등을 함께 선택하면서도 기여하며, 경험 영역을 결정하고, 지속적인 교사 자율연수 및 일반 연수, 문화행사, 지역사회 운영과제 등을 통해 기여한다.

이러한 협력은 환경 조직과 매일의 학교 운영에도 해당된다. 이와 같은 다중적 상호교류 과정으로 이루어진 협동 네트워크는 개개인과 모든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능력을 제공받아 이루어지며, 항상 실험해보고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연구, 교육적 상호작용 그리고 경험과 삶의 모델이 되기도 한다. 이 모델은 학교와 가족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지식 구성과 재구성의 사회적 형태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강화시키며, 어린이들에게는 살아있고 자극적인 그리고 관계와 인지적 조정으로 가득한 자신들 세계의 욕구와 바람에 완벽하게 일치되는 그 무엇을 나타내주고 있다.

개개인 모든 교사들에게 있어서 이는, 의사교류를 향상시키고, 아이디어와 경험들을 비교할 수 있게 하여서 전문가적 평가의 도구를 풍요롭게 해주는 하나의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