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ricity
- CSF의 밀도(1.00059 g/L)에 대한 국소마취제용액의 밀도의 비율 (37° C에서의 density)
- CSF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면 hyperbaric, 낮으면 hypobaric, 같으면 isobaric
- Dextrose and sterile water 를 사용하여 국소마취제의 Baricity 조절
- Distribution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hyperbaric한 경우 spinal canal에서 중력에 의해 dependent region으로 퍼지고, hypobaric한 경우 nondependent regions으로 퍼져나간다.
- Hyperbaric : saddle block and unilateral anesthesia에 유용함.
- CSF volume
- volume작으면 block height 증가. Obese한 경우 CSF volume 작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음
- Age
- 노인에서 block 높이가 증가됨 : CSF비중 증가 & volume 감소
- Pregnancy
- lumbar lordosis의 변화. 복강내압 증가, progesterone에 의해 매개되는 신경 민감도 증가 등으로 height 증가됨.
- Position
- 10도 head-up으로 hyperbaric solutions이 퍼지는 것을 줄일 수 있으나 10도 head down은 마취약의 spread를 언제나 증가시키지는 못한다.
- lumbar lordosis를 직선으로 만들면 마취 높이 증가 (head down + flexion of hips)
- saddle block : 마취약 주입 후 sitting position 유지하는 경우 (sacral nerve roots만 마취됨)
- large dose주입시 앉아있어도 위쪽까지 마취되므로 주의
Reference
Miller’s Anesthesia, 8th edition, Ch.56, p1693-1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