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Application of ROTEM (rotational thromboelastometry), part 2
Case 4.
INTEM, EXTEM에서 MCF가 거의 정상이면서 FIBTEM에서 상대적으로 MCF가 높은 경우
→ 응고장애는 없으면서 throbocytopenia가 있는 경우로 CBC를 시행함. fibrinogen 수치가 높은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thrombocytopeina에도 잘 견디는 경향이 있음.
Case 5.
복합적인 haemostasia disorder로 EXTEM, INTEM에서 hyperfibrinolysis가 보이며 INTEM에서 heparin effect로 CT이 증가됨. APTEM에서 MCF의 감소는 fibrinolysis에 비해 clot 형성이 감소된 것을 의미하며, FIBTEM에서 zero-line은 fibrinogen 수치의 감소 혹은 polymerisation의 장애를 의미함.
→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hyperfibrinolysis에 대해 antifibrinolytic drug 투여 및 clot 형성 장애에 대해 fibrinogen이나 FFP를 투여함. clot 형성 장애가 지속되는 경우 platelet 투여를 고려함.
Case 6.
INTEM에서 CT의 심한 증가 및 HEPTEM에서의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 heparin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으로 그 반감기만큼 기다리거나 대항제인 protamine을 투여함.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FFP, fibrinogen, platelet 투여를 고려함.
References
Guide ROTEM analysis, 08-2013, p1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