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Massive blood transfusion
Definition
환자의 whole blood 양의 1~2배를 수혈할 때를 정의, 보통 10~20 unit에 해당함
Mechanism
Coagulopathy
- 대량 수혈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출혈의 가장 많은 원인은 dilutional thrombocytopenia
- 또한 응고인자의 significant dilution도 발생할 수 있음
- coagulation study 및 platelet count를 보면서 platelet과 FFP 수혈 유무를 결정할 수 있음
- 수술 중 routine coagulation test (PT, aPTT, INR, platelet count, fibrinogen 등)을 추적관잘 해야함
- resusctation, LT, cardiac sugery를 받는 환자에서는 viscoelastic analysis of whole blood clotting (thromboelastography, rotaion thromboelastometry 이나 Sonoclot analysis) 가 유용할 수 있음
Citrate toxicity
- citrate presevative에 의한 calcium 결합이 hypocalemia 유발할 수 있음
- 건강한 사람에서는 cardiac depression을 유발할 정도의 hypocalemia는 5분에 1 unit 이상의 속도로 수혈하지 않는 이상 잘 발생하지 않음
- citrate metabolism은 주로 간에 의하기 때문에 간기능 이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특히 hypothermic한 경우) hypocalcemia 초래되어 보충이 필요해질 수 있음
- parathyroid-Vit D 기능 이상의 환아에서도 마찬가지임
Hypothermia
- 대량수혈을 하는 경우 blood product warming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 30도 이하의 체온에서 ventricular arrhytmia가 fibrillation으로 진행될 수 있음
- RIS 사용은 cardiac resusctation을 요구할 정도의 hypothermia의 발생을 감소시킴
Acid-Base balance
- 저장된 blood product는 citric acid anticoagulant 및 RBC 대사산물인 CO2와 lactic acid의 영향으로 산성을 띰
- 하지만 수혈로 인한 metabolic acidosis는 흔하지 않는데, 이는 citric acid와 lactic acid는 정상적인 간에서 bicarbonate으로 빠르게 대사되기 때문임
- 대량수혈에서 산-염기 상태는 tissue perfusion, 수혈의 속도, 그리고 citric acid 대사에 크게 영향을 받음
- tissue perfusion이 정상으로 복구되면 어떠한 metabolic acidosis라도 교정됨
- 수혈 및 수액으로 인한 citrate 및 lactate가 간에서 bicarbonate으로 대사되면서 metabolic alkalosis가 발생할 수도 있음
Serum Potassium Concentration
- 저장된 blood내의 ECF의 potassium 농도는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함. transfusion 각 unit에 있는 potassium 농도는 4mEq 이하임
- 100mL/min 이상의 속도로 수혈시 hyperkalemia는 blood product의 나이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음
- 수술 후 hypokalemia는 metabolic alkalosis와 관련하여 흔하게 생길 수 있음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