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postoperative delirium
postop delirium
Prevalence
- 수술받은 노인 환자의 10%
- ICU입원환자의 60 ~80%
Definition
- Acute confusional state with alterations in attention and consciousness
Diagnostic criteria
-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 Change in cognition (disorientation 등)
- Disturbance가 짧은 시간에 진행되고 (hr to day), 진행되는동안 fluctuation이 있음
- Hx, P/E, Lab등 general condition에서 delirium의 risk factor가 있음
Risk factor
- 65세 이상, 남자
- 인지/기능 장애 , 우울증, 감각기관 장애 (특히, 시각, 청각)
- Oral intake의 저하
- Drugs : 다량 복용, 알콜중독, 진정제, 항콜린제, opioids
- 동반질환 : Severe illness, 신경과적 질환
- 수술의 종류 : High risk (ASA guideline), OS 수술
- ICU care, Pain, Immobility, Poor condition
- 마취의 종류 (regional vs general), 수술중의 hemodynamic complications은 큰 연관이 없음
Prevention
- 고위험군에서 예방적 antipsychotics 복용 (Both haloperidol and the atypical antipsychotics)
- Neuropsychiatric disorders의 치료약물의 지속적복용
- Metabolic and electrolyte disorders 교정
- Delirium을 일으킬수 있는것으로 알려진 약물 제한
- 부위마취의 경우 마취깊이를 얕게한다
Treatment
- Initial dose of 1 to 2 mg of haloperidol
- 0.25 ~ 0.5 mg every 4 hours for maintenance dosing in elderly patients
- Persistent agitation시 더 높은 농도의 haloperidol 을 사용해도 좋다
- Side effect : Prolonged QT-interval & extrapyramidal side effects에 유의.
Reference
Miller’s Anesthesia, 8th Ed. Ch80, P 2803-2805
Postoperative delirium in the elderly: diagnosis and management
: Clin Interv Aging. 2008 Jun; 3(2): 35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