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Indication
CVP monitor, hypovolemia/shock에서 fluid나 drug 주입, TPN 경로, air emboli 제거,
transcutaneous pacing lead 삽입, poor peripheral vein access, ScvO2 monitor
Contraindication
- Relative CIx : cannulation 중 막힐 수 있는 tumor, clot, TV vegetation
- subclavian catheter는 anticoagulant 복용중인 환자에서 특히 피해야하는데 이는 출혈시 직접적인 compression이 불가능하기 때문임
- 이전에 carotid endarterectomy를 시행한 쪽에서도 피함
Technique & Complication
- central venous cannulation 시 catheter tip을 SVC와 RA 경계 바로 위쪽으로 위치시킴
- thorax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호흡에 따라 CVP가 증가 혹은 감소하므로 pressure는 호기말에 측정되어야함
- 다양한 곳이 cannulation에 이용될 수 있음
- subclavian vein은 insertion시 pneumothorax의 위험이 있지만 오랫동안 가지고 있을 때 생기는 다른 complication risk는 감소함
- Rt. internal jugular vein으로 insertion시 접근성과 안정성이 향상됨
- Lt. internal jugular vein으로 insertion시에는 pleural effusion과 chylothorax의 위험도가 높음
- femoral vein으로 접근하는 경우 lin-related sepsis의 위험성이 있음
- guidewire를 이용한 셀딩거 테크닉이 흔하게 쓰임
Relative rating of central venous access (좋을수록 왼쪽)
- ease of cannulation : basilc > internal jugular > femoral = external jugular > subclavian
- long term use : subclavian > internal jugular > external jugular > basilic > femoral
- success rate of pulmonay artery catheter placement : internal jugular > subclavian > femoral > basilic > external jugular
- complication (술기관련) : basilic > external jugular > femoral > internal jugular > subclavia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