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Potassium cardioplegia
Mechanism
- CPB 및 aortic cross clamping에 이어 potassium이 풍부한 cardioplegia 용액을 투여 →
ECF내 potassium증가 → transmembrane potential 감소 → diastole기 heart 정지 초래
- potassium 농도 10~40mEq/L, sodium 농도<140mEq/L (허혈은 sodium 농도 증가를 초래), calcium 농도 0.7~1.2mmol/L 필요 (세포구성 유지 위함), 그 외에 Magnesium, bicarbonate 등
Application
- 점차 씻겨지므로 30분마다 반복투여해야함
- reperfusion 전에 potassium이 감소된 용액을 투여하여 축적된 대사 산물을 제거 해야함
- hypercalcemia 및 acidosis, hypoxia도 미리 교정되어야함
- 부적절한 심근 보호 및 cardioplegia 용액의 잔존은 bypass 말기에 asystole, AV conduction block 이나 심장 수축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음
References
Morgan & Mikhail’s Clinical Anesthesiology, 5th edition, Ch. 22, p44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