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Chest compression during CPR
Background
- Chest compression은 intrathoracic pressure를 증가시키거나 직접 심장을 압박함으로써 blood flow를 공급하는 것
- CPR 잠깐 동안은 cardiac pump에 의한 공급이 더 많음
- 기간이 길어질수록 thoracic pump가 더 중요해짐
- 뇌와 심장으로의 effective perfusion은 50%의 기간은 compression을, 50%의 기간은 이완을 해주면서(allowing blood return to the chest and heart) 달성될 수 있음
- compression시 손은 sternum의 lower half에 위치시킴
- 성인에서 4~5cm 깊이, 소아에서 2~4cm 깊이로 해줌
- 신생아에서는 둘째, 셋째 손가락으로 nipple line에서 손가락 한개 두께 아래 위치에 1.5~2.5cm 깊이로 해줌
- 30:2의 비율로 분당 100회 (신생아에서는 분당 100회 이상으로), 3~4초는 2 breath에 할당
- Chest compression의 적절성 평가
- PetCO2>10mmHg : compression 중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갑자기 상승하여 지속되는 경우 ROSC를 의미
- ScvO2>30%
- Arterial pulsation (동맥이완기 혈압 >20mmHg 동반)
Reference
Morgan & Mikhail’s Clinical Anesthesiology, 5th edition, Ch.55, p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