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디지털미디어학과 김동균
디지털미디어학과 송영주
디지털미디어학과 송현수
디지털미디어학과 이민훈
디지털미디어학과 주민규
<팀원별 활동내용>
김동규
- CS231n 강의를 수강하고 그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ML/DL의 기초 개념과 응용 능력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Transformer 계열의 주요 논문인 Attention is All You Need와 BERT를 리뷰하여 딥러닝에서의 최신 모델 구조와 아이디어를 분석한다. 더불어 음성 및 Vocoder 계열 논문인 WaveNet, WaveGAN, Parallel WaveNet, Parallel WaveGAN을 중심으로 리뷰를 진행하여, 음성 합성 및 생성 모델의 구조적 특징과 동작 원리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송주영
- SQLD 기출 문제 풀이와 심화 해설 분석을 통해 실전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Oracle SQL 기반으로 DML, JOIN, 서브쿼리, 집계 함수, 윈도우 함수 등을 활용한 심화 쿼리 작성 연습을 수행한다. 또한 Python을 활용하여 CSV와 Excel 데이터를 로딩하고, 결측치 처리, 정규화, 파생 변수 생성을 포함한 전처리를 진행하며, Matplotlib과 Seaborn을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주요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송현수
- nrf52833 보드를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하며, SDK에 포함된 기본 예제 코드를 분석하면서 RTOS의 개념과 동작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UWB를 활용한 거리 측정 관련 논문을 리뷰하여 기술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민훈
- 활동 초반에는 블렌더에 집중해서 학습했다. 1주차에는 기본적인 UI를 학습하면서 툴을 익힐 기반을 다졌다. 그 이후로는 컵, 의자, 서브컬쳐 캐릭터와 같이 실전에서 모델링을 해보면서 툴에 익숙해지고 의식하지 않아도 단축키와 UI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결과적으로 꽤 퀄리티 있는 결과물을 낼 수 있었다. 어느정도 블렌더가 익숙해지고 난 이후로는 After Effects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초반에는 블렌더의 서브컬쳐 캐릭터 얼굴 마무리와 더불어 UI, 간단한 실습을 병행하며 간단한 모션 그래픽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공부했다. 막바지에는 실제 영상과 소스 등을 활용하여 영상 합성, 트래커 등 실제 업무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학습했다.
주민규
- Java의 정석(남궁성)을 교재로 삼아, 1편의 모든 내용을 학습함. (기초적인 자바 언어의 코드와 클래스 들과, 객체지향프로그래밍 파트, 예외처리등 까지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쪽에서의 백엔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더해서, 해당 학습을 기반으로 매일 백준 문제풀이를 2문제 이상씩 하며, 구현 및 자료구조 등 java언어를 조금 더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풀스택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기초적인 프론트엔드 언어대해서도 조금이나마 학습하였다. 기초적인 HTML언어로 레이아웃, 웹사이트의 기능들을 알아보았고, CSS를 통해 조금 더 간결하게 웹사이트를 시각화하는 법을 배웠다.
<팀원별 최종성과>
김동규
- 이번 활동을 통해 ML/DL의 기초 개념과 구현 능력을 습득하고, 주요 모델들의 수학적 원리를 이해하게 된다. 또한 음성 및 Vocoder 기반 모델들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파악하여 음성 합성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기른다. 아울러 Transformer 계열 논문의 핵심 아이디어를 습득함으로써 최신 딥러닝 연구 동향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실험적 접근과 연구 확장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송주영
- SQLD 핵심 개념을 숙지하고 단일/복수 행 서브쿼리, JOIN, 그룹핑, 윈도우 함수, CTE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쿼리 작성 능력을 갖추게 된다. 더불어 모의 문제 풀이를 통해 실수를 줄이고 실전 감각을 강화하여 SQLD 시험을 자신 있게 준비한다. Python 기반 데이터 분석 실무 능력도 향상되며, 이를 통해 SQLD 자격증 시험(8/23)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합격을 달성한다.
송현수
- RTOS와 usb, ble, uart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학습하고, 연구 진행의 방향성을 수립하며 논문 작성 방법을 습득한다. 나아가 RTOS와 UWB를 활용하여 두 보드 간의 정밀한 거리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펌웨어를 개발한다.
이민훈
- 신청서 작성시의 목표는 이 둘을 활용한 3D 모션 그래픽을 완성하는 것이었다. 최종적으로 블렌더와 After Effects를 동시에 활용한 결과물을 완성하지는 못했지만 각각의 툴을 개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모각소 활동을 통해서 아예 처음 접하는 툴 두 개를 개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다. CG 관련 수업과 모션 그래픽 관련 수업의 과제 등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되었다.
주민규
- 초기에 계획했던 것처럼 백준을 처음 시작하여, 모각소 활동 기간동안 약 110개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를 통해 실버2 티어를 달성하는데 성공하였다. 교재(Java의 정석) 또한 두편 중 한 편의 분량을 모두 학습하였다. 중간에 남는시간을 통해 추가로 풀스택 개발자로 발전하기 위한 프론트엔드의 기초적인 부분을 배워 HTML과 CSS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팀원별 향후계획>
김동규
- 앞으로는 MelGAN, HiFi-GAN 등 Neural Vocoder 계열의 논문을 추가적으로 리뷰하여 최신 음성 합성 모델들의 발전 과정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2025학년도 2학기에는 기계학습과 인공지능 수업을 수강하여 이론적 이해를 더욱 강화한다. 나아가 음성 관련 데이터셋을 직접 분석하고 실험적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학습한 이론과 모델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경험을 쌓고 연구 역량을 확장한다.
송주영
- QLD 자격증 취득 이후에는 실무에서 SQL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대규모 데이터 처리, 성능 최적화, 복잡한 쿼리 작성 역량을 강화한다. 또한 Python 기반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확장하여 공공 데이터셋과 Kaggl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통계 분석과 머신러닝 기초 모델을 학습 및 적용한다. 나아가 SQL과 Python을 연계하여 데이터 분석 전체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분석·시각화·인사이트 도출·자동화까지의 과정을 실습한다. 장기적으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AI/ML, BI 시스템 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송현수
- RTOS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저전력 실시간 최적화를 연구하고, 정밀 거리 측정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비 개발로 확장한다. 더불어 컴퓨터 비전, 머신 러닝, ROS를 학습하여 로봇 및 자율주행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연구 역량을 고도화한다.
이민훈
- 이번 모각소 활동을 통해 익히게 된 툴들을 활용하여 완성하지 못한 3D 모션그래픽을 완성하고 싶다. 다가오는 2학기에는 더 나아가서 CG와 영상 합성 등을 더 공부하고 단편 3D 애니메이션을 구현하는 것이 내 목표이다. 또한 3D 모델링의 후속 작업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retopology를 해주는 툴인 Zbrush도 함께 학습하며, 퀄리티 있는 3D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공부할 계획이다.
주민규
- 현재 달성한 백준 티어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닌 이제는 조금 더 심화적이고 객체지향적인 부분만이 아닌 자료구조, 알고리즘 구현 까지도 더 깊게 파 학기 중에 조금씩 풀어내어 올해 내로 골드 티어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잡겠다. 더해서, 프론트엔드 부분에서는 빠른 시일내에 GTQ를 취득해놓고, 겨울방학 이전에 javascript 를 어느정도 다룰 수 있게 하여, 겨울방학에는 React까지 다루어 하나의 웹사이트를 만드는 미니 프로젝트를 만들어볼 계획이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