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강수빈
소프트웨어학과 권세빈
소프트웨어학과 한지원
<팀원별 활동내용>
강수빈
저는Inflearn에서 김영한 님의Spring 강의를5차례 동안 수강하며, 회원 관리, 주문 처리, 등급에 따른 할인 기능을 구현하는 도메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처음에는Spring의 기능을 배제하고 순수 자바로 도메인을 설계하고 구현했으며, 이후Spring을 활용하여 동일한 도메인을 재구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Spring의 원리와 역할과 구현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Intellij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유용한 단축키들도 익혔습니다.
또한,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추가적인 지식을 얻기 위해 외국의Article을 찾아 직접 해석하고 적용해보았습니다.
권세빈
이번 방학 동안, 김영한의 스프링 핵심 정리 기본편을 통해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초 개념과 구조를 학습했다.
스프링의DI(Dependency Injection), IoC(Inversion of Control),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등 핵심 개념을 이해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익혔다.
또한,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를 통해 구글의 엔지니어링 문화와 개발 프로세스를 탐구하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원칙과 철학을 배웠다.
지속 가능한 코드 작성과 소프트 스킬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테스트와 코드 리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한지원
매주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이를 활용한 미니 게시판 예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스프링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패턴 등 스프링의 핵심 요소들을 실습했습니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이론적인 개념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며, 실무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학습을 진행하면서 예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코드를 개선하고, 스프링의 구조적 이해를 깊이 있게 다지는 데 주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점진적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갔습니다.
<팀원별 최종성과>
강수빈
이 강의를 통해Spring 프레임워크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프로젝트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지식을 습득했습니다.
특히, 순수 자바로 개발한 도메인 로직을Spring을 이용해 재구현하면서Spring의DI(의존성 주입), AOP(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와 같은 주요 개념들을
실습을 통해 확실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Intellij의 다양한 단축키를 활용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권세빈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초 개념을 학습하고, DI와AOP 등의 개념을 이해 할 수 있었다.
구글의 개발 프로세스와 코드 리뷰, 테스트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며, 향후 프로젝트에서 품질 관리의 핵심으로 삼기로 했다.
지속 가능한 코드 작성 능력을 강화하며,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코딩 습관을 들였다.
또한, 소프트 스킬을 개발하여 팀 내에서의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복잡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해결하는 능력과 함께, 리더십의 필요성을 느꼈다.
한지원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미니 게시판 예제를 성공적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스프링의 주요 구성 요소인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의 역할과 상호 작용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이 실무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작동하는지를 경험하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실질적인 활용 방법을 익혔습니다.
결과적으로, 스프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얻은 성과는 향후 복잡한 프로젝트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팀원별 향후계획>
강수빈
앞으로는 더 복잡한 도메인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 볼 계획입니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도입하여 확장성 있는 시스템을 설계해보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Spring Boot와Spring Cloud를 활용한 대규모 시스템 개발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할 예정입니다.
또한, Spring과 연계된 최신 기술 스택(JPA, Redis, RabbitMQ 등)을 학습하여, 실무에서의 적용 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권세빈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초 개념을 더욱 심화하여, 실무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을 계속할 예정이다.
구글의 개발 프로세스를 참고하여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자동화와 코드 리뷰 프로세스를 실천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최신 기술 트렌드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꾸준히 공부할 것이다.
또한, 팀워크와 의사소통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조금 더 수월 할 수 있도록 노력 할 것이다.
한지원
향후에는 현재의 미니 게시판 예제를 더욱 발전시켜 심화 프로젝트로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 파일 업로드 기능, 페이징 처리 등 고급 기능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기능 추가를 통해 스프링의 다양한 기능들을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하고, 실제로 적용해 볼 것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스프링 학습을 통해 최신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무에서의 활용 능력을 더욱 강화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나가고자 합니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