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사학과 김주희
소프트웨어학과 김나영
이제이 행정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임세현
소프트웨어학과 채범수
<팀원별 활동내용>
김주희
인프런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를 통해 Spring에 대한 기본 지식들을 얻을 수 있었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및 실습’ 과목의 연장선으로, java 언어도 공부했고, UML 도메인을 활용하여 클래스 구조를 생각해보고 코드까지 작성하는 과정도 복습할 수 있었다.
백준 알고리즘 문제를 통해 ‘자료구조’ 과목에서 배운 알고리즘을 복습했다.
매주 모각소를 진행하며 내가 공부했던 것들을 노션에 다시 한 번 정리하며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고, 서로 공부한 것들을 공유하며 피드백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김나영
바닐라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여러 반응형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며 또한 리액트 문법과 활용법을 공부한 후 리액트를 이용한 웹 앱을 개발해보았다.
UI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CSS 문법을 조금 더 깊이 공부하였으며 나아가 부트스트랩까지 활용해보았다.
이제이
동계 모각소 활동을 통해 HTML의 구조와 간단한 문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또한 방학 동안 ADsP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자격증 공부를 하였으며, 자격증 시험을 보았다,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책 완독을 하였다.
머신러닝에 대해 심화적으로 알 수 있었다. 매주 스터디원들과 퀴즈를 만드는 과정이 깊은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공모전에 나가 K-means 군집화 기법을 통해 녹지대 최적의 위치 선정을 진행했으며,
네이버커넥트 재단에서 진행하는 소프트웨어야 놀자 새싹캠프 참여를 통해 교육봉사를 진행했다.
임세현
알고리즘 강좌 시간에 배운 내용과 강의 노트를 참조하고 및 블로그를 찾아가면서 주요 알고리즘 개념 및 예시 코드 등을 정리하고 실제로 백준 문제들을 풀어가면서 적용했다. 자바의 정석 책을 완독 후 주요 개념을 깃허브에 정리하고 김영한 자바 스프링 강의를 수강했다.
채범수
처음은 무료로 동영상 강좌를 제공하는 생활 코딩에서 웹 개발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나 너무 기초적인 것만 배우고 구현해보는 과정이 빠져 있어서 HTML, CSS까지만 배우고 JS는 공식 웹사이트인 mdn web docs의 튜토리얼을 따라갔다.
<팀원별 최종성과>
김주희
Spring 핵심 원리에 대해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졌고, Spring 툴을 활용해 간단한 게시판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았다.
인프런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를 통해 Spring에 대한 기본 지식들을 얻을 수 있었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및 실습’ 과목의 연장선으로, java 언어도 공부했고, UML 도메인을 활용하여 클래스 구조를 생각해보고 코드까지 작성하는 과정도 복습할 수 있었다.
김나영
리액트라는 라이브러리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바스크립트 문법 또한 복습할 수 있었다.
또한 리액트 템플릿을 활용하는 방법 또한 알게 되어서 그러한 템플릿 내에 있는 여러 파일들의 역할 또한 공부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리액트를 이용하여 간단한 투두 앱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제이
머신러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었다. HTML의 간단한 구조와 문법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분석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공모전과 해커톤 경험을 통해 프로젝트를 잘 진행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임세현
알고리즘을 정리하면서 해당 개념을 적용한 코드를 참조 없이 구현하면서 문제를 풀이할 수 있게 됐고 백준 문제를 70~80문제 정도 풀면서 골드1을 달성했다.
자바 문법을 다시 정리하면서 예전에 헷갈렸던 인터페이스, 람다, 제네릭 등의 개념을 확고히 익히고 객체지향을 익히며 자바 스프링 기초강의를 완강했다.
채범수
프론트엔드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배웠다. 이번에 공부하기 전까진 HTML과 CS, JS의 존재만 알고 있었고 그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몰랐는데
이번 기회에 그것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웹페이지를 형성하는지 배웠고 실습을 통해 체화했다.
<팀원별 향후계획>
김주희
알고리즘 문제풀이로 골드1을 달성하여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확실하게 익히고 싶다. 또한 백엔드 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고,
인프런<스프링 핵심원리 – 심화편>까지 강의를 확장하여 Spring 공부를 더 확실하게 해나갈 예정이다.
2024학년도 2학기의 파란학기에 참여하여 공부한 것들을 활용해볼 예정이다.
김나영
현재 제작한 앱은 아주 간단한 기능만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기능을 고도화하고 최적화해보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컴포넌트를 분리하는 작업도 진행해볼 계획이다. 하지만
향후 코딩테스트를 위해 웹 프론트엔드 개발뿐만 아니라 알고리즘 스터디도 병행하여 백준, 프로그래머스 문제,
특히sorting 알고리즘, bfs, dfs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계획이다.
이제이
HTML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분석 직무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해당 직무에 필요한 조건들을 맞춰나갈 생각이다.
sqld와 같은 데이터 분석 자격증을 취득할 예정이다.
임세현
스프링 강의를 더 들으면서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웹 프론트엔드의 기초 지식을 공부할 예정이다.
백준 알고리즘 문제를 꾸준히 1일 1문제 정도 풀면서 알고리즘을 까먹지 않게 꾸준히 학습하면서 3-1까지 배운 CS 지식을 깃허브에 총정리 할 예정이다.
채범수
처음 목표였던 웹서비스 완성을 위해서 풀스택 웹개발을 향해 계속 배울 것이다.
next.js를 이용하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까지 동시에 다룰 수 있으므로 다음은 next.js에 대해 공부하여 나만의 웹서비스를 제작할 것이다.
또한 원래 관심 있던 분야인 양자컴퓨팅을 xanadu quantum codebook을 이용해 공부해볼 예정이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