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고기호
소프트웨어학과 곽민서
소프트웨어학과 김휘래
소프트웨어학과 정혁준
<팀원별 활동내용>
고기호
- 연구실의 새로운 서버 구성을 맡게 되어 서버에 대해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Docker 와 Docker compose 등 자동화 툴에 대한 공부와 개인 Git 서버 구성, TLS 와 암호화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이를 통해 서버의 모식도를 완성했습니다. 또한 2025-2학기 자기주도연구 프로젝트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먼저, 연구 주제인 ‘셀룰러 통신과 PC5 통신’ 에 대해 논문 및 표준 문서(3GPP)를 통해 심도 있는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ns-3(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통해 이기종 통신에 대한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QUIC 프로토콜을 적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QUIC ns-3 코드의 버전 호환성 문제와 논리적 오류를 발견했으며, 이를 수정하여 안정적인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추후 MPQUIC(Multi-Path QUIC)으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추가로 프로토콜, TCP/IP 5-layer에 대한 학습도 같이 진행했습니다. 자기주도연구의 성능 지표를 도출해내기 위해선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영상 인코딩 기법인 H.264와 H.265(HEVC)에 대한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곽민서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서적을 통해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기본기를 익혔습니다. 이후 ‘매일메일' 이라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자바스크립트와 더불어 웹 개발까지 확장하여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소프트웨어학과 소학회 ’한터' 에서 진행하는 CC(Coding Crew)를 통해 매주 알고리즘 2문제 출제 및 4문제 풀이를 진행했습니다. 8월에는 CC크루 비중을 줄이고 ‘Do it! 알고리즘 테스트 with 파이썬’ 서적을 이용하여 본격적인 코딩 테스트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SQLD, 네트워크 관리사 자격 시험을 응시했으며, 관련 문제집과 인터넷에 나와있는 기출 문제들을 통해 시험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AWS에 대해 학습하고자, 기본 개념부터 배워나가기 시작했습니다. EC2 인스턴스, 네트워크 및 EBS, 보안, VPC 등에 대해 학습한 후, AWS를 직접 다뤄보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실습에서는 IAM, S3, RDS 등을 다뤄보며 AWS의 전반적인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김휘래
-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라는 개발 서적 2권을 학습하며 정리한 내용과 추가 자료를 조사하여 노션에 기록했습니다. 대규모 분산 처리 프레임워크(Hadoop & Spark)에 대한 학습을 통해 빅데이터 분산 시스템의 핵심 기술에 대한 이론 학습 및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Airflow를 통한 워크플로우 관리, 벌크형/스트리밍형 데이터 수집, Kafka 이론, Spark Streaming, Kafka Pro/Con 구조에 대한 학습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스트리밍에 대한 이론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 및 구축을 직접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Git, AWS, Ansible 을 활용한 개발 환경 구축, AWS 네트워크, AWS S3 및 RDS(MySQL)에 대한 인프라 학습과 Test Double, 테스트 방법론, Spring 예외 처리에 대한 학습을 통해 백엔드 전반에 대해 이해했습니다. 또한 Spring boot를 활용한 Openstack 기반 클라우트 콘솔 제작을 진행했습니다. 위의 학습들에 기반하여 분산 시스템 설계 및 데이터 마트의 구축을 바탕으로 실제 기업(Netflix, 토스)들의 데이터 흐름 기준 시스템 설계를 분석했습니다.
정혁준
- 연구실 하계 인턴을 진행하면서 Federated Active Learning 논문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Federated Learning, Active Learning, Uncertainty Quantification 주제 관련 핵심 논문들을 선정하여 이론적 배경, 주요 기법, 한계점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이후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프로젝트 팀원 , 멘토님과의 논의를 통해 논문 제안 기법을 구상했습니다. 또한 제안 기법의 성능을 증명하고자 실험 환경 설계을 진행했습니다 선정한 Baseline 대비 성능 우위를 증명하기 위해 FAL 시스템을 구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PyTorch, Flower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실험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지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실험 환경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가상 환경을 구축하고 모델 코드 및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팀원들과 Git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워 버전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드 충돌 등의 문제들을 해결해 나갔습니다. 또한 HPC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MPI, CPU Computing, 그리고 Job Sheduler 등 핵심 요소들의 개념과 작동 방식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팀원별 최종성과>
고기호
- 서버 구성을 위한 Docker 파일 작성을 완료하고, 프로젝트를 위한 개인 깃(gitea) 구성을 완료했습니다. 이후 서버 관리 도구인 portainer와 netdata 구성을 완료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활동 시작 전 계획했던 연구실 새 서버를 위한 모식도와 자동화 코드 작성을 완료했습니다. 또한 이기종 통신(PC5, Uu)을 자유롭게 전환하며 쓸 수 있는 OBU를 시뮬레이터(ns-3) 안에 구현 완료하고, ns-3 안에 QUIC 프로토콜(애드온)을 적용 완료 후 SUMO(교통 데이터)와 연동을 완료하는 등 신청서에 기재했던 대로 2025-2학기 자기주도연구를 위한 1차 테스트 베드를 성공적으로 구축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통신 공부를 통해 TCP/IP 5-layer, 영상 인코딩 기법, QUIC, MPQUIC 에 대한 학습을 완료했습니다.
곽민서
- 일정에 맞춘 서적, 기출 문제 학습을 통해 SQLD,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시험에 응시하였고, 결과 발표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SQLD 문제집 3회독, 네트워크 관리사 기출 문제 2회독을 하는 등 계획보다 조금 더 나아가 학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 계획했던 클라우드, 인프라 학습으로 AWS, 웹 개발에 대한 지식을 쌓았습니다. EC2 인스턴스, 이미지, EBS, VPC 등에 대한 이론 학습을 하고, RDS, S3, IAM 등 실습 후 AWS 동작 원리를 파악했습니다. 신청서 작성 당시 계획했던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서적을 강의와 병행해 학습을 완료한 다음, 추가로 ‘매일메일' 플랫폼을 이용해 웹 개발까지 학습했습니다. 소학회 ‘한터' CC 크루 및 서적을 통해 알고리즘 공부를 했습니다. 백준 티어가 실버 4 에서 실버 2 로 상승했습니다.
김휘래
- Hadoop & Spark 핵심 컴포넌트 (HDFS, MapReduce, YARN) 이론 학습 및 실습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단순히 기술을 사용하는 수준을 넘어 대규모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와 동작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Airflow 를 활용한 워크플로우(DAG)를 설계하고, 스케줄링 및 모니터링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또한 Kafka, Spark Streaming 을 공부하며 데이터를 수집·처리·적재하는 전 과정의 흐름을 직접 설계하고 구축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있었습니다. Spring 을 활용해 BE 개발을 하면서 데이터 시스템을 지탱하는 인프라와 백엔드 개발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개별 기술에 대한 지식을 종합하여 실제 기업의 복잡한 시스템을 분석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신청서에 기재했던 내용에서 추가로 개발 서적 2권(‘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을 학습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정혁준
- 계획했던 대로 연구실의 연합학습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Paper Critique 방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이후 FL, AL, UQ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문을 학습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Federated Active Learning 환경의 Uncertainty Quantification 을 개선하는 논문 제안 기법 초안을 완성했습니다.
<팀원별 향후계획>
고기호
- 활동 내용에서 언급했듯이 ns-3 에 Multi-Path QUIC 프로토콜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동영상 전송에 최적화된 스케줄러 알고리즘을 개발해 해당 프로토콜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자기주도연구(PC5, Uu 이기종 통신에서의 low latency 달성) 프로젝트를 통해 논문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이후에 연구실에 서버 장비가 들어오면 모각소 활동을 통해 만들어 놓은 파일들을 적용하고 유지 보수 역할을 담당할 것입니다.
곽민서
- 모각소를 통해 학습한 이론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에 대한 추가 학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5년 하반기가 끝나기 전까지 AWS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할 예정입니다. 또한 2025-2학기 파란학기제 활동을 통해 하계 모각소를 진행하면서 쌓은 인프라/웹 개발 지식을 제대로 적용하는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김휘래
- 학습한 기술 스택을 총망라하는 자기 주도 프로젝트를 2025-2학기 중 진행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기술을 내제화할 예정입니다. Docker, Kubernetes 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학습하여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운영 역량을 강화할 것입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한 머신러닝 모델을 통합하는 MLOps(Machine Learning Operations) 분야로 학습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정혁준
- 제안 기법에 대한 실험 환경 코드를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고도화 계획으로는 제안 기법 알고리즘 검증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데이터셋 전처리 및 분할 부분이 있습니다 이후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초안으로 작성한 제안 기법의 논리 구조를 고도화하여 논문 본문을 작성할 계획입니다 현재 목표하는 컨퍼런스는 BigComp 2025 입니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