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김민석
소프트웨어학과 박성수
소프트웨어학과 박재혁
소프트웨어학과 신서윤
소프트웨어학과 이하랑
<팀원별 활동내용>
김민석
모각소 기간 백준 랜덤 골드 스트릭을 진행하였고 그리디 알고리즘 심화학습을 하였다.
또한 vector, stack, queue, deque, graph, dfs, bfs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을 노션에 작성하였고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매주 문제집 및 연습 문제 생성을 통해 팀원들의 학습을 도와주었다.
박성수
스터디 튜터로서 스택, 큐, 트리 등의 기초적인 자료구조에서부터 다익스트라, 위상정렬 등의 심화적인 알고리즘을 친구들에게 알려주었고
스터디 3, 4회차 알고리즘 정리본을 작성하였다. 또한 매주 진행한 랜덤 골드 스트릭을 통해 알고리즘 기본기를 키울 수 있었다.
박재혁
모각소 활동 기간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못해도 한 문제 이상 문제를 풀었다.
실버 스트릭을 1주차 부터 4주차 까지 5문제 이상을 해결하였다. 일주일에 한번씩 모각소 동료들과 만나 다양한 자료구조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하였으며
이후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는 문제를 풂으로써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도록 노력하였다.
신서윤
매주 모각소 팀원들과 온라인으로 모여 그래프, tree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배웠다.
튜터가 주차별로 풀도록 만든 문제집을 풀며 코딩 실력을 키워나감. 또한 배운 알고리즘을 스스로 복습해보고 노션에 정리했다.
이하랑
2학년 전공과목에서 배울 자료구조(stack, queue, deque) 등을 학습하고 BOJ를 통해 관련 예제들을 풀어보았다.
개인 활동으로 단체 스터디 때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관련 문제들을 난이도 별로 풀었으며 매주 스트릭을 진행해 꾸준히 ps를 연습하였다.
<팀원별 최종성과>
김민석
그리디 알고리즘 태그를 가진 골드 문제 풀이 속도가 향상되었고 dfs, bfs의 알고리즘을 스택, 큐, 재귀 등을 통해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골드 랜덤 스트릭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
박성수
기존에 알고 있던 알고리즘 지식들을 환기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알고리즘을 직접 설명하고 정리하면서 개념을 명확하게 다질 수 있었고, 몰랐던 부분도 보완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알고리즘 지식도 확장되었으며,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는 계기가 되었다.
박재혁
위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한 결과 solved.ac에서 처음 모각소를 시작할 때 실버2 티어였지만 골드5 티어를 달성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이는 모각소 처음에 목표했던 바와 같다. 또한 이전엔 몰랐던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을 학습하여 관련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신서윤
백준 티어 실버 3에서 실버1을 달성하였다. 매주 10개 이상의 문제를 풀어 알고리즘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였다.
이하랑
티어는 골드이지만 사실 문제푸는 능력이 많이 부족해 한 문제당 기본 30-40분은 걸렸었는데
모각소 활동을 통해 꾸준히 많은 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다보니 문제 풀이 속도가 빨라졌다.
또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배워 더 다양한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었다.
<팀원별 향후계획>
김민석
백준에서 다이아를 달성하고 365일 동안 꾸준히 스트릭을 진행할 것이다. 또한 APC 수상과 ICPC 본선 진출을 목표로 할 것이고,
알고리즘을 통해 향후 게임 개발 프로젝트를 준비할 것이다.
박성수
지금까지 공부한 알고리즘 지식을 바탕으로 앞으로 공부할 과목들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더욱 실력을 쌓을 것이다.
또한 향후에 진행할 개발 프로젝트(모각소 등)에 알고리즘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박재혁
모각소를 이렇게 마무리하지만 아직 배우지 못한 알고리즘이 매우 많기 때문에 새로운 알고리즘 학습과 동시에 배웠던 알고리즘 관련 문제를 더 풀면서
복습도 같이 할 것이며 solved.ac 티어도 더욱 올릴 것이다.
신서윤
학기 중에도 감을 잃지 않도록 꾸준히 공부하며 노력할 것임. 또한 단체 스터디를 통해 배운 내용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을 때까지 열심히 이론과
활용문제들을 반복학습할 것이다.
이하랑
2학년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실력을 쌓을 것이다. 또한 codeforces와 같은 온라인 콘테스트에 도전해보고 매달 최소 50개의 문제를 꾸준히
풀도록 노력할 것이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