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동계 모각소 

과CC면 다냐? 활동 내용 및 발표 자료

<팀원>

소프트웨어학과 장성호

소프트웨어학과 정윤미

소프트웨어학과 유진

소프트웨어학과 김태욱


<팀원별 활동내용>

장성호

1.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지식을 복기

2. Udemy 강사 in28minutes 님의 “Master Spring Boot 3 & Spring Framkework 6 with Java” 강의 수강

3. Spring boot 3 및 오라클 클라우드를 활용해서 화상회의 API 개발

강동하

1.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지식을 복기

2. PWA를 위한 serviceworker/webmanifest 파일 작성

3. scss 변수를 활용하여 반응형웹페이지 제작

정윤미

1. LSTM, AutoEncoder, MLP학습

2. 파란학기를 하며 미흡하게 알던 리엑트 관련 추가 학습

유진

1. 책을 읽고 공부하려했으나 인프런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기로 변경함. 김영한의 HTTP 웹 강의를 들으며 공부함.

2. 프로그래머스를 통해 코딩테스트 준비함.

김태욱

1. 유튜브 생활코딩

2. 인프런 강의로 웹에 대한 공부


<팀원별 최종성과>

장성호

1.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17개 챕터 중 8번째 챕터인 네트워크 계층까지 복기

2. Udemy “Master Spring Boot 3 & Spring Framkework 6 with Java” 강의의 약 30% 수강

3. Spring과 오라클 클라우드를 활용해 화상회의 서버를 배포

강동하

1. 반응형 디자인이 적용된 메인페이지만 있는 PWA로 브라우저에서 다운가능한 웹페이지

정윤미

1. 동계 인턴에서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인공지능 코드 작성 및 리엑트를 통해 결과 가시화

유진

1. HTTP 강의 수강 (약 6시간 분량)

2. 프로그래머스 Lv.0 입문 문제 전체 풀기

3. 프로그래머스 SQL 대비 문제 전체 풀기

김태욱

1. html과 css를 이용한 간단한 페이지 만듦, http의 기본적인 프로토콜과 메서드 이해

2. spring 개발 환경 구축


<팀원별 향후계획>

장성호

1. 모각소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단국대 대자보팀과 서비스 개발예정

2. Spring을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축할 수 있는 지식 학습

3. MSA를 구성하기 위한 Server 및 Infra 분야 지식 및 DevOps 직군에 대한 학습

강동하

1. 모각소를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단국대 대자보팀과 서비스 개발예정

2. 현재 js로 작성되어있는 serviceworker파일을 typescript로 마이그레이션

정윤미

모각소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단국대 대자보팀과 서비스 개발예정

유진

모각소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단국대 대자보팀과 서비스 개발예정

김태욱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spring 환경에서 토이 프로젝트 시작 예정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