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강동우
소프트웨어학과 민병창
소프트웨어학과 송영범
디지털미디어학과 정보영
소프트웨어학과 정희진
<팀원별 활동내용>
공통
함께 자라기, 대체 뭐가 문제야 독서 및 스터디를 진행하였으며, 서로 주차별로 정해진 파트의 책을 읽고 함께 토의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강동우
인터넷 강의를 통해 Dart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Flutter의 여러 위젯 및 기능들을 공부하여 노션에 정리하였으며,
강의에서 배웠던 기본적인 내용에서 코드를 고쳐보며 더 익숙해지고자 하였다.
민병창
인터넷 강의를 들으며 Spring 개발의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수행하였으며,
강의자의 코드를 그대로 따라 작성하지 않고 선 작성 후 강의를 보고 수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MVC 패턴에 적절 한 코드 작성 방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송영범
COS PRO 1급 준비를 위해 Groom Edu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및 PS 준비 및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C/C++ 레퍼런스 공부를 통해 해당 언어의 숙련도를 증대시켰다.
또한 Spring 프레임워크의 기본 지식에 대한 학습과 실습을 통해 해당 기술을 습득하였다.
정보영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maya scene 애니메이션에 대한 기초를 다졌으며, 게임 그래픽 분야에서 쓰일 3d max 툴을 처음 접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물체와 캐렉터 등을 직접 모델링해보고 점차 작업 시간을 줄여가는 연습을 하였다.
또한 오픽 ih 등급을 받기 위해 인터넷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였으며, 기본적인 발음과 시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법을 공부하였다.
정희진
node.js 및 spring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으며, 활동을 통해 언어에 대한 흥미를 돋움으로서, 언어를 좀 더 자세히 이해하고 알고 싶어졌다.
<팀원별 최종성과>
공통
진정한 문제를 찾고 그것을 해결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으며, 애자일 기법과 애자일을 통해 더 나은 개발자로 성장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강동우
Dart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통해 Flutter의 기본적인 여러 위젯을 이용해서 만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위젯을 이용할 수 있고,
아주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할 수 있다.
민병창
Spring 개발에 사용되는 여러 도구들에 익숙해졌으며, MVC 패턴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MYSQL DB를 사용하며 설계, 테이블 정의, JDBC 사용법을 익혔다.
송영범
COS PRO 1급을 1회 응시만에 취득할 수 있었으며 904/1000점의 매우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Spring 학습을 통해 기존 팀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동작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간단한 Spring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영
다양한 물체와 캐릭터를 만드는데 익숙해졌고 효율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연습하여 작업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었으며,
텍스쳐링 작업 전 UV를 섬세하게 편집하고 텍스쳐링이 잘 될 수 있게 Map을 정리하는 실력을 키울 수 있었다.
정희진
백엔드 개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node.js 및 spring 프레임워크 학습을 통해 백엔드 개발에 대한 실전 지식을 습득했고 간
단한 node.js 및 spring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다.
<팀원별 향후계획>
공통
소프트웨어 장인 및 클린 코더 책에 대한 스터디를 추후 진행하여 개발자를 넘어 소프트웨어 장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강동우
아직 매우 부족한 실력이라고 생각되어, 후에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며 이번에 공부한 기본적인 내용들에 더 익숙해지고,
Flutter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민병창
아직 강의를 모두 수강하지 못했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남은 강의를 모두 수강후 스스로 프로젝트를 설계하여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송영범
pring 프레임워크 관련하여 더욱 심화된 지식을 학습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백엔드 개발 역량을 강화할 것이며,
추후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라는 진로를 위해서 폭 넓은 기술스택의 지식을 지속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정보영
아직 애니메이션에 익숙하지 못하여 애니매이션 공부를 더 할 것이고, 사물을 더욱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하기 위해 리깅 공부를 할 예정이다.
수정 작업시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어 수정 작업 시에도 효율적으로 작업하는 방법을 연습할 것이다.
아직 시험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ih 등급을 받지 못하면 시험을 다시 치룰 예정이다.
정희진
향후 습득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개인 및 팀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서 언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협업을 함으로서 개발 역량을 증진시키고 실전 경험을 쌓을 예정이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