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정원제
소프트웨어학과 조민재
소프트웨어학과 한철화
<팀원별 활동내용>
정원제
- 기본적인 우리나라 전자 결제 시스템 이해 및 결제 대행 구조 분석. 이를 바탕으로 레몬스퀴즈, 페이플, 토스페이먼츠의 PG 서비스를 가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환경에 도입해보고, 도입 난이도 및 고려해야 할 점, 공통 사항들을 파악함
조민재
- 노션 → 마크다운 → 정적 블로그 흐름 점검. 이미지 경로가 제멋대로라 파일명 해시+폴더 재정의. 검증된 GitHub 템플릿 골라 수정 후 배포
- 사파리에서만 글자 두꺼움. 폰트 스택 정리하고 weight 600→500/400로 임시 봉합. 감으로 맞추지 말고 스냅샷 자동화 필요하다고 느낌
- 데이터 구조가 많이 바뀐 코드 메인 반영, 기존 버전은은 롤백용 브랜치로 보관. 링크/라우팅 체크리스트 정리. 채널톡 다시 붙임. 배포 후 확인용으로 /health 추가
- 기본적인 컬러 보정만으로도 품질 꽤 올라감 확인. 자동 WB→히스토그램 1–2% 클리핑→감마 0.95\~1.05→색온도 보정 루틴으로 고정. AI API인 Replicate/FLUX/ComfyUI 비교, ComfyUI로 직접 운영하는 API 구상
- Admin 페이지 MVP 개발. 가격 범위 계산 버그 픽스. “방 수정하기”에 프로모션 카드 꽂고 버튼 노출 조건 정리
한철화
- 총 5편의 AI 관련 논문을 리뷰하며 최신 연구 경향과 기법을 분석. 논문 리뷰 내용을 정리하여 팀 내 공유하고 토론을 통해 이해도를 높임. Hugging Face 오픈소스 레포지토리에 코드 기여를 진행하며 실제 개발 프로세스를 경험함
<팀원별 최종성과>
정원제
- 우리나라 전자 결제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이해와 약간의 노력만으로 기존 환경에 도입할 수 있는 PG사 탐색 완료. 모각소 모임 이후 토스페이먼츠의 경우 NestJs로 실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을 토스페이먼츠 기반으로 제작함
조민재
- 노션 기반 퍼블리싱 토대 마련(수동 배포 가능, 템플릿 기준 확립). 사파리 폰트 이슈 즉시 완화하고 스택/가중치 방향성 잡음. Post v3 전환 라이브 + v1 롤백 루트 확보로 전환 리스크 낮춤. 채널톡 재연동으로 문의 채널 복구. /health로 배포 후 상태 가시화. 비AI 컬러 보정 파이프라인 고정해 CTR 개선 실험 준비 완료. Replicate/FLUX/ComfyUI 장단점 정리로 내부 API화 방향 확정. Admin MVP 시작, 검색/프로모션 핫픽스로 체감 UX 개선
한철화
- 모각소 활동을 통해 단순 학습을 넘어 실제 AI 논문 리뷰 5편을 완료하여 분석 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강화함. 또한 Hugging Face 오픈소스 코드에 직접 기여함으로써 국제적 오픈소스 커뮤니티 참여 경험을 쌓음. 결과적으로 연구와 개발 모두에서 실질적 성과를 도출
<팀원별 향후계획>
정원제
- 통합 결제 래퍼 개발 : 모든 PG 서비스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결제 래퍼 구축
조민재
- 자동화된 블로그 시스템 & 이미지 AI 연구 : GitHub Actions를 통한 블로그 자동화 및 Playwright 스냅샷 도입. 컬러 보정 및 AI 연구 심화
한철화
- AI 연구 확장 & 공모전 참여 : 추가 논문 리뷰, Hugging Face 코드 품질 개선 및 새 기능 제안. 공모전/학술대회 참여 준비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