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금민기
소프트웨어학과 박성수
소프트웨어학과 조상현
<팀원별 활동내용>
금민기
- Dynamixel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RxTx 통신 노드 공부 및 이를 활용한 Dynamixel EEPROM, RAM 영역의 데이터 통신 구현
- Ubuntu 22.04 ROS2 humble 환경에서 QT5를 사용한 커스텀 매니퓰레이터 제어 툴 개발
- 역기구학 및 순기구학 학습 후 매니퓰레이터 제어 GUI에 통합, 공간 좌표 입력으로 End Effector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정
박성수
- 매주 Codeforces 온라인 저지에 꾸준히 참여하여 알고리즘 문제 풀이 능력이 상승하도록 노력함
- CUDA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병렬 컴퓨팅이라는 새롭고 어려운 분야에 대해 탐구하면서 컴퓨터 구조 과목에서 배웠던 병렬화 내용들을 복습하며 진로 분야를 탐구함
- 심화 알고리즘인 세그먼트 트리와 정수론을 활용한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공부하면서 컴퓨터 과학에 대해서 조금 더 깊은 이해도를 얻게 됨
조상현
- 백준 문제 중 기초정수론, 이분 탐색 카테고리의 연습 문제 세트 풀이를 통해 알고리즘 문제 풀이 역량 향상 도모
- ROBOFLOW에서 라벨링한 데이터셋을 YOLO에 학습시켜 결과를 확인하고 정확도 하락의 원인을 파악하여 데이터셋 재구축 및 학습 결과 해석
- OCR을 통해 책 라벨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여 같은 분류 속에서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는 시스템 구축
<팀원별 최종성과>
금민기
- 로봇의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공부
- ROS2를 활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구축
- QT5를 활용한 GUI 디자인 및 ROS2와 연동하는 경험
박성수
- Codeforces 온라인 저지 꾸준한 레이팅 상승 달성 (1020->1306)
- CUDA 프로그래밍 공부를 통한 병렬 컴퓨팅 지식 함양
- 2-2에 수강할 알고리즘 과목의 대비 완료
조상현
- YOLO와 OCR을 학습시켜 정확도와 분석 결과 도출
- 백준에서 정수론, 이분 탐색 등의 알고리즘 문제 풀이
- AI 학습을 통한 데이터셋 구축 및 조정
<팀원별 향후계획>
금민기
- 역기구학 코드의 오류 해결 및 GUI 안정성과 로봇의 모션 에러 검출 기능 개선
- MPA_X 시리즈 로봇을 사용해 추후 공모전과 지능형 로봇 대회 출전
- 동아리에서 이번 프로젝트를 활용한 스터디 진행
박성수
- Codeforces 온라인 저지 꾸준한 참여 및 레이팅 상승
- CUDA 프로그래밍 이외의 병렬 컴퓨팅 API 활용
- 알고리즘 문제 풀이 (PS) 대회 참여
조상현
- YOLO와 OCR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모델 탐색
- AI 모델의 정확도 보완 예정
- 꾸준한 알고리즘 공부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