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디지털미디어학과 김휘년
디지털미디어학과 서건혁
디지털미디어학과 심기호
디지털미디어학과 임환재
<팀원별 활동내용>
김휘년
AI 기반 미연시 제작 툴 구축을 위한 레퍼런스 게임 분석 및 게임 컨셉 기획서를 작성. PachinSpell(핀볼+던전 로그라이크) 게임을 위한
데이터 파싱 시스템과 Unity Editor 확장 기능을 개발. AI 시스템 관리 툴을 최적화하여 Variable, Prompt 생성, Setting 관리 기능을 개선.
주사위 기반 턴제 게임 시스템(DiceManager, TurnManager)을 제작하고 이를 활용한 UIManager를 구현.
서건혁
프로그래머스 Lv2, Lv3 문제를 풀면서 투 포인터, DP, 그리디 알고리즘 등을 완전히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추가적으로 MySQL에 관해서 logrotate에 관해 직접 strace 명령어를 활용해 logrotate가 실제로 MySQL의 로그를 연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있는지
테스트해보았습니다. 또한 도커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드라이버 중 하나인 Overlayfs를 직접 공부하고 mount를 해보고 리눅스 코드를
확인해보았습니다.
심기호
1,2,3번째 활동에서는 개인적으로 진행하고자 했던 게임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게임의 기본 구조를 계획하고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4번째 활동에서는 코딩테스트를 위한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도서를 통해 DP관련 내용을 읽어보며 풀이법을 정리했습니다.
마지막 활동에서는 이전에 진행했던 팀 프로젝트 결과물의 스팀 출시를 위한 준비와 이에대한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임환재
골드메탈의 유니티 기초 강의를 수강하며 유니티의 기본 개념과 기능을 학습했다. 이번 강의를 통해 Unity의 라이프 사이클을 이해하고,
키보드 입력을 활용한 오브젝트 이동을 구현하는 방법을 익혔다. 또한, RigidBody와 콜라이더를 이용한 물리 엔진의 기초를 배우고,
물리 충돌 이벤트를 활용한 상호작용 구현 방법을 학습했다.
UI/UX의 기본 개념도 다루며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쌓을 수 있었다.
<팀원별 최종성과>
김휘년
세 가지 프로젝트에 각각 개별적 성과. 모각소 내 활동만으로는 데이터 기반 게임 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AI 생성데이터 - CSV에서 Unity ScriptableObject로 변환하는 워크플로우를 완성. 커스텀 에디터 윈도우를 통해 게임 데이터 관리와 시각화 기능을 구현.
AI 모델 변경 기능을 추가하여 비용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조성. 주사위 게임 시스템의 UI 연동 및 게임 흐름 관리 기능을 성공적으로 완성.
각 프로젝트 단위로 봤을 땐, (1) AI 기반 미연시 - 시스템 80% 완성. / (2) 파친 스펠 - 프로토타입 60% 완성 (새로운 겜블 게임 제작에 따라 현재 쉬어가는
중) / (3) 주사위 기반 턴제 게임 시스템 - 프로토타입 90% 완성.
서건혁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MySQL의 로그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logrotate 실험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를 활용해서 MySQL에서 나오는 General, Error, Slow 로그를 일별로 나누고 이를 바인드 마운트를 통한 fluentd forward aggregation 패턴을 적용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적으로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계속해서 풀면서 랭킹 10000위대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2025년 상반기에 다가올 기업 코딩 테스트를 풀어나갈 역량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심기호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기본적인 구조를 기획하고 어느정도 실제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또, DP와 관련된 내용과 내가 적용할 수 있을만한 전략을
생각해보고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팀 출시와 관련하여, FacePunch.Steamworks SDK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을 진행하고,
스팀에 출시하기 위한 작업 또한 진행했습니다.
임환재
이번 학습을 통해 유니티의 기본적인 개념과 툴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개발 환경에 대한 친숙도가 증가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프로젝트에서 유니티를 보다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팀원별 향후계획>
김휘년
AI 기반 미연시 제작 툴 완성. (시스템 뿐만 아닌 기타 요소 전체) / 주사위 게임 프로토타입 완료 후, 본격 개발 할지 결정. /
PachinSpell 게임은 시간 날 때마다 틈틈이.
서건혁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Redis Stream 자료구조를 활용한 테라폼 배포 기능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다가올 기업 코딩테스트를 위해 지속적으로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 계획입니다.
심기호
모각소 동안 진행한 개인 프로젝트를 지속해서 개발할 예정입니다. 또한, 코딩테스트를 계속해서 준비하고,
기존의 프로젝트에 도전과제 등의 Steam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임환재
앞으로는 2D 및 3D 플랫포머 게임을 개발하고, 씬 매니저를 제작하여 메인 화면, 게임 씬, 엔딩 씬을 포함한 씬 전환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또한, IMP(몰입형 게임 프로그램)에서 진행하는 유니티 관련 강의를 수강할 때 이번 학습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