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김권영
디지털미디어학과 김동균
소프트웨어학과 임정훈
<팀원별 활동내용>
김권영
1. SEO 키워드 분석에서 검색량과 경쟁률을 고려해 적절한 키워드(20~30개)를 방법론과 롱테일/숏테일 키워드를 활용하며,
사용자의 검색 의도(정보 탐색, 사이트 탐색, 구매 목적)를 분석
2. Next.js를 활용한 쇼다운 박스를 제작 및 해당 메뉴를 누르면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만듦
3. 영어, 한글 중 부동산 관련된 경쟁률은 낮지만 검색률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해 그중 20가지를 추린 후 페이지 메타데이터를 수정하여 SEO를 개선함
4. Next.js에서 CSS 스타일링(Tailwind, CSS Modules 등)에 대한 공부
5. 기술적 SEO 개선을 위해 메타 태그 최적화, 구조화된 데이터(Schema Markup) 적용, 페이지 내 H1~H6 태그 활용, 이미지 및 사이트 속도 최적화, 모바일 친화성,
내부 링크 최적화, URL 구조 개선, Lazy Loading 적용, JavaScript SEO 강화 등을 수행.
김동균
처음에는 Java를 통해 객체지향을 공부하려 했으나, 진로 설정과 1학기 교과목을 고려하여 기초 알고리즘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Do it!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C++ 편"의 앞부분을 활용하여 C++과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웠다.
1주차: C++ 기본 문법과 시간 복잡도
2주차: 자료구조(배열, 리스트, 벡터, 스택, 큐)
3주차: 정렬(삽입, 버블, 선택, 퀵, 병합)
4주차: 탐색(이진, DFS, BFS)
5주차: 탐색(DFS, BFS), 그리디 알고리즘
임정훈
1주차: solved.ac 랜덤마라톤 진행, DP알고리즘 학습 후 매일 2문제 풀이, 리눅스 학습(기초 명령어, X 윈도, 공간 관리 및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2주차: solved.ac 랜덤마라톤 진행,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학습 후 매일 2문제 풀이, 리눅스 학습(네트워크 서버 구축 실습, 서버 설치와 운영)
3주차: solved.ac 랜덤마라톤 진행, 정렬알고리즘 학습 후 매일 2문제 풀이, 리눅스 학습(네트워크 서버 구축 실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4주차: solved.ac 랜덤마라톤 진행, 이분탐색 알고리즘 학습 후 매일 2문제 풀이, 리눅스 학습(FTP, NFS, DHCP)
5주차: solved.ac 랜덤마라톤 진행, 세그먼트 트리 알고리즘 학습 후 매일 2문제 풀이, 리눅스 학습(프록시, 방화벽)
<팀원별 최종성과>
김권영
1달 동안 트래픽 0~10 사이 -> 2000 근처로 SEO 개선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높혔고, next.js를 공부하면서 서버사이드렌더링과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상관관계 웹사이트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다.
김동균
C++을 활용한 알고리즘 구현능력이 향상되었다. 기본적인 STL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문제들을 풀 때 시간 복잡도를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기초적인 능력을 키웠다.
그리고 작년에 배웠던 자료구조들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제 앞으로는 기초가 아닌 기본 알고리즘을 활용한 문제 풀이에 접근 가능해졌다.
임정훈
5주간 진행한 학습 계획을 통해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과 리눅스 서버 운영 역량을 고루 강화했습니다.
먼저, 매일 solved.ac 랜덤마라톤 문제를 해결하며 동적 계획법, 그래프 탐색, 정렬, 이분 탐색, 세그먼트 트리 등 핵심 알고리즘 전반을 학습하고 적용 능력을 높였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 유형에 대한 접근법과 구현 능력을 체득하여 전반적인 알고리즘 문제 해결 속도와 정확도가 향상되었습니다.
한편, 리눅스 기초 명령어를 습득하고 X 윈도 환경,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등을 학습하며 운영체제와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해를 넓혔습니다.
나아가 네트워크 서버 구축 및 서버 운영 실습, 데이터베이스 서버 설치, FTP, NFS, DHCP 및 프록시·방화벽 설정 등 네트워크/보안 서비스에 대한 실습을 병행함으로써
실무 수준의 서버 관리 역량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의 설정, 장애 대응, 보안 강화 절차 등을 경험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었습니다.
종합적으로, 알고리즘 문제 해결과 리눅스 서버 운영이라는 두 가지 분야를 병행 학습함으로써 개발자로서 요구되는 필수 역량(알고리즘 이해,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루 갖출 수 있었습니다. 또한 매일 꾸준히 문제를 해결하고 실습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함양하였고,
주어진 문제나 과제에 대해 능동적으로 솔루션을 모색하는 습관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향후 다양한 개발 환경, 특히 백엔드 및 인프라 관련 분야에서 더욱 실질적이고 가치 있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팀원별 향후계획>
김권영
사이트 SEO와 인과추론, CTA에 대해서 공부하여, 사용자 유도에 대한 학습을 이어나갈 예정이며, 이번 모각소를 통해서 기초적인 웹사이트의 구성 요소와 사람의 클릭을
유도하는 방법론에 대해 배울 수 있었으니, 그것을 넘어서 각 요소를 최적화하거나 SEO를 최적화하는 일종의 규칙이나 방법을 정립하여 나름의 노하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김동균
실전 코딩 테스트에 대비해보고 싶고, 동적 계획법, 그래프, 트리 등 더욱 더 심화된 알고리즘을 공부해봐야겠다.
이번 모각소를 통해 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았으니 더욱 많은 문제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많이 문제를 풀어봐야겠다.
실전 코딩 테스트에 대비해보고 싶고, 동적 계획법, 그래프, 트리 등 더욱 더 심화된 알고리즘을 공부해봐야겠다.
이번 모각소를 통해 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았으니 더욱 많은 문제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많이 문제를 풀어봐야겠다.
임정훈
1. 알고리즘 분야 심화 학습
트리, 스파스 테이블, 세그먼트 트리 응용, 고급 그래프 알고리즘(최단 경로, 최소 스패닝 트리의 확장 등)을 학습하고 문제 풀이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또한, 온라인 코딩 대회나 해커랭크, 코드포스 등 알고리즘 챌린지에 참가해 실전 경험을 쌓고 경쟁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2. 리눅스 서버 및 클라우드 환경 확장
AWS, GCP, Azure 등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를 구축, 운영하면서 CI/CD 파이프라인, 모니터링,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Kubernetes 등) 기술을 접목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방화벽, IDS/IPS, VPN 등을 포함한 보안 솔루션과 서버 성능 모니터링, 로드 밸런싱, 캐싱 기법 등을 학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 역량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3. 프로젝트와 실전 경험 축적
알고리즘과 리눅스 운영 역량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 서비스,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서버 구축 등)를 기획 및 개발할 계획입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 이슈 해결 및 기여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협업 능력과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