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정문영
디지털미디어학과 문다현
소프트웨어학과 나현흠
<팀원별 활동내용>
정문영
JWT와 spring security의 기본적인 이론에 대한 학습부터 이론을 기반으로 한 코드 구현을 활동으로 진행하였습니다.
JWT 토큰의 구조와 실무에서의 활용 방안을 학습하였고 이해한 바를 결과물로써 풀어내고자 유저의 로그인/회원가입 을 돕는 코드를 구현해보았습니다.
JWT 토큰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spring security와의 접점이 생기고 여기서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security의 이론에 대해 공부하고 직접 config
파일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진행하고 있던 프로젝트에서 추가로 공부하고자 했던 이론에 대해 정리하고 코드로 구현하였습니다.
문다현
상단 (질문) - 관련 이미지 - 하단 (응답 버튼) 으로 틀이 겹쳐서 suvery page에서 쓰이는 layout을 모듈화하면서 모듈화를 공부 새로운 라우팅 방식 공부
(React Router 버전 6.4부터 지원하는 방식으로, 라우터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호버시 스타일 변화, 클릭시 스타일 변화, 상태값을 전달하면서 페이지를 라우팅하는 방식 공부 리액트로 로그인, 회원가입 구현하기 공부, 공통버튼 모듈화, FOIT, FOUT 공부
나현흠
학습 경험으로는 운영체제와 시스템 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습니다.
User mode와 Kernel mode의 차이뿐만 아니라 시스템 콜을 통한 안전한 운영체제 동작에 대한 개념도 숙지하였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경험으로는 DG-002 및 DG-003 섹션에서 사용자 음악 취향에 맞는 추천 시스템 및 멜로디 카드 제작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Swift와 MVVM 구조를 활용하여 개발에 참여하면서 언어 및 구조에 대한 현업 경험을 쌓았습니다.
또한, 다양한 언어 및 플랫폼에 대한 비교를 통해 Swift, Flutter, React Native의 장단점 및 특징을 이해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언어와 플랫폼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발 환경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켰습니다.
<팀원별 최종성과>
정문영
구글 oauth를 기반으로 로그인/회원가입을 진행하는 코드 로직을구현하였고 db와도 연동하여 유저가 편리하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학습한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한 코드 구현이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코드는 최대한 포함하지 않은 클린 코드에 가까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적으로 공부하고 싶었던 이론에 대해 공부하고 코드를 구현하며 기능을 구현해내는 것에만 집중되어있던 코드를 효율적이고 명시적인 코드로 리팩토링할 수 있었습니다.
문다현
프로젝트 구현에 필요한 기술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프로젝트 에 적용 가능한 레퍼런스 및 문서를 생성하였다. 기능 구현, 버그 수정.
최적화 등의 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정해진 일정 내에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
또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 리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나현흠
운영체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스템 콜을 이해하고, Usermode와 Kernel mode에서의 보호 방법에 대한 학습을 통해 안전한 운영체제 동작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 간의 경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스템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학습하였다.
DG-002와 DG-003 섹션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를 통해 Swift 및 MVVM 구조를 활용한 실무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한 데이터 관리 경험을 쌓음으로써 전체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향상시켰다.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개발 역량을 증진하고 현업에서의 실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웠다.
다양한 개발 언어와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Swift, Flutter, React Native 등의 언어와 플랫폼에 대한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환경의 장단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인 선택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발 능력을 향상시켰다.
<팀원별 향후계획>
정문영
카카오 계정으로도 로그인 할 수 있는 로직까지 추가하여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더 심층적인 공부를 하고자 합니다.
기존에 작성했던 로그인 기능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프론트단과 연동해보는 경험을 통해 백엔드 개발자로서 소통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합니다.
문다현
정리해둔 문서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프로젝트에서 적용해볼 예정이다. 또, 여러 유저플로우에서 나올수 있는 경우를 따져 예외를 따지고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경험을 높일수 있는 부분에 대해 더 알아볼것이다.
나현흠
2024-1 파란학기제를 참여하면서 swift 이론에 대해 심도있게 공부할 예정입니다.
구조적인 측면과 디자인 패턴 등을 공부해 앱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을 효율적이게 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