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소프트웨어학과 석지원
소프트웨어학과 오태림
소프트웨어학과 유수정
소프트웨어학과 조대희
<팀원별 활동내용>
석지원
- C++를 사용해 500줄 이하의 월드 공간에 구를 생성하고 해당 구에 라이팅, 빛 반사 효과를 구현
오태림
- 자작 자동차 대회 출전을 위해 자동차 계측 로직 설계 , 코드 수정, 실제 계측을 진행함
유수정
- 알고리즘 문제풀이 사이트 백준을 활용해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고, 각 문제 유형에 맞는 풀이법 학습. UI 디자인을 위해 피그마로 화면 구성을 한 뒤, 백엔드 개발 프레임 워크인 fastApi에 대해 학습하고 endpoint 개발 진행. React.js를 활용해 디자인한 화면 구성
조대희
- 로버트 C. 마틴의 Clean Code(클린 코드)를 완독하고, 각 장별로 코드 스타일, 함수/클래스 설계, 오류 처리, 경계 다루기 등 실무와 연계된 내용을 정리하며 학습
<팀원별 최종성과>
석지원
- 256 라인으로 Phong Reflection Model을 적용하여 사실감 있는 빛 반사 효과를 구현할 수 있었음.
오태림
- 자동차 계측에서 센서 확장, can 채널 추가, 센서 데이터 전송 경로 변경, 실시간 정보 표시, 주행 영상 기록 및 데이터 기록 기능 추가 등의 활동을 했다. 이러한 계측 시스템을 실제 차량에 적용하여 주행 테스트까지 완료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작자동차 대회에 추가로 기술 아이디어 대회에 출전을 할 예정이다.
유수정
- 알고리즘 문제 유형별 접근 방식 습득, 웹 화면 디자인 완성후 웹에 필요한 endpoint 개발을 통해 웹 api를 완성. 이를 기반으로 react.js를 통해 화면 구현을 완성해 하나의 웹 페이지를 완성
조대희
- Clean Code를 통해 기존 프로젝트에서 중복 코드, 불필요한 주석, 임시변수 사용 등으로 인한 유지보수 문제를 구체적으로 깨달았고, 클래스/함수 설계 단계부터 의도를 명확히 하고, 의미 있는 이름과 작은 단위의 책임 분리, 오류 처리까지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터득
<팀원별 향후계획>
석지원
-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RealTime Rendering에서 효율적인 반사광 표현을 위한 공부를 해볼 예정.
오태림
- 9월달에 진행될 기술 아이디어 대회와 자작 자동차 대회까지 유지 보수, 아이디어 대회 발표 준비를 할 예정이다. 그리고 내년의 대회를 위해 다른 기술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학습할 예정
유수정
- 웹 페이지 테스트 시연을 진행하여 부족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하고 베타 버전 배포 예정
조대희
- Clean Code에서 쌓은 기반 바탕으로 Clean Architecture를 읽으며 SOLID 원칙, 경계 분리, ORM/외부 API 관리 등 실무 설계 패턴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계획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