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Translation (@juantokki): https://x.com/juantokki/status/1894918781539152132
On February 19 (Wednesday), the KMCA and other organizations mentioned the "NewJeans case" while calling for policies to eradicate "tampering." In their statement, these organizations claimed they were not attempting to discuss disputes between specific agencies and artists. However, they only represented the positions of HYBE and ADOR, issuing a collective statement just before the preliminary injunction hearing of the involved parties while simultaneously urging against public opinion battles. Moreover, their plan to hold a press conference on February 27 (Thursday) is, in essence, a "proxy public opinion battle" in favor of a particular entertainment agency.
1. The five organizations represent agencies, not the entire K-pop industry.
The fiv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MCA, claimed to be releasing a "petit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K-pop industry." However, their statement solely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entertainment agencies, citing a specific case as an example of tampering without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facts.
If these organizations truly sought the public interest of the K-pop industry, they would have listened to all parties involved and attempted to mediate the situation rather than hastily issuing a one-sided statement based on unverified claims. The growth of K-pop is not solely the result of agencies and investors. It is built on the dedication of artists who devote their entire youth to their craft, producers and creators who work tirelessly to create music, performances, and content, and fans who, with no financial interest, go beyond being mere consumers to actively promote K-pop worldwide.
However, these five organizations have ignored the essence of the K-pop industry, instead aligning themselves with a specific interest group. They remain silent on unfair industry practices like chart manipulation and bulk-buying but have no hesitation in making threats to exclude certain artists from music charts, broadcasts, and award shows. Is it right for an association responsible for ensuring objectivity and chart fairness to publicly support one agency’s stance on an unverified issue?
These five organizations also failed to take any stance when the "HYBE Industry Trends Report," which shocked the entire K-pop industry by revealing HYBE’s defamatory strategies against other companies, artists, and fans, was exposed during the National Assembly audit. They also did not hold HYBE accountable. Instead, they oppose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efforts to introduce copyright protections for choreography, an essential measure to safeguard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that define K-pop.
By representing only the interests of the powerful while ignoring and oppressing weaker parties with no protective institutions, these organizations fail in their duty as industry associations.
2. The "HYBE-ADOR dispute" is not about tampering but about a parent company's contractual violations and infringement on a subsidiary's rights.
The "HYBE dispute" is not about artist tampering. Instead, it is a case where HYBE, the parent company, attempted to seize control of ADOR from its CEO and shareholder, Min Hee-jin. The court ruled that Min Hee-jin had no grounds for dismissal and that her tenure as CEO should be guaranteed according to the shareholder agreement. Despite this, HYBE unlawfully removed her as CEO, undermining ADOR’s independence. In the process, they launched a malicious public opinion campaign that harmed the reputation and credibility of their own artists.
HYBE disregarded the independence and diversity of its sub-labels and exploited its position as a major shareholder to violate contracts, infringe on the rights of agencies, producers, creators, and artists, and hinder K-pop’s sustainable growth. If HYBE had honored its contracts, this situation would never have occurred.
Fans have consistently demanded that HYBE restore ADOR to its original state, ensuring NewJeans’ activities and support. Min Hee-jin and the NewJeans members fought until the end to protect "ADOR" and "NewJeans." However, HYBE and the current ADOR management have ignored their contributions to ADOR’s establishment and NewJeans’ success. Instead, they have framed NewJeans as perpetrators of tampering—an entirely false narrative. What is the real intent behind these industry organizations supporting such a biased stance?
3. Denying artists’ right to terminate contracts is an unfair, agency-centered argument.
The five organizations are distorting the situation by portraying NewJeans’ contract termination as a threat to the K-pop industry’s foundation. However, their argument directly contradicts the "Standard Exclusive Contract"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se guidelines explicitly state that if an agency violates a contract, the artist has the right to demand corrections within 14 days. If the issue is not resolved within that period, the artist may legally terminate the contract. This clause was established to eliminate past abuses where agencies wielded excessive control over trainees and artists, infringing on their basic rights.
The five organizations’ argument disregards artists' contractual rights and solely represents the interests of entertainment agencies. NewJeans lawfully terminated their contracts and are now fre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If these organizations were truly neutral, they would first hold HYBE accountable for its chairman Bang Si-hyuk’s unlawful attempts to cancel NJZ’s debut performance.
4. The party violating the "faithful execution of exclusive contracts" and engaging in malicious public opinion battles is HYBE and ADOR.
The five organizations falsely portray the situation as if NewJeans unilaterally terminated their contracts and waged a public opinion battle, thus threatening the K-pop industry. However, the real violators of contract obligations are HYBE and ADOR.
HYBE’s executives reviewed internal reports that contained derogatory remarks about rival artists and fans. Regarding NewJeans, they strategized, saying, "뉴를 버리고 새 판을 짜면 된다" (Abandon "New" and start fresh.) HYBE also mobilized cyber influencers to spread negative narratives about specific individuals and used its PR team to manipulate the media into publishing defamatory articles about its own subsidiary’s artists. A journalist even exposed HYBE’s practice of bribing the press for favorable coverage.
Notably, in April last year, HYBE distributed false information to the media, resulting in 1,767 articles in just three days—just a week before NewJeans’ comeback. This media manipulation continued until the eve of a press conference, spreading speculative falsehoods that severely damaged the artists’ reputations. This was not mere news coverage but a deliberate public opinion manipulation campaign aimed at undermining NewJeans’ activities.
K-pop is not an industry driven solely by investors' money. It thrives on the planning skills of producers, the talents of artists, and a foundation of trust. The real perpetrators who broke this trust, undermined the independence and creativity of their sub-labels, and tainted the industry with malicious public opinion battles are HYBE and ADOR’s current management.
HYBE publicly disclosed an illegal audit and continues to collude with certain media outlets to repeatedly publish hostile articles attacking NewJeans, despite some members still being minors.
5.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K-pop industry, self-reform is necessary.
Finally, among the executives of these five organizations, some have been convicted of serious crimes, including child abuse and fraud. Others have been involved in scandals such as retaliatory broadcasting bans on artists who legally terminated their contracts, chart manipulation that harmed K-pop consumers, vote and broadcast rigging, and embezzlement of 18.2 billion KRW in music royalties.
Despite these deep-rooted issues in the industry—exploitation of trainees and artists, unfair competition through chart manipulation, excessive rivalry, and consumer rights violations—these organizations remain silent. Yet they now claim the industry is in crisis while unfairly targeting specific artists.
If these organizations truly care abou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pop, they should focus on correcting industry-wide abuses—such as agency power abuse and media collusion—instead of siding with HYBE and ADOR in a proxy public opinion battle over an unresolved legal case.
-Team Bunnies
Korean Original: https://x.com/NewJeansSTRM/status/1894902566758293696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은 지난 2월 19일(수), '탬퍼링' 근절을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하면서 '뉴진스 사
례'를 언급했습니다. 해당 단체들은 성명에서 '특정 기획사와 아티스트 간 분쟁을 논하려는 것이 아니다'라 고 하면서도 하이브와 어도어의 입장만을 대변하였고, '사안의 해결을 위해 여론전을 하지 말라'고 하면서 도, 특정 사건 당사자들의 가처분 심문기일 직전에 단체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심지어 2월 27일(목)에 기자 회견을 하겠다는 것이야말로 특정 기획사를 위한 '대리 여론전'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1. 5개 단체는 K팝 산업 전체가 아니라 기획사 입장만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 5개 단체는 'K팝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공익적 목적'으로 '호소문'을 발표한다 고 하였지만, 그 내용은 기획사의 입장만을 대변하고 있으며, 정확한 사실관계에 대한 파악도 없이 특정 사 건을 탬퍼링의 사례로 들고 있습니다. 이들이 진정으로 K팝 산업 전체의 공익적 목적을 위하였다면, 확정 되지 않은 사실을 기반으로 일방적인 주장을 하고 있는 특정 기획사의 입장만을 대변한 성명문을 성급하게 발표할 것이 아니라, 모든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현 상황을 중재하려는 노력을 했어야 합니다.
K팝 산업의 성장은 단순히 기획사와 투자자본만으로 이뤄낸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인생을 걸고 미성년자 시기부터 모든 노력을 쏟아부은 아티스트들과 높은 노동강도로 밤새워 가며 음악과 무대,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제작자와 창작자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어떠한 금전적인 보상이나 이해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 로지 응원과 격려의 마음으로 단순한 소비자의 역할을 넘어 아티스트와 창작자가 만들어낸 작품들을 전 세 계로 알리는 K팝 성장의 원동력인 팬덤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5개 단체는 K팝 산업의 본질을 잊은 채 특 •정 이익집단에 편향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밀어내기, 사재기와 같은 산업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에는 침묵하면서도, 특정 아티스트의 음원 및 앨범을 차트에서 배제시키고, 방송과 시상식에서 배제시키겠다는 협박성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객관적 성 적을 반영하고, 차트의 공정성을 유지할 책임이 있는 협회가 사실 확인조차 되지 않은 사안에 대해 특정 기 획사의 입장을 대변하며, 편향적인 발언을 공공연히 하는 것이 옳은 일입니까?
5개 단체는, 정작 엔터업계의 모든 관계자들과 아티스트, 팬들에게 충격과 혐오감을 주고, K팝 업계 전체에 대한 신뢰를 훼손시킨 '하이브 업계 동향보고서'가 국정감사를 통해 밝혀졌을 때에는 아무런 입장도 내지 않 고, 하이브에 주의를 준 적도 없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도입하려는 '안무 저작권'을 반대하는 입장을 내 며, 다양성과 창의성이 존중되고 보호받아야 하는 K팝 산업의 본질을 흐리는 행보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권력을 가진 쪽의 이익만을 대변하며, 권리를 보호하고 대변할 단체나 기관도 없는 상대적 약자들에게 폭력 을 행사하는 것이 과연 협회의 의무입니까?
2. '하이브-어도어 사태'는 탬퍼링의 문제가 아니라 비상식적인 모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계약위반과 권리침 해의 결과입니다.
'하이브 사태'는 아티스트의 탬퍼링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모회사인 하이브가 자회사인 어도어의 대표이자 주주인 민희진 전 대표의 경영권을 탈취한 사례입니다. 법원이 민 전 대표에게 해임 사유가 없으므로 주주간 계약에 따라 대표 임기를 보장하라고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가 이를 위반하고 편법적으로 자회사 의 대표를 해임하여 독립성을 훼손했으며, 그 과정에서 악의적인 여론전을 통해 소속 아티스트의 명예와 신 용까지 훼손한 사건입니다. 하이브는 산하 레이블의 독립성과 다양성을 보장하지 않은 채, 대주주라는 지위 를 이용해 계약을 위반하며 자회사인 기획사와 제작자, 창작자, 아티스트의 권리를 침해하고, K팝의 건전하 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하이브가 계약을 위반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사태는 발생하지 않 았을 것입니다.
팬들은 하이브에 '뉴진스'의 활동과 지원이 가능한 '원래의 어도어'로 원상복구시키라고 일관되게 요구하였 고, 민희진 전 대표와 뉴진스 멤버들은 마지막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어도어’와 ‘뉴진스’를 지키고자 하 였습니다. 하이브의 계약 위반을 생략한 채, 어도어의 설립 과정부터 뉴진스의 성공까지 민 전 대표를 포함 한 뉴진스와 전 어도어 구성원들의 기여를 무시하고, 마치 뉴진스가 탬퍼링을 한 것처럼 '허위 프레임을 씌 우는 것은 하이브와 현 어도어 경영진의 일방적인 주장입니다. 이처럼 한쪽의 편향된 주장을 대변하는 협회 의 의도는 무엇입니까?
3. 연예인의 계약 해지권을 부정하는 것은 부당한 기획사 중심의 논리입니다.
5개 단체는 뉴진스 멤버들이 전속계약에 근거해 해지권을 행사한 것을 마치 K팝 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행 위인 것처럼 왜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고시인 '표준전속계약서'의 내용에 명백히 반 하는 주장입니다. 가수는 기획사가 계약을 위반한 경우 14일 이내에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 내 에 시정이 되지 않을 경우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습니다. 이는 과거 연예기획사들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소속 연습생과 가수들에게 부당한 지배력을 행사하며, 그들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한 악 습을 근절하기 위해 제정된 조항입니다. 5개 단체의 주장은 연예인의 계약상 권리를 무시하고, 연예기획사 들의 입장만을 대변하는 편향된 주장에 불과합니다.
뉴진스는 적법한 절차대로 계약을 해지하였으므로 현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 5개 단체가 중립적 인 단체라면, NJZ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활동하는 멤버들의 첫 공연을 무산시키려고 시도한 방시혁 의장의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순서일 것입니다.
4. '전속계약의 성실한 이행을 위반하고 악의적인 여론전을 지속하고 있는 쪽은 하이브와 어도어입니다.
5개 단체는 마치 뉴진스 멤버들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고 여론전을 벌여 K팝 산업이 위협받고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속계약의 성실한 이행을 위반한 쪽은 하이브와 어도어입니다.
하이브는 최고 경영진이 매주 보는 '하이브 업계동향 보고서'에 타 회사 아티스트와 팬들을 비하하는 저급한 내용을 작성했을 뿐만 아니라, 뉴진스에 대해서는 "뉴를 버리고 새 판을 짜면 된다"는 발언으로 소속 아티 스트를 견제하는 전략까지 세운 회사입니다. 사이버렉카를 동원해 특정 인물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조성 하고, 하이브 홍보팀이 언론에 부정청탁을 하여 자회사 소속 아티스트의 명예와 신용을 훼손한 사실이 기자 를 통해 폭로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지난 해 4월, 단 3일간 하이브가 허위사실을 포함한 내용을 언론에 대대적으로 배포하며 발행된 기사 는 총 1,767건에 달합니다. 뉴진스의 컴백을 불과 1주일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 벌어진 이 언론플레이는 반 박 기자회견 직전까지 이어졌으며, 아티스트에게 추측성 허위사실은 물론 심각한 명예훼손까지 발생하는 상황을 초래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의도적으로 아티스트의 활동에 타격을 가하기 위한 여 론 조작 행위에 가까웠습니다.
K팝은 단순히 투자자의 자금으로만 움직이는 산업이 아닙니다. 제작자와 창작자의 기획력, 아티스트의 재 능과 노력이 신뢰를 기반으로 어우러져 함께 만들어 가는 산업입니다. 이러한 신뢰를 깨뜨리고, 산하 레이블 의 독립성, 독창성, 창의성을 훼손한 주체는 하이브와 현 어도어 경영진입니다. 악의적인 여론전으로 K팝 업계를 혼탁하게 만든 것도 바로 이들입니다. 지난 해 불법감사를 대외적으로 공표하고, 현재까지 특정 연예 매체들과 결탁하여 미성년자도 있는 멤버들에 대한 인신공격과 적대적인 기사를 반복해서 보도하는 악의적 여론전을 지속하고 있는 것도 하이브와 어도어입니다.
5. K팝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자정 노력부터 하십시오.
마지막으로, 5개 단체의 임원진 중에는 소속 아티스트를 아동학대 및 방조한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을 선고 받았음에도 협회의 회장으로 활동 중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법적으로 전속계약 해지의 타당성을 인정받은 아티스트들에게 보복성 방송 금지로 활동을 방해하다가 법원과 공정위로부터 경고를 받은 사건, 음원 담합 행위로 K팝 소비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혀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건, 투표 및 방송 조작 사건, 국 내 음원 사이트 회원들과 저작권자들의 음악 저작권료 182억 원을 빼돌린 혐의로 징역을 선고받은 사건 등 큰 사건들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사람들이 버젓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K팝 산업의 화려한 성장 이면에 어두운 그림자로 늘 지적되고 있는 소속 연습생, 아티스트에 대한 인권 침 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음반 밀어내기와 사재기, 과도한 차트 경쟁, 팬심을 악용한 소비자 권리 침해 문 제들에 대해 책임이 있는 당사자들이, 기획사들의 고질적인 병폐에 대해서는 침묵하면서 특정 아티스트를 비난하며 '산업 위기'를 주장할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한국매니지먼트연합 등 5개 단체는 K팝 산업의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진정으로 고민한다면, 아직 법원의 결정도 나오지 않은 특정 사건에 대해 하이브와 어도어의 편을 들며 대리 여론전으로 개입하기에 앞 서, K팝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들, 기획사의 갑질과 횡포, 연예 매체들과의 결탁을 통한 연예인 인신공격부 터 자정하고 시정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