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https://x.com/BELIFTLAB/status/1800075448728342674
English translation by Grok AI
Belift Lab's stance on plagiarism allegations
(https://youtu.be/VLb2v_mntes)
Notice from BELIFT LAB
To fans who cherish ILLIT and K-pop fans worldwide,
BELIFT LAB, upon observing CEO Min Hee-jin’s second press conference on May 31, has determined that we can no longer delay expressing our position. Accordingly, we are presenting BELIFT LAB’s stance regarding CEO Min Hee-jin through this statement and a video.
The May 30 decision by the Seoul Eastern District Court’s Civil Division 50 to grant an injunction was solely regarding a request to block HYBE’s voting rights at ADOR’s extraordinary shareholders’ meeting. It was not a ruling on the substantive issues of the vote. It is unacceptable to misrepresent this as a victory for CEO Min Hee-jin’s side on the substantive matters.
Separately from the injunction, the criminal case we filed against CEO Min Hee-jin for business obstruction and defamation is a matter that will now proceed. Despite achieving a remarkable debut that will go down in K-pop history, BELIFT LAB, our artists, staff, and collaborating creators have had their honor trampled and voices silenced. We will promptly file an additional civil lawsuit to hold CEO Min Hee-jin accountable for the damages suffered.
CEO Min Hee-jin has sacrificed an innocent rookie group for her own interests.
One of the pressure tactics chosen by CEO Min Hee-jin was to disparage a rookie group under the same HYBE label as a “copy” or “knockoff.” This was accompanied by baseless claims, including plagiarism allegations and interference with activities. When questioned by reporters, CEO Min Hee-jin stated, “There’s no need for (the media or netizens) to mention it anymore,” effectively denying the time and process endured by victims who suffered unwarranted criticism due to her remarks.
The disparagement and attacks on BELIFT LAB’s artists were based on selectively edited images and short videos, stripped of context, that highlighted superficial similarities. There has been no proper verification of whether the so-called “original” cited by CEO Min Hee-jin as plagiarized is indeed her creation, or whether BELIFT LAB’s work was the subject of her claims. Raising plagiarism allegations in an official setting without presenting reasonable evidence of copyright infringement is not a responsible approach for someone in the position of a creator or label representative.
Although CEO Min Hee-jin’s claims have been misrepresented as fact, BELIFT LAB has refrained from detailing our position thus far, holding onto a faint hope that she would rectify the issue herself. However, she continues to repeat her one-sided claims, misleadingly suggesting that the injunction decision validates all her assertions. In response, BELIFT LAB has produced and released a video outlining our position.
We express regret that her plagiarism claims, made to secure personal interests, are negatively impacting the broader pop culture landscape.
The video produced by BELIFT LAB addresses the flaws in CEO Min Hee-jin’s plagiarism claims and analyzes their potential impact on K-pop and pop culture as a whole. It will clearly explain the absurdity and falsehoods in her claims, such as framing marketing activities, holiday hanbok photoshoots, and other common practices as newly created works, based on her arbitrary standard of “production plagiarism.”
The current state of K-pop i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countless artists and creators. The challenging paths paved by senior artists should serve as shortcuts for their juniors, fostering a virtuous cycle for the growth of the K-pop industry. However, it is unacceptable to block those paths, acting as if no one else should walk them, especially when CEO Min Hee-jin herself has benefited from the trails blazed by her predecessors.
BELIFT LAB is aware of allegations against the girl group produced by CEO Min Hee-jin, such as similaritie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or the use of specific foreign works as references. However, we do not believe these constitute evidence of intentional plagiarism by her. We believe the allegations against her group are similarly based on selectively edited content that highlights superficial similarities, as seen in music videos or processes. If she continues to distort and cherry-pick only what benefits her, without allowing professional judgment in relevant domains, it will severely stifle creators’ activities—and she herself will not remain unscathed.
In her second press conference, CEO Min Hee-jin superficially gestured toward reconciliation but offered no apology or reflection for the innocent victims, including artists suffering severe malicious comments akin to violence due to her actions. Instead, she shifted blame to the media and others, which is deeply regrettable.
Protecting our artists from this incident and restoring the honor of the staff and members dedicated to the project is a critical responsibility for BELIFT LAB. We will continue to do our utmost to achieve this.
Thank you.
표절 주장에 대한 빌리프랩의 입장
(https://youtu.be/VLb2v_mntes)
빌리프랩에서 알려드립니다.
아일릿을 아껴주시는 팬 여러분, 그리고 전 세계의 K-POP 팬분들께,
빌리프랩은 지난 5월 31일 민희진 대표의 2차 기자회견을 보며 더 이상 당사의 입장 표명을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에 글과 영상으로 민희진 대표에 대한 빌리프랩의 입장을 정리하여 말씀드립니다.
지난 5월 30일 서울동부지법 민사50부의 가처분 인용 결정은 어디어 임시주주총회에서 하이브가 가진 의결권의 행사를 막아달라는 가처분 신청에 대한 결정이지 표결 사안에 대한 판결이 아닙니다. 마치 표결 사안에 대한 판결에서 민희진 대표 측이 승소한 것인 양 왜곡하면 안됩니다.
가처분과 별개로 당사가 민희진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업무방해 및 명예훼손에 대한 형사사건은 이제부터 진행되어야 할 영역입니다. 아름다운 빌리프랩은 K-POP 역사에 남을 놀라운 데뷔 성과를 만들고도 그동안 명예를 짓밟기고 숨죽여 온 아티스트와 빌리프랩 구성원, 참여 크리에이터들의 피해에 대한 민사소송을 곧바로 추가로 제기하여 민희진 대표에 대한 책임을 묻겠습니다.
민희진 대표는 자신의 사익을 위해 무고한 신인그룹을 희생양 삼았습니다.
민희진 대표가 택한 하나의 압박 수단 중 하나가 같은 하이브 레이블의 신인그룹을 ‘아류’나 ‘짝퉁’으로 폄훼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는 표절 논란뿐 아니라 활동 방해와 같이 무리한 주장이 동반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민희진 대표는 “이제 (언론이나 네티즌이)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도 된다”며 마치 본인의 발언으로 인해 겪지 않아도 되었을 비난을 감내해야 했던 피해자들의 시간과 과정 자체를 부인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빌리프랩 아티스트에 대한 폄훼와 공격은 전체 콘텐츠의 앞뒤 맥락을 빼고 비슷한 장면을 캡쳐하고 모아서 편집한 사진과 짧은 영상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민희진 대표가 표절이라고 언급한 이른바 ‘원본’이 과연 민희진 대표가 처음 만들어 낸 창작물은 맞는지, 또는 실제 빌리프랩에서 만든 제작물인지 확인하고 문제 제기를 한 것인지 등에 대한 제대로 된 검증이 없었습니다. 저작권 침해 요소에 대한 합당한 근거 제시조차 없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표절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크리에이터와 레이블의 대표라는 책임감 있는 위치에 있는 분에게 맞는 문제 제기 방식이 아닙니다.
민희진 대표의 주장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호도되어왔음에도 빌리프랩이 그동안 상세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것은 민희진 대표 스스로 이 문제를 바로잡을 것이라는 일말의 기대 때문이었으나, 민희진 대표는 가처분 인용의 의미가 마치 민희진 대표의 주장이 모두 법원의 인정을 받은 것인 것처럼 호도하는 등 여전히 본인의 일방적인 입장만 반복해 주장하고 있습니다. 빌리프랩은 이에 당사의 입장을 담은 영상을 제작해 공개합니다.
본인의 사익 확보 수단으로 표절을 주장함으로써 대중문화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합니다.
빌리프랩이 제작한 영상은 민희진 대표의 표절 주장에 문제점과 이 주장이 향후 K-POP을 포함한 대중문화 전반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제작 표절’이라는 자의적인 기준을 앞세워 마케팅 활동과 명절 한복 화보 등 이미 수많은 유사 사례가 이전부터 있었던 것조차 새로 창조한 것인 양 포장했던 부분 등 민희진 대표의 억지와 허구성에 대해 분명한 설명이 될 것입니다.
지금의 K-POP이 있기까지 수많은 아티스트와 제작자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선배 아티스트가 힘들게 갔던 길은 후배들을 위한 지름길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K-POP 산업 전체가 더 크게 성장하는 선순환이 작동합니다. 본인이 만든 길도 아니면서, 심지어 본인도 선배들이 개척한 길을 이용했으면서 자기 외에는 누구도 그 길을 가면 안 된다는 듯 길을 틀어막아서는 안됩니다.
빌리프랩은 민희진 대표가 제작한 걸그룹에게 제기되는 의혹 - 국내외 아티스트와 유사한 면이 많다거나 해외의 특정 작품을 레퍼런스로 사용했을 것이라는 주장 - 을 알고 있지만 이것이 민희진 대표가 실제 이를 표절했다며 적극 참작했다는 근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민희진 대표가 제작한 걸그룹에 제기된 의혹 또한 의도적으로 유사성이 돋보이게 편집된 콘텐츠에 엠씨브디와 과정에서 유사하게 보이는 것일 뿐이라고 믿습니다. 전문적인 영역에서 판단되어야 할 것까지 본인에게 유리한 입장만 짜깁기고 왜곡하는 행위를 바로잡지 못한다면 이는 크리에이터들의 창작활동을 엄청나게 위축시킬 것이고, 민희진 대표 또한 결코 자유롭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민희진 대표는 본인의 두 번째 기자회견에서 표면상으로는 화해의 제스처를 보였지만 정작 본인의 행위로 인해 겪지 않아야 할 폭력과도 같은 심각한 악플에 시달리는 아티스트를 포함해 무고한 피해자들에게 단 한마디 사과와 반성도 없었으며 이 일을 미디어 등 남의 탓으로 돌렸습니다. 이는 매우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본 사건으로부터 아티스트를 보호하고 프로젝트에 헌신한 구성원과 스태프의 명예를 회복하는 것은 빌리프랩의 중요한 책무입니다. 빌리프랩은 이를 위해 앞으로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