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https://hybecorp.com/kor/news/announcements/content/6434
English Translation by Grok AI
[HYBE] Notice Regarding the JoongAng Ilbo Interview Article
The September 26 JoongAng Ilbo interview article with Director Min Hee-jin contains numerous falsehoods, and we would like to clarify as follows:
■ HYBE never proposed a settlement offering “take the money and leave.”
HYBE has never proposed a settlement to Director Min Hee-jin offering “take the money and leave.” It is utterly baffling that such an absurd false claim would be made in a media interview.
■ The audit was conducted based on clear internal and external reports and is a serious matter under police investigation.
Director Min claims the audit was conducted “impulsively” and “illegally based on false information,” but audits are not conducted impulsively. The audit was initiated following internal and external reports. The audit revealed that Director Min, along with the deputy representative, had been strategizing ways to attack the company over an extended period, with numerous instances confirming malicious intentions, such as statements like “ensure no one at HYBE can touch us,” “ultimately break away from HYBE,” and “leverage the fact that the mothers did not sign contracts with HYBE.” Evidence of meetings with investors was also repeatedly confirmed. Furthermore, Director Min has still not complied with the company’s audit. This matter is currently under serious police investigation.
■ Director Min was fully granted authority over production and management.
The claim that HYBE broke its promise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Min Hee-jin’s label” is also false. During her tenure as CEO, Director Min was granted more authority over production and management than any other label. She enjoyed greater benefits and support than any other label, including put options, salary, treatment, activity support, and promotions, without any interference.
■ The claim that an overseas PR agency distributed defamatory materials is false, as confirmed by the columnist.
The claim that an overseas PR agency distributed defamatory materials is untrue. The agency in question stated, “At no point did any agency affiliated with HYBE provide any slanderous or untrue information about Min; to suggest otherwise would be a lie.” Additionally, columnist Jeff Benjamin confirmed he never stated that he received defamatory materials about Director Min.
■ Regarding album sales in Japan, the mixing of shipment and sales figures subtly distorts the truth.
The claim regarding album sales in Japan also subtly distorts the truth. The article’s claim that “1.02 million albums were sold in Japan alone” was a significant factual distortion, so we clarified the sales figures using publicly available Oricon chart data at the time. The day after the article was published, th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announced a Gold certification (100,000 units), but this is based on shipment figures, not sales.
■ The suspension of the fan meeting and album production was due to Director Min’s negligence and delayed decision-making, not HYBE’s interference.
The suspension of the surprise fan meeting for Korean fans and album production was not due to Director Min’s dismissal as CEO or the deputy representative’s exclusion from duties. ADOR had considered Seoul World Cup Stadium for the fan meeting, but the venue was rejected due to turf issues. The new leadership repeatedly requested meetings and communicated via email to discuss alternatives and the new album, but Director Min delayed responses or took extended leaves abruptly, causing disruptions. Due to Director Min’s negligence and delayed decision-making, many initiatives for fans have been halted.
■ Board meeting agendas are not subject to negotiation, and there is no obligation to notify in advance, yet they were clearly communicated three days prior.
Director Min’s claim that her dismissal as CEO was not a discussed agenda item is absurd. Board meeting agendas are not subject to negotiation, nor is there an obligation to notify in advance. Nevertheless, ADOR’s board clearly informed Director Min of the agenda three days before the meeting. Regarding the reason for her dismissal, she claimed there was “no clear justification,” but the board explained reasons including a breakdown in trust and that “separating producing duties from CEO duties is strategically appropriate,” which is clearly documented.
Director Min’s dissemination of false information through interviews reveals serious disqualifications as a manager. We urge her to return to her core duties and focus on work for the artists and fans.
9월 26일자 중앙일보가 보도한 민희진 이사 인터뷰 기사에 사실이 아닌 내용이 많아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 하이브는 ‘돈을 줄테니 받고 나가라’는 협상안을 제시한 적이 없습니다.
우선 하이브는 민희진 이사에게 ‘돈을 줄테니 받고 나가라’는 협상안을 제안한 적이 없습니다. 언론 인터뷰에서 이같은 터무니없는 거짓 주장을 하는 것이 당사로서는 황당할 따름입니다.
■ 감사는 명확한 내외부 제보를 바탕으로 진행했으며, 경찰 조사도 진행 중인 중대한 사안입니다.
민 이사는 감사를 ‘우발적 감정’, ‘허위사실을 기반으로 불법적으로’ 했다고 주장했으나 감사는 우발적으로 진행하는 일이 아닙니다. 내외부 제보가 이어짐에 따라 착수됐습니다. 감사 결과 민 이사는 부대표와 장기간에 걸쳐 회사를 공격할 방법을 모색해왔고 ‘하이브 안에서 아무도 우리를 못건드리게 한다’, ‘궁극적으로 하이브를 빠져나간다’, ‘어머니들이 하이브와 계약서 안쓴 점을 적극 이용하면 된다’와 같은 나쁜 의도들과 투자자를 만난 정황이 수도 없이 확인됐습니다. 또한 민 이사 본인은 정작 회사 감사에 아직도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당 사안은 현재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인 심각한 사안입니다.
■ 민 이사는 제작과 경영에 대한 전권을 충분히 보장받았습니다.
‘민희진 레이블’에 대한 독립성 보장 약속을 어겼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닙니다. 민 이사는 대표 시절 다른 어떤 레이블보다 제작과 경영에 대한 전권을 보장 받았습니다. 일체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풋옵션, 연봉, 처우, 활동 지원, 프로모션 등에 대해 다른 어떤 레이블보다 큰 혜택과 지원을 누려왔습니다.
■ 해외 PR 대행사에서 비방 자료를 뿌렸다는 주장은 거짓임을 칼럼니스트도 확인해주었습니다.
해외 PR 대행사에서 비방 자료를 뿌렸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닙니다. 해당 회사는 ‘민 이사에 대한 자료를 배포한 적이 없고 그런 주장을 한다면 거짓말’ 이라는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At no point did any agency affiliated with HYBE provide any slanderous or untrue information about Min, to suggest otherwise would be a lie”). 또한 컬럼니스트 제프 벤자민도 민 이사에게 비방 가득한 자료를 받았다고 말한 적이 없다는 답을 보내왔습니다.
■ 일본 내 음반판매량 관련, 출하량과 판매량 기준을 혼용하며 교묘히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일본 내 음반판매량에 대해서도 교묘하게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만 102만장이 팔렸다'는 기사 내용이 너무나 큰 사실 왜곡이어서 당시 공개돼있던 오리콘 차트 데이터로 판매량을 설명한 것입니다. 해당 기사가 나온 다음날 일본레코드협회가 골드(10만장) 인증을 한 사실이 알려졌으나 골드는 ‘출하량’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 팬미팅과 음반 작업 중단은 하이브의 업무방해가 아닌, 민 이사의 업무태만과 의사결정 지연 때문입니다.
한국팬을 위한 깜짝 팬미팅과 음반 작업 중단은 민 이사의 대표 해임과 부대표의 업무 배제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어도어는 한국 팬미팅 장소로 서울월드컵경기장을 고려하고 있었으나, 잔디 이슈로 대관이 거절됐습니다. 신규 리더십이 이에 대한 대안 마련과 새 앨범 등 논의를 위해 실무 의견을 모아 민 이사에게 수차례 미팅을 요청하고 이메일 등으로 커뮤니케이션 하였으나 민 이사는 답변을 미루거나 갑자기 장기간의 휴가를 내는 등의 방법으로 지장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민 이사의 업무태만과 의사결정 지연으로 인해 팬들을 위한 많은 일들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 이사회 안건은 협의의 대상이 아니고 사전 통지 의무도 없으나, 개최 3일 전 명확히 고지됐습니다.
민 이사는 대표이사 해임안이 협의된 안건이 아니라고 했으나 이 역시 황당한 주장입니다. 이사회 안건은 협의의 대상이 아니고 사전 통지 의무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어도어 이사회는 개최 3일 전에 민 이사에게 안건을 명확히 알렸습니다. 해임 사유에 대해 ‘납득할 뚜렷한 사유가 없었다’고 했으나, 이사회는 신뢰관계 파탄 외에도 ‘프로듀싱과 대표이사 업무를 분리하는 게 정책적으로 적정한 상황’ 등의 설명을 했습니다. 이는 기록으로 명확히 남아있습니다.
민 이사는 허위 사실을 인터뷰를 통해 전파하는 것만으로도 경영자로서의 심각한 결격사유가 드러납니다. 본업에 복귀해 아티스트와 팬들을 위한 업무에 매진해주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