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tion - English Translation (Grok AI)
#MinHeeJin #HYBE
Hello. I am the person referred to as "Employee B" in the statement posted by CEO Min Hee-jin on her Instagram on July 31, whom she insulted with terms like "b*tch" and "psycho."
As CEO Min Hee-jin mentioned in her KakaoTalk conversation with Executive A ("If this gets out, it’ll just make her look like a psycho and ruin her own life. Does B even have that kind of courage?"), she’s right.
I am just an ordinary office worker, a regular person without courage.
For me, a mere employee, to confront a star producer who has built a decades-long career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is skilled at handling the media, as well as the CEO of a company, is something I couldn’t even dare to imagine without losing my mind. Even as I write this now, I am extremely scared.
However, I cannot let it slide that CEO Min Hee-jin, while protecting Executive A, who was one-sidedly the aggressor, has caused immense harm to the staff working under her with insults and verbal abuse. Furthermore, under the pretext of clearing her own grievances, she publicly disclosed the KakaoTalk messages of a former company employee without any permission or consent, and continued to spread numerous lies, claiming she maintained neutrality as a CEO, that I was not the target of her insults, and that the KakaoTalk messages were manipulated.
In a situation where I have received no protection from either company or the media and have been left with nothing but wounds, I am writing this to explain the facts as clearly as possible and to resolve misunderstandings and grievances. The post may be a bit long as I address various issues, and it might seem a bit disorganized, but I would be truly grateful if you could read it to the end.
Since the content is lengthy and difficult to post all at once on Instagram, I will share it as an image.
Image Post - English Translation (Grok AI)
Image 1
Hello. I am the person referred to as “Employee B” in the statement posted by CEO Min Hee-jin on her Instagram on July 31, where she called me derogatory names such as “bitch” and “psycho.”
As CEO Min Hee-jin mentioned in her KakaoTalk conversation with Executive A (“Even if this gets out, it’ll just make her look like a psycho and ruin her own life. Does B have that kind of courage?”), yes, it’s true.
I am just an ordinary office worker, a regular person without courage.
For someone like me, a mere employee, to confront a star producer with decades of experience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a CEO skilled in handling the media is something I couldn’t even dare to imagine without losing my mind. Even as I write this now, I am extremely scared. However, I can no longer stay silent about CEO Min Hee-jin, who, while protecting Executive A, the perpetrator, hurled insults and verbal abuse at the employees working under her, leaving us battered, and then disclosed my private KakaoTalk messages—sent after my resignation—without my consent or permission, all under the pretext of defending her own grievances. She further claimed neutrality as a CEO, denied that the insults were directed at me, and fabricated lies such as the messages being edited. I am writing this to address these issues.
In a situation where I have been left wounded without any protection from either company or the media, this post may be a bit long as I aim to explain the facts and clear up misunderstandings and injustices. It may also seem disorganized as it covers multiple issues, but I would be deeply grateful if you read it to the end.
After I resigned, when the two companies clashed in April, I was subjected to suspicion and investigation by HYBE simply for being a former employee of ADOR who worked under CEO Min Hee-jin and Executive A. Several media outlets contacted me, wanting to cover the issues I raised, but I refused all of them and lived quietly, not wanting to suffer further harm amid the ongoing legal disputes between CEO Min Hee-jin and HYBE.
Image 2
However, when the full details of my case were revealed through a Dispatch article, I was deeply shocked. The article’s headline contained highly hurtful expressions, and as the person involved, I could immediately grasp the context. Even so, I double- and triple-checked the facts before writing this.
Before getting to the main point, after I reported Executive A, both CEO Min Hee-jin and Executive A hurled all sorts of insults at me and interfered with the investigation. No matter how private their conversations were, the level of their degrading remarks was so severe that I thought they might feel at least a little remorse toward me. I was once a fan of the CEO, someone who spent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at the Weverse NewJeans shop, and someone who, even after resigning, sent hundreds of lines of polite KakaoTalk messages filled with affection for the ADOR organization. My heart and efforts were trampled and betrayed.
While CEO Min Hee-jin’s side claimed that no one should face distortion or fabrication of the truth, she not only called my truth “fabricated” but also used my private KakaoTalk messages—sent after my resignation—for her own benefit without my permission. That’s why I am writing this, something I never thought I’d have to do in my lifetime.
Image 3
<1> Let me first explain what I experienced at ADOR. During my time working directly under Executive A at ADOR, I suffered not only from sexually harassing remarks but also from various forms of workplace harassment and unfair treatment. On March 2, I officially announced my intent to resign. On March 6, I reported the sexual harassment and workplace harassment to the company. On March 16, I receiv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on March 21, I resigned.
I reported Executive A’s unfair orders and sexually harassing remarks with sufficient evidence. He had a history of similar issues, and despite his long career in the industry and higher position, I was scared to report him. However, since I wasn’t the only one suffering from his workplace harassment, I mustered the courage to report him to eliminate a risk to the organization.
Executive A constantly berated me and other team members in a condescending tone and issued coercive work instructions via KakaoTalk outside of work hours, gradually breaking down my daily life and self-esteem as a human bei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unwarranted harassment at their workplace, where we spend the most time, would understand this pain. He sent non-urgent work instructions via KakaoTalk during weekends, holidays like Lunar New Year, and after work hours, saying things like, “Didn’t you say you were resting on the weekend anyway?” and continued with painful lectures starting in the morning. During a 40-minute conversation where problematic sexually harassing remarks were made, he said, “Having a young woman around makes the atmosphere better than just two guys eating together,” displaying outdated, sexist remarks and attitudes. When I responded to his work-related KakaoTalk on a Saturday within a minute, he scolded me for replying to him immediately after CEO Min Hee-jin sent a message in a group chat, claiming it caused confusion, and subjected me to incomprehensible lectures and criticism.
Image 4
On another occasion, while I was working late, he suddenly called me in and asked, “Since I need to evaluate you, tell me, what’s your ambition for working at this company?” When I said I’d prepare a response for such an unexpected question, he berated me in a coercive atmosphere, saying, “If that’s your attitude, you don’t need to work here.”
Around 8:30 PM, as I was about to leave the office, he insisted on starting a meeting 30 minutes later. When I asked if we could start immediately or hold it remotely at night, he raised his voice and yelled, “Can you explain the entire project right now? How can you start a meeting immediately?” and insisted on starting in “30 minutes.” That day, I organized the entire project before the meeting and stayed late at the office to work after the meeting. The work itself wasn’t the issue; it was his emotionally charged, aggressive attitude toward everything that was exhausting. I don’t understand how this could be dismissed as a simple misunderstanding between Executive A and me.
Unfortunately, HYBE concluded that it was difficult to definitively determine that Executive A’s actions amounted to sexual harassment or workplace harassment severe enough for disciplinary action. However, they acknowledged that his behavior was inappropriate and recommended that CEO Min Hee-jin issue a “stern warning” to Executive A. I thought HYBE’s response of a mere “stern warning” was too lenient for the pain I endured, but since I was already leaving the company, I didn’t want to dwell on it and let it go. However, I later learned that CEO Min Hee-jin even refused to issue this stern warning to Executive A. I recently discovered that from the day I made the report until the investigation concluded, CEO Min Hee-jin actively defended Executive A’s innocence and, in the process, repeatedly insulted me with derogatory terms like “crazy bitch” and “useless.” Instead of verifying the facts and addressing the issues as a CEO, she framed me as someone who “did a terrible job, whined, caused trouble, and left before getting fired,” which is heartbreaking as an employee who devoted myself to the company.
Image 5
Even in this situation, hoping that things might improve for me and my colleagues, I mustered the courage to send hundreds of lines of KakaoTalk messages to CEO Min Hee-jin, objectively detailing Executive A’s incompetence and harassment cases, even after my resignation on March 21. From the Thursday of my resignation through the weekend morning, I sent those messages with genuine care for the organization.
I understand her efforts to mediate by suggesting I meet with Executive A after my resignation or encouraging me to work with him again. However, time doesn’t erase past wrongs without a single apology.
Image 6
<2> Let me explain this incident in more detail. It may be shocking, but the insults you saw in the Dispatch article were indeed directed at me during work. In CEO Min Hee-jin’s statement, my report was misrepresented, the context between March 6 and March 16 was cleverly edited, and KakaoTalk messages were masked (claiming they were work-related when they weren’t), mixing in small lies to obscure the truth.
In other words, while CEO Min Hee-jin claimed her statement and materials were truthful and that there should be no distortion or illegal actions, she edited and disclosed my private KakaoTalk messages, manipulating the overall context. I was deeply shocked and hurt to be used in her false explanations by someone who should understand my pain better than anyone.
I am disappointed that CEO Min Hee-jin, who drove me into this corner during my tenure, spoke dishonestly in her statement about maintaining neutrality and mediating as a CEO. For example, she claimed ADOR wasn’t on holiday on February 15 when it was, or fabricated a principle that “complainants aren’t shared” when I, the complainant, was immediately shared with her and could have been contacted. Seeing her mix in these minor yet blatant lies in lengthy excuses was absurd.
What disappointed me so much as a human being that I felt compelled to speak out was that CEO Min Hee-jin, who criticized fabrication and distortion, disclosed my private KakaoTalk messages without consent, claimed the insults weren’t directed at me but at someone else, and lied to the public using the context of my resignation. To do this to someone you once worked with, without a single apology, is too much. I believe everyone makes mistakes, and when they do, they should acknowledge them quickly and apologize.
Image 7
<3> CEO Min Hee-jin might claim that her KakaoTalk conversations with Executive A were mere casual talk and that their disclosure was the issue. On the contrary, I want to ask her: Without a single word to me, she published KakaoTalk messages between me and Executive A in her statement, spreading cleverly distorted content to the public. Even now, more than a week later, she hasn’t offered me any apology or explanation. Given that she intervened from the investigation stage, likely influencing the outcome, this matter is not a private issue between her and Executive A but a work-related one for me. At ADOR, most work reports are done via KakaoTalk. Thus, I see KakaoTalk conversations about company matters between the CEO and an executive as no different from business messengers or emails.
I also ask about the edited events between March 6 and 16. Can she truly claim she mediated neutrally as a CEO? CEO Min Hee-jin shared my complaint details with Executive A in real-time, suggested and reviewed his objections, and thoroughly sided with him, the perpetrator. Even before the investigation began, the CEO and executive teamed up to cover up the complaint and insult the complainant, making me doubt whether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properly.
In cases of sexual harassment or workplace harassment, basic protocol requires separating the complainant and the accused. Yet, CEO Min Hee-jin, along with Executive A, repeatedly pressured me by demanding three-way meetings with them or even four-way meetings including HYBE HR or advertisers present at meetings. At the time, I was under severe stress from the coercive atmosphere whenever left alone with Executive A in a meeting room and had formally requested a separated work environment. Hearing such demands in that situation left me devastated. I tried to understand, but I can no longer comprehend this.
Image 8
When protesting to HYBE’s HR team, CEO Min Hee-jin tried to frame my report as retaliatory due to my poor performance, gathering all sorts of evidence to support this. She insulted and demeaned me with terms like “bitch,” “psycho,” “crazy bitch,” and “useless,” trampling on me. She encouraged Executive A to hire a lawyer and sue me for false accusations, using her position to ensure my report was invalidated.
Thus, I ask again: Does she truly believe her claim in her statement that she acted neutrally as a CEO and mediated appropriately?
In CEO Min Hee-jin’s words and expressions, I was a “bitch,” “psycho,” “crazy,” and “useless” who deserved to be ruined, not a victim of Executive A’s actions but someone who quit because I couldn’t do my job and was “trying to screw over” others, destined for divine punishment. However, I was just an ADOR employee who worked diligently and wanted to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I await a sincere apology from CEO Min Hee-jin and Executive A. I hope they don’t make the same misguided mistakes again. Please correct the falsely reported facts specifically. If even this statement is called fabricated or false, I will take further action to clearly reveal the truth.
Caption - Korean Original
안녕하세요. 지난 7월 31일 민희진 대표가 자신의 인스타에 올린 해명문에서 B 여직원으로 언급된, 민희진 대표가 ‘썅년’, ‘정신병’ 등 여러 쌍욕으로 칭한 그 B입니다.
민희진 대표님이 A임원과의 카톡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그거 말 나와봤자 쟤 사이코되서 자기 신세 조지는게 됨, B가 그렇게 용기 있다고?”), 맞습니다.
저는 그저 평범한 직장인이고 용기없는 일반인입니다.
수십년간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경력을 쌓은 스타 프로듀서이자 언론 대응에 노련한 한 회사의 대표님을 일개 직원이었던 제가 상대한다는 것은 정말 미치지 않고는 감히 생각조차 할 수 없습니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굉장히 무섭습니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가해자인 A 임원만을 감싸고 돌며 밑에서 일하는 구성원에 대한 욕설과 폭언으로 만신창이를 만들어놓은 민희진 대표가 자신의 억울함을 밝힌다는 명분으로 퇴사한 회사 직원의 카톡을 한마디 양해도, 동의도 없이 공개한 것에 더하여, 본인은 대표자로서 중립을 지켰으며 본인이 한 욕설의 대상이 제가 아니며, 카톡도 짜깁기라는 등의 수많은 거짓말을 재차 늘어놓는 것까지 참고 넘길 수는 없어서 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두 회사나 언론사들로부터 어떤 보호도 받지 못한채 상처만 남은 상황에서, 최대한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오해와 억울함을 풀기 위해 글이 조금 길어질 수 있을 것 같고, 여러 사안을 다뤄 두서없을 수 있지만, 끝까지 읽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내용이 길어서 인스타 포스트로 한번에 올리기 어려워 이미지로 공유합니다.
Image Post - Korean Original
Image 1
안녕하세요. 지난 7월 31일 민희진 대표가 자신의 인스타에 올린 해명문에서 B 여직원 으로 언급된, 민희진 대표가 '썅년', '정신병' 등 여러 쌍욕으로 칭한 그 B입니다.
민희진 대표님이 A임원과의 카톡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그거 말 나와봤자 쟤 사이코되 서 자기 신세 조지는게 됨, B가 그렇게 용기 있다고?"), 맞습니다.
저는 그저 평범한 직장인이고 용기없는 일반인입니다.
수십년간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경력을 쌓은 스타 프로듀서이자 언론 대응에 노련한 한 회사의 대표님을 일개 직원이었던 제가 상대한다는 것은 정말 미치지 않고는 감히 생각조차 할 수 없습니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굉장히 무섭습니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가해자인 A 임원만을 감싸고 돌며 밑에서 일하는 구성원에 대한 욕설과 폭언으로 만신창이를 만들어놓은 민희진 대표가 자신의 억울함을 밝힌다는 명분 으로 퇴사한 회사 직원의 카톡을 한마디 양해도, 동의도 없이 공개한 것에 더하여, 본인은 대표자로서 중립을 지켰으며 본인이 한 욕설의 대상이 제가 아니며,
카톡도 짜깁기라는 등의 수많은 거짓말을 재차 늘어놓는 것까지 참고 넘길 수는 없어서 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두 회사나 언론사들로부터 어떤 보호도 받지 못한채 상처만 남은 상황에서, 최대한 사실 관계를 설명하고 오해와 억울함을 풀기 위해 글이 조금 길어질 수 있을 것 같고, 여러 사안을 다뤄 두서없을 수 있지만, 끝까지 읽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퇴사한 후 4월에 두 회사가 충돌하며 민희진 대표와 임원 A씨 밑에서 일했던 어도 어 전 직원이라는 이유로 하이브에서 의심과 조사를 받기도 했고, 몇몇 언론사 등에서 제가 제기한 내용을 취재하고 싶다며 제게 연락을 해왔지만, 저는 그간 민희진 대표와 하이브 간에 이어지는 법적 다툼 속에서 제가 또 다른 피해를 입는 것이 싫어 모두 거절 하고 조용히 살고 있었습니다.
Image 2
그러나 디스패치 기사를 통해 제 사건의 전말이 공개됐을 때 저는 큰 충격을 받았습니 다. 기사 제목에 크게 상처되는 표현이 적나라하게 들어가 있었는데 사건의 당사자인 저는 어떤 맥락인지 단번에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두번, 세번 체크하여 명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글을 쓰게 됐습니다.
본론에 앞서, 제가 임원 A씨를 신고한 직후부터 민희진 대표와 임원 A씨가 제게 온갖 쌍욕을 하며 조사에 개입하고, 두 분이 아무리 뒤에서 한 말이라지만 인격모독적인 표현 들의 수위가 너무 세서, 두 분께서 제게 미안한 마음이 조금이라도 있을 줄 알았습니다. 한때 대표님의 팬이었던, 위버스 뉴진스샵에서 수십만원을 쓰던, 어도어 조직을 위해서 퇴사 후 수백줄의 카톡에 애정을 담아 공손히 메세지를 보내던 저의 마음과 노력이 짓밟히고 기만당했습니다.
민희진 대표측이 매사 누구도 진실의 왜곡과 짜깁기를 당해서는 안된다고 했으면서,
진실을 짜깁기라 말할 뿐더러, 퇴사한 직원(B)이 퇴사 이후에 보낸 사적 카톡 대화 내용 까지 마음대로 자신을 위해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이런 평생 쓸 일 없을 것 같던 글을 쓰고 있습니다.
Image 3
<1> 제가 어도어에서 겪은 일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어도어에서 임원 A씨의 직
속 부하로 근무하던 기간 동안 가장 문제된 성희롱성 발언뿐만 아니라 각종 직장내 괴롭 힘과 부당한 대우에 시달리다 3월 2일 퇴사의사를 먼저 공식적으로 알렸습니다. 이후 3월 6일 회사에 성희롱, 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신고, 3월 16일 신고 처분 결과를 공유 받고, 3월 21일 퇴사하였습니다.
저는 임원 A씨의 직장 내 괴롭힘이라고 밖에 볼 수 없는 부당한 지시와 성희롱적 발언에 대하여 충분한 근거 자료와 함께 신고했습니다. 이전에 비슷한 문제를 일으킨 전적이 있 던 분이고, 저보다 오랜 기간 업계에 계셨을 뿐더러 상위 직책자라 신고를 하는 것이 무 섭기도 하였지만, 임원 A씨의 직장내 괴롭힘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구성원들이 저뿐만 이 아니었기에 조직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처음 용기를 냈습니다.
임원 A씨는 기본적으로 매사 항상 비난하는 투로 저와 구성원들을 닦달하였고, 업무시 간 외에도 수시로 카톡으로 강압적인 업무지시를 하여 저의 일상과 인간으로서 자존감 은 서서히 무너져 갔습니다. 그 어디에서보다 긴 시간을 보내는 일터에서 이유없는 괴롭힘을 겪어보신 분들은 이 고통을 잘 알 것이라 생각합니다. 주말과 설연휴, 퇴근 후 에도 시도 때도 없이 카톡을 통해 급하지 않은 업무지시를 하였고, 주말에 어차피 쉰다고 하지 않았냐고 하며 오전부터 연락을 하고 고통스러운 훈계를 지속하셨습니다. 카톡에는 드러나지 않은 문제된 성희롱성 발언이 이루어진 40분간의 대화에서도 '남자 둘이 밥먹는 것 보다 어린 여자분이 있는게 분위기도 좋고 낫다'라는 구린 성차별적 언 행과 생각을 전했으며, A 임원이 토요일에 한 업무지시 카톡에 제가 1분만에 즉각 답변 하자 왜 A 임원 본인이 업무 카톡을 보낸 몇십초 사이, 민희진 대표가 단톡에서 카톡을 보냈는데 자신의 카톡에 바로 답변해서 혼란스럽게 하냐고 혼내는 등 저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훈계와 지적을 일삼았습니다.
Image 4
한편, 갑자기 야근 중 불러내더니 전혀 예상치 않게 ‘(저를) 평가해야 하니 답해라, 회사 를 다니는 포부가 뭐냐'고 묻더니, 갑작스런 질문에 제가 준비해서 답변 드리겠다고 하 자, 저에게 '그럴거면 회사 다닐 필요 없다'며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닦달하기도 했습 니다.
저녁 8시 30분쯤 회사를 나서려고 할때 30분뒤부터 회의를 시작하자고 하여 제가 지금 바로 시작하거나, 원격으로 밤에 할 수 있겠냐고 묻자마자 언성을 높이며 소리쳤습니다. “지금 당장 프로젝트의 전체를 설명할 수 있냐고 하며, 어떻게 회의를 곧바로 하냐”며 "30분 뒤” 시작을 고집하셨습니다. 결국 그 날 저는 회의 전까지 프로젝트의 전반을 정 리해드렸고, 회의를 진행한 뒤 늦은 시간까지 회사에 남아서 일을 하였습니다. 일을 한 것이 힘든 것이 아니라, 모든 건에 관해 언성을 높여가며 감정적으로 대하는 것이 힘들 었습니다.이게 어떻게 임원 A씨와 저간의 단순한 오해에 그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쉽게도 하이브는 조사 후 징계를 할 정도의 성희롱 및 직장내 괴롭힘에 이르렀다고 명 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다만, A 임원의 행동이 부적절했음은 확실 하니 민희진 대표에게 A임원에 대해 “엄중한 경고 조치”를 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제 가 겪은 고통을 고작 '엄중한 경고'로 마무리 하려는 하이브의 조치가 너무 가볍다고 생 각하였지만, 어차피 회사를 떠날 상황에서 더 이상 신경쓰고 싶지 않아 그냥 참았습니 다. 그런데 민희진 대표는 A임원에 대한 엄중 경고 조치를 취하는 것마저 거부했다고 들 었습니다. 최근에서야 알게 된 것은, 민희진 대표가 제가 신고를 한 당일부터 조사가 끝 나고나서까지 적극적으로 임원A씨의 혐의없음을 주장했고, 그 과정에서 제게 온갖 미친 년이네, 인실좆이네 하는 선넘는 모욕을 일삼으셨다는 것입니다. 대표로서 사실 관계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짚고 넘어가기 보단, 저의 신고를 무효화하기 위해 저를 '일도 개같 이 못하면서 징징거리고 민폐만 끼치다가 짤리기 전에 나간사람으로 각을 짜서
몰아갔다는 것이 충성을 다한 직원으로서 서럽습니다.
Image 5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저는 저와 옆에서 일하던 구성원들의 상황이 조금이나마 나아질 것을 희망하며 퇴사하던 날까지도 용기내어, 대표님께 카톡을 보내며 임원 A씨의 무능 함과 괴롭힘 사례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수백줄에 걸쳐 전달했던 것이 3월 21일자부터 이어진 카톡입니다. 목요일 퇴사 후부터 주말 아침까지 진심으로 조직을 생각하며 메세 지를 보냈었습니다.
이런 메세지를 통해 퇴사 이후 임원 A씨와 만나보라며 나름의 중재의 노력, 다시 임원A 씨와 일해보라며 독려하신 것은 이해하는 바이나,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사과 한 줄 없이도 지난 과오가 씻겨내려가는 것은 아닙니다.
Image 6
<2>이번 사건에 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 드립니다. 충격적이겠지만, 여러분들이 디패 기사에서 보신 욕설은 실제로 업무 중 이뤄진 저에 대한 욕설입니다. 민희진 대표의 해 명문에서는 제 신고의 핀트가 어긋나게 표현되고 3월 6일부터 3월 16일 간의 맥락이 교 묘하게 편집되거나, (업무 관련이 아님에도 업무 관련이라며) 카톡이 마스킹되고 전후로 짜잘한 거짓이 섞이며 이러한 사실이 가려졌습니다.
즉, 민희진 대표는 자신의 해명문과 자료는 진실되며, 왜곡과 불법행위는 없어야한다고 주장해 왔던 말이 무색하게 저의 사적인 카톡을 짜깁기하여 공개하며 전체 맥락을 편집 하였습니다. 저는 지금 제가 겪는 고통을 누구보다 잘 아실 분의 거짓 해명에 이용되면 서 큰 충격과 상처를 받았습니다.
재직시절 저를 이렇게까지 궁지로 몰아넣은 민희진 대표가 해명문에서 대표자로서 중 립, 최선의 중재 운운하며 솔직하지 못한 발언을 하는 데에 유감스럽습니다. 특히 어도 어는 2월 15일 휴무기간이었는데도 휴무기간이 아니었다라고 주장하거나, 신고자가 신 고 당일 즉각 대표자에게 공유되었고 제게 연락할 수 있었음에도 '신고자가 공유되지 않 는' 원칙이 있다고 지어내는 등 여러 사소하고도 짜치는 거짓말을 섞어 장황히 변을 늘 어놓는 것을 보니 황당했습니다.
조용히 있던 제가 튀어나올 정도로 인간적으로 크게 실망한 지점은 민희진 대표님이 여 태까지 비판하던 짜깁기와 왜곡, 동의없는 카톡 공개를 하시고, 디패 기사의 욕설의 대 상도 제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라거나, 제 퇴사 이유와 맥락을 이용하며 거짓말을 온 대중을 상대로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표님 말마따나 한 때 같이 일한 사람에게 잘못 한 사실이 있으면서도 되려 이를 이용하고, 미안하다는 사과 한 줄 없었다는 것은
너무한 일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하고, 실수를 했다면 빠르게 인정을 하고 사과 를 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Image 7
<3> 민희진 대표님은 임원 A씨와 나눈 카톡은 단순 사담이고 애당초 공개된 것이 문제 라고 하실 것 같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오히려 제가 묻고 싶습니다. 민희진 대표님은 제 게 일언반구도 없이 저와 A 임원이 나눈 카톡을 본인의 해명문에 게재하여 만천하에 공 개하면서 교묘하게, 왜곡된 내용을 유포했습니다. 일주일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민희진 대표님은 제게 어떠한 사과도, 양해도 없었습니다. 조사 단계부터 개입되어 결과 처분에 영향이 미쳤을 것이 합당한 의심으로 판단되는 상황에서, 제게는 이 일이 대표님과 임원 A씨간 사적으로 일어난 일이 아닌, 업무적으로 일어난 일입니다. 어도어에서는 대부분 의 업무 보고가 카톡에서 이뤄집니다. 따라서 저는 대표님과 임원 간 회사일에 관한 카 톡 대화는 사실상 업무 메신저나 메일상 대화와 다름이 없다고 봅니다.
편집된 3월 6일과 16일 사이의 일에 관해서도 여쭙습니다. 대표님께서 진정으로 회사 대표로서 중립적으로 중재를 하였다고 하실 수 있나요? 민희진 대표님은 대표로서 공유받은 신고 내용을 가해자 A 임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A 임원의 이의 제기 내 용을 제안하고 검토해주며 가해자인 A 임원과 철저히 한편이었습니다. 조사가 시작되기 도 전부터 대표와 임원이 편을 먹고 신고를 은폐하고 신고자를 모욕했던 상황에서 조사 가 제대로 이루어졌을지도 의심스럽습니다.
성희롱이나 직장내 괴롭힘 사건의 경우 신고자와 피신고자를 분리해야 한다는 기본적 인 상식조차 없이, 민희진 대표를 포함하여 A임원과 저 간의 3자 대면, 또는 하이브 HR 이나 미팅에 동석한 광고주까지 포함한 4자 대면을 요구하며 신고자를 압박하는 환경 을 조성해달라는 요청도 계속 하셨습니다. 당시 저는 임원A씨와 회의실에 남을때마다 가해지는 고압적인 분위기에 스트레스가 심해 공식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의 근무를 요 청했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이런 말을 전해들었을 때의 제 심정은 참담했습 니다. 그래도 이해하려고 했었는데, 지금 상황은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Image 8
민희진 대표님은 하이브 인사팀에 항의할 당시 제가 일을 못해서 보복성 신고를 한 것으 로 보이게 프레임을 짜기 위해 온갖 증거를 모으려고 애쓰셨습니다. 민희진 대표는 저 를 ‘썅년’, 싸이코 정신병자', '미친년','인실좆 먹이'라며 온갖 욕과 폭언으로 짓밟고 모 욕했습니다. 가해자 임원 A씨에게는 변호사를 선임해서 무고죄로 고소하라고 부추기 고, 본인의 지위를 이용하여 제 신고가 무효화 되도록 백방으로 노력하셨습니다.
따라서, 민희진 대표님 해명문에서 주장한, 회사 대표로서 중립적인 태도를 취한 것이고 대표로서 적절한 중재를 한 행동인지 재차 묻고 싶습니다.
민희진 대표님의 이야기와 표현 속에서 저는 인실좆을 당해 마땅한 쌍년, 정신병, 미친 년, 사이코였고, 저는 A임원이 한 행동의 피해자가 아니라 일 못해서 회사를 그만두는 '남 좆되게 할라고 하는 천벌을 받을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저 주어진 일을 열심 히 수행하고 조직에 보탬이 되고자 한 한 명의 어도어 구성원이었을 뿐입니다.
민희진 대표님과 A임원의 진심이 담긴 사과를 기다립니다. 지난번처럼 핀트를 벗어나 는 실수를 두번 하지 않길 바랍니다. 잘못 알려진 사실을 구체적으로 바로잡아 주십시 오. 제 입장문조차 짜깁기고 거짓이라 하신다면, 진실을 명백히 밝히기 위한 추가 조치 를 취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