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플랫폼 : 거래비용 감소, 지식 공유 활성화, 최적 매칭
Albats, E., Etzkowitz, H., & Kalthaus, M. (2025). Digital platforms for academia–industry knowledge exchange: characterisation, functions, and types. Industry and Innovation. DOI: 10.1080/13662716.2025.2530490
이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이 학계와 산업 간의 지식 교류를 어떻게 촉진하는지 탐구한다(Albats, Etzkowitz, & Kalthaus, 2025). 특히 플랫폼이 지식 교환을 위한 중개자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학계-산업 협력의 전통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디지털 방식의 지식 매칭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연구진은 9개의 사례 연구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의 기능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핵심 기능을 확인하였다.
첫째, 거리 제한을 극복하고 거래 비용을 줄인다. 플랫폼은 물리적 거리로 인한 한계를 없애고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적인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사용자 지식과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한다. 이는 표면적 접근에서부터 깊이 있는 접근까지 다양한 범위로 나타난다.
셋째, 지식을 디지털 형태로 코딩하여 공유 가능하게 한다. 이는 기존의 암묵적 지식을 명시적이고 구조화된 형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넷째, 사용자 지식을 변환(transform)하여, 일반화된 형태에서부터 개인 맞춤형 형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이는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지식을 재구성하여 효과적인 매칭을 돕는다.
다섯째, 최적의 매칭을 촉진한다.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된 알고리즘에서부터 플랫폼 관리자의 수동적 개입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연구진은 사용자 지식과의 상호작용 깊이와 지식 변환의 개인화 정도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을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디스플레이-윈도우(display-window) 유형 플랫폼은 지식을 단순히 디지털화하고 제공하는 기본적 수준이다.
브로커(broker) 유형 플랫폼은 이미 코드화된 명시적 지식(IP 등)을 중심으로 자동화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계 활성화(relationship-enabler) 유형 플랫폼은 사용자의 지식을 일부 개인화하여 맞춤형 매칭을 지원한다.
심층 다이브(deep-dive) 유형 플랫폼은 사용자의 암묵적 지식을 적극적으로 코드화하며 깊이 있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플랫폼 유형 구분을 통해 연구자들은 디지털 플랫폼이 학계-산업 간 상호작용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강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시각을 제시한다.
또한, 디지털 지식 중개자로서 플랫폼의 역할과 전략적 선택을 이론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학계와 산업 협력 모델의 혁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술적 기여를 한다.
Albats, E., Etzkowitz, H., & Kalthaus, M. (2025). Digital platforms for academia–industry knowledge exchange: characterisation, functions, and types. Industry and Innovation. DOI: 10.1080/13662716.2025.2530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