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공증문서관리프로그램 > SQL SERVER 설정방법

SQL SERVER 설정방법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과 SQL SERVER

Sql Server는 Microsoft사에서 개발한 전문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다양한 제품군이 출시되어 있으나 '공증문서관리프로그램'에서는 Microsoft사가 무료사용을 허용하고 있는 MS Sql Server 2008 R2 Express 제품을 데이터베이스 도구로 선택하였습니다.

Sql Server는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에 포함된 구성부분이 아니라, 별도의 독자적인 프로그램입니다. Sql Server는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Sql Server 2008 R2는 무료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Microsoft 사의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되지만, 그 과정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Sql Server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 상단 메뉴 중 '설정 > 데이터베이스 설정'을 눌러 데이터베이스 설정 화면이 나오면 그곳에서 'Sql Server 설치' 버튼(같은 화면 우측의 '서버검색' 버튼을 눌러야 활성화됨)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Sql Server의 데이터를 조작하려면 연결설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Sql Server에 접속할 때에는 '윈도우 인증'과 'Sql Server 인증'이라는 두 가지 인증모드가 있습니다. 전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Sql Server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인증모드로 비밀번호 없이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후자는 사용자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에 설치된 Sql Server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인증모드로 로그인 ID와 비밀번호가 있어야만 접속이 가능합니다.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은 기본 서버/데이터베이스가 같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두 가지 인증모드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이 같은 컴퓨터에 있는 서버/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때에는 '윈도우 인증' 모드로, 다른 컴퓨터에 있는 서버/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때에는 'Sql Server 인증' 모드로 연결을 시켜줍니다.

서버 / 클라이언트, TCP 동적포트 / 고정포트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측과 클라이언트측의 상호연관관계를 통하여 운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이 서버 측(위 Sql Server)에 해당하며 서버 측으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데이터를 만들어 이를 서버 측에 저장하는 등의 조작을 하는 쪽이 클라이언트 측(공증문서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서버측과 클라이언트측은 같은 컴퓨터에 놓여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하나의 서버에 대하여 여러 개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공증사무소의 전형적인 네트워크 구성형태). 후자의 경우 컴퓨터 사이의 통신은 포트를 통하여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 때 TCP/IP라는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Sql Server Express 제품은 컴퓨터 사이의 연결을 설정할 때 우선 사용가능한 'TCP 동적포트'를 자동적으로 배정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고정된 'TCP 포트'(1433)를 배정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Sql Server 2008 R2 Express를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컴퓨터 간에 연결을 시도할 때 Sql Server 2008 R2 Express가 사용가능한 TCP 동적포트을 자동적으로 찾아내어 이를 통하여 접속이 이루어 집니다. TCP 동적포트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지면 아래 '고정 TCP PORT(1433)로 SQL SERVER 설정하는 방법'에서 설명하는 고정 TCP 연결설정을 따로 할 필요가 없습니다.

TCP 동적포트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려면, 우선 프로그램 상단 메뉴 중 '설정 > 데이터베이스 설정'을 눌러 데이터베이스 설정창을 띄웁니다. 데이터베이스 설정창 우측의 '가져오기'버튼을 눌러 연결가능한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가져오고 그 중에서 기본 서버/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할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설정'버튼을 누릅니다. 위 과정에서 아무런 문제 없이 데이터베이스 설정이 완료되면 TCP 동적포트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 '가져오기' 버튼을 눌렀을 때 다른 컴퓨터에 설치된 Sql Server 목록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무한루프에 빠지거나 목록이 뜨더라도 그 중 특정 서버를 선택했을 때 우측에 데이터베이스가 뜨지 않고 무한루프 상태에 빠지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이는 TCP 동적포트에 의한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 때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서 고정된 'TCP 포트'(1433)를 연결포트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고정 TCP PORT(1433)로 SQL SERVER 설정하는 방법

고정된 'TCP 포트'(1433)를 연결포트로 설정해 주려면, Sql Server 2008 R2 Express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 대하여 ① Sql Server 구성관리자 설정,②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설정, ③ 방화벽 설정을 각각 해 주어야 합니다. 그 중 'Sql Server 구성관리자'나 'Sql Server Management Studio'는 메인 프로그램인 Sql Server 2008 R2 Express가 설치되면 패키지로 함께 설치되는 보조 프로그램들 중 일부입니다. 윈도우 시작메뉴 > 모든 프로그램에서 'Microsoft Sql Server 2008 R2'라는 폴더를 찾아 클릭해 보면 그 안의 항목 중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Sql Server 구성관리자는 'Microsoft Sql Server 2008 R2' 안의 '구성도구'라는 폴더 하부에 위치하고 있음).


  • SQL SERVER 구성관리자 설정

  1. 윈도 시작메뉴 모든 프로그램에서 'Sql Server 구성관리자'를 찾은 다음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만약 모든 프로그램의 목록에서 'Sql Server 구성관리자'를 찾을 수 없다면 윈도 '시작' 버튼 우측의 검색창에 실행파일명 'SQLServerManager10.msc'를 직접 타이핑하고 엔터를 치면 Sql Server 구성관리자가 실행됩니다. 이 때 "이 앱이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시겠어요?"라는 문구가 나오면 '예'를 눌러 줍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왼쪽의 좁은 패널과 오른쪽의 넓은 패널로 나뉘어져 있는 프로그램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2. 왼쪽 패널에서 'Sql Server 서비스'라는 항목을 눌러 선택합니다. 그러면 오른쪽 패널에 ① SQL Server(SQLEXPRESS), ② SQL Server 에이전트(SQLEXPRESS), ③ SQL Server Browser라는 세 가지 항목이 나타납니다. 그 중 SQL Server(SQLEXPRESS)와 SQL Server Browser의 상태가 '실행중', 시작모드가 '자동'으로 각각 설정되어 있으면 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속성'을 클릭하여 속성창이 뜨면 '서비스' 탭을 누르고 '시작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

  3. 왼쪽 패널에서 'Sql Server 네트워크 구성'이라는 항목('(32비트)'라는 표시가 붙어있지 않은 것)을 클릭합니다. 그 아래에 'SQLEXPRESS에 대한 프로토콜'이라는 항목이 나타나면 이를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오른쪽 패널에 4가지 항목이 뜨면 그 중 'TCP/IP'라는 항목을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을 선택합니다. 만약 오른쪽 패널에 나와 있는 'TCP/IP'의 상태가 '사용 안함'으로 되어 있었다면 속성창의 '프로토콜' 탭에서 '사용'을 '예'로 바꾸어 줍니다. 또 '프로토콜' 탭의 '모두수신' 항목이 '예'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예'로 바꾸어 줍니다. 그리고 'IP주소' 탭으로 넘어가면 위에서 아래로 IP1, IP2, IP3 .... 등 순서대로 항목이 열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마지막에 있는 'IPAll' 항목에 대하여 'TCP 동적포트'를 지우고(값이 '0'으로 되어 있어도 이를 지워야 함) 'TCP포트'를 '1433'으로 고쳐줍니다.

  4. 왼쪽 패널에서 'Sql Native Client 10.0 구성'이라는 항목('(32비트)'라는 표시가 붙어있지 않은 것)을 클릭합니다. 그 아래에 '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이라는 항목이 나타나면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오른쪽 패널에 4가지 항목이 뜨면 그 중 'TCP/IP'라는 항목이 '사용'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을 누르고 속성창이 뜨면 '사용'을 '예'로 고쳐줍니다.

  5. 위 2. 내지 4.의 과정에서 어느 항목이라도 설정을 바꾸어주면 "변경내용은 모두 저장되지만 서비스를 중지한 다음 다시 시작해야 변경내용이 적용됩니다."라는 경고문구가 뜹니다. 설정을 변경할 때마다 서비스를 재시작할 필요는 없고 위 2. 내지 4. 과정을 모두 마친 다음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됩니다. 왼쪽 패널에서 'Sql Server 서비스' 항목을 클릭하여 선택하고 오른쪽 패널에 SQL Server (SQLEXPRESS) 항목을 오른쪽 클릭한 후 '다시 시작'버튼을 눌러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설정

  1. '모든 프로그램'에서 'Microsoft Sql Server 2008 R2'라는 폴더를 찾아 클릭하여 그 하부에 있는 Sql Server Management Studio를 실행합니다. '서버에 연결' 창이 뜨면 서버유형이 '데이터베이스엔진', 서버이름이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명 + '₩SQLEXPRESS'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인증모드를 'Window 인증'으로 놓고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2. 프로그램 화면의 왼쪽 좁은 패널의 제일 윗쪽에 나와 있는 서버이름(현재 사용중인 컴퓨터명 + '₩SQLEXPRESS')에 오른쪽 클릭을 하여 '속성'을 누릅니다.

  3. '속성' 창이 뜨면 그 왼쪽 상단의 '페이지선택' 중 '보안'을 선택하여 우측 상단에 나타난 '서버인증'이 'Sql Server 및 Window 인증모드'로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페이지선택' 중 '연결'을 선택하여 우측 하단에 나타난 '이 서버에 대한 원격연결 허용' 부분이 체크된 상태로 되어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4. 프로그램 화면의 왼쪽 패널의 서버이름 아래에 '보안'을 더블클릭하고 이어서 나타난 '로그인'을 더블클릭합니다. 로그인의 아래에 나타난 항목 중 'sa'를 더블클릭하여 속성창을 띄웁니다.

  5. 속성창 왼쪽 상단의 '페이지 선택' 중 '상태'를 선택하여 우측에 나타난 '데이터베이스엔진 연결권한'이 '허용'으로, '로그인'이 '사용'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방화벽 설정

  1. 제어판을 띄우고 '시스템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이어서 나타난 'Windows 방화벽'을 클릭합니다. 방화벽 설정화면의 왼쪽 패널에 있는 '고급 설정'을 클릭하여 '고급보안이 포함된 Windows 방화벽' 창을 띄웁니다. 윈도 10의 경우 제어판은 윈도 '시작'메뉴 > '모든 프로그램'의 목록 가운데 'W' 항목의 'Windows 시스템' 폴더 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 '고급보안이 포함된 Windows 방화벽' 창이 뜨면 화면이 왼쪽, 중간, 오른쪽 패널로 나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간 패널에서 'SqlPort1433'과 같이 1433이 표시된 인바운드규칙이 발견되면 아래 과정을 밟지 않아도 됩니다(다만 'SQLPortUdp1434'가 있더라도 이는 별개의 인바운드규칙이므로 아래의 과정을 밟아야 합니다.).

  3. 왼쪽 패널에서 '인바운드규칙'을 선택하고 오른쪽 패널에서 '새 규칙...' 버튼을 누르면, '새 인바운드규칙 마법사' 창이 뜹니다.

  4. 마법사 창이 뜨면, 1) 규칙의 종류 단계에서 '포트'를 선택하고, 2) 프로토콜 및 포트 단계에서 'TCP(T)'와 '특정로컬포트'를 선택하고 빈 입력란에 '1433'이라고 기재합니다. 3) 작업 단계에서 '연결허용'을, 4) 프로필 단계에서 도메인, 개인, 공용 모두를 선택하고 5) 이름 단계에서 '이름' 란에 적절한 규칙이름(예컨대 'SqlPort1433')을 적어 넣은 다음 '마침' 버튼을 누릅니다.

  5. 위 중간 패널의 인바운드규칙 목록에 3.에서 정한 규칙이름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Windows Defender 방화벽의 설정해제

윈도 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고정 TCP 포트를 1433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윈도의 방화벽이 이 프로그램에 의한 Sql Server 접속을 차단하는 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제어판에서 Windows Defender 방화벽의 설정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우선 제어판을 띄우고 '시스템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이어서 나타난 'Windows 방화벽'을 클릭합니다. 방화벽 설정화면의 왼쪽 패널에 있는 'Windows Defender 방화벽 설정 또는 해제'을 클릭하여 '설정 사용자 지정' 창을 띄웁니다. 윈도 10의 경우 제어판은 윈도 '시작'메뉴 > '모든 프로그램'의 목록 가운데 'W' 항목의 'Windows 시스템' 폴더 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 '설정 사용자 지정' 창이 뜨면 가운데 부분의 '개인 네트워크 설정'에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사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또 '공용 네트워크 설정'에서도 'Windows Defender 방화벽 사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확인'을 눌러 설정내용을 저장합니다.

공증인 한정화 사무소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997, 4층 2호 (천호동, 신라빌딩) / T: 02-477-0789 F: 02-477-0749 / gardnma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