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l(&Death) particle 만들고 본 firework particle에 적용시키기
Trail은 기존 파티클을 따라다니는 꼬리 이며 Death는 파티클 끝에 펑!하고 터지는 파티클입니다.
두 파티클은 하나를 수정해서 사용 할 수 있으며 우선 Trail파티클 부터 만들어 적용시키도록 하겠습니다.
Start Speed, Start Size, Gravity Modifier
Shape->Box
Collision -> World, Collision-> Bounce
를 위의 이미지를 참고하며 수정 해 주세요.
그 뒤 새 파티클(firework particle)을 생성 한 뒤
Sub Emitters->Birth에 방금 만든 파티클을 적용시켜줍니다.
기존 파티클에 따라다니는 Trail파티클이 추가 된 걸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Death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방금 만들어뒀던 Trail particle에 추가로
Sub Emitters->Collision 부분에 자기 자신 파티클을 추가 해 주세요.
그러면 이런 파티클로 변경됩니다.
그 뒤 다시한번 firework particle -> Sub Emitters -> Death에 다시한번 파티클을 추가 해 줍니다.
이런 모양으로 만들어집니다. 거의 완성 했어요! ( 처음에 색을 지정 해 주지 않았다면 하얀색으로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
후에 조정 할때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Sub Emiter의 이름 뒤 Trail과 death를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firework particle 세부사항 조정하기
firework particle -> SubEmitter (trail) 의 설정 부분입니다.
Start Speed, Start Color(선택사항)
Shape -> Cone
Color over Lifetime
을 수정 해 주세요.
firework particle -> SubEmitter (Death) 의 설정 부분입니다.
Start Lifetime, Start Size, Start Color(선택사항)
Color over LifeTime
을 수정 해 주세요.
깜빡하고 이미지에 넣지 못했지만 Emission -> Bursts의 Min값과 Max값도 10으로 바꿔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 선택사항 : Material 적용
좀 더 예쁘게 보이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택사항입니다.
이미지는 구글에서 파티클용 이미지를 찾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Assets -> New Material을 생성 하신 뒤 Shader -> Paticles/Additive (soft) 를 선택 하신 뒤 받아놓은 파티클용 아틀라스 이미지를 넣어줍니다.
제대로 생성이 되었다면 firework particle -> SubEmitter (Death)의 Renderer->Material을 방금 만든 Material로 변경 해 줍니다.
또한 Texture Shader Animation을 체크 한 뒤 Tiles의 X, Y를 수정합니다.
파티클이 나올 때 이렇게 한 칸씩(하나씩) 잘려서 나온다면 제대로 설정 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firework particle 의 설정 부분입니다.
start Speed, Start Color(선택사항)
을 수정 해 주세요.
++선택사항 : 방금 Death paticle에 적용 했던 것 처럼 똑같이 Material 적용, Texture Shader Animation을 수정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