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  력

 

2010. 9  - 2014. 12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업 (농업경제학 박사) 

2005. 9  - 2007. 8     고려대학교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졸업(경제학 석사)

2001. 3  - 2005. 8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졸업(경제학 학사)

 

□ 경 력

 

2022. 9  - 현재  고려대학교, 교수

2020. 1  - 현재 기획재정부, 보조사업평가단 평가위원

2024. 5  - 현재 기획재정부, 재정정책자문회의 민간위원

2023. 9  - 현재 농림축산식품부, 정책자문위원 

2024. 9  - 현재 농림축산식품부 재정사업,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24. 1  - 현재 산림청 재정사업,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24. 3  - 현재 농림축산검역본부, 동축산물 검역분야 전문가 협의체 위원 

2023. 5  - 현재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운영위원   

2021. 9  - 현재  한국농업경제학회, 이사

2022. 1  - 현재  한국농식품정책학회, 이사

2023. 1  - 현재  한국축산경영학회, 이사

2024. 3  - 현재  한국식품유통학회, 이사

2023. 1  - 현재  한국유기농업학회, 한국유기농업학회지 편집위원

2018. 1  - 현재  국제통상학회, 국제통상연구 편집위원

2019. 1  - 현재  한국농업경제학회, 농업경제연구 편집위원

2019. 1  - 2025.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편집위원

2023.10  - 2024. 6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주요정책과제 평가위원, 전문가 TF 위원

2023. 3 - 2024. 2  한국농식품정책학회, 농업경영정책연구 편집위원

2016. 1  - 2022.12  한국축산경영학회, 농업경영정책연구 편집위원

2021.11  - 2023.10.31 농림축산검역본부 동축산물 검역분야 기술자문위원회 자문위원

2021. 9  - 2022. 8  고려대학교, 조교수

2021. 9  - 2022. 8  한국농업경제학회, 사무국장

2017. 6  - 2021. 8  강원대학교, 조교수

2020. 2  - 2021. 1  학부장,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강원대학교

2018.10  - 2021. 1  전공주임, 농업자원경제학전공,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강원대학교

2018.10  - 2021. 1  전공주임, 글로벌농업경제학전공, 국제협력학과, 강원대학교

2019. 9  - 2021. 8  강원도 신농정 거버넌스 위원

2019. 4  - 2019. 5  WTO 농업협상그룹회의(CoA-SS) 대표단

2015. 1  - 2018. 12  대외경제전문가풀(KOPIE) 농업연구회 전문가

2017. 9  - 2018. 8  KNU-KOICA Scholarship Program 부단장

2017. 9  - 2021. 2  강원농산어촌미래포럼 사무국장

2017. 1  - 2017. 12  한국농업경제학회, 국제교류위원

2017. 1  - 2017. 12  제주전략포럼, 자문위원

2015. 1  - 2017. 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통상연구팀장, 부연구위원

2013. 1  - 2014. 8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Agribusiness, Food, and Consumer Economics Research Center (AFCERC),  연구조교

2009. 10  - 2010.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턴

2007. 7  - 2009. 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

2005. 9  - 2007. 6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연구조교

 

□ 학술지 논문



□ 연구보고서



□ 학술발표

 



□ 수탁 및 참여 용역 과제

 · 2024년 음식점 업 고용허가제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 방안 연구(2024), 농림축산식품부

 · 베트남 중부지역 꽝빈성 평화마을 농촌개발 프로그램, (2022-2026), KOICA

 · 농협의 조합원 실익 및 국민경제 기여도 평가(2023), 농협중앙회

 · 수출지원사업효과성 분석(2023),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외식산업 인력난 통계구축(2023), 농림축산식품부

 · 신성장 식품의 구입 행태 분석(2022), 농촌진흥청

 · 미국의 농가소득 및 경영안정 정책과 농업예산 지출 구조가 한국 농정에 주는 시사점 (2022), 농협경제지주

 · 농림어업총조사 등록센서스 도입방안 연구(2022), 통계청

 · 농산물 수급조절매뉴얼 개선 연구용역 (202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한-아세안 농업협력 확대방안 연구 (2021), 농림축산식품부

 · 가락시장 가격정보 개선 연구 (2021),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과실 부문 FTA 영향분석 특화모형 개발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우리나라 가구의 채소 소비 지출 동향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Post-농업협상 대비 강원도 농업 정책 대응 방안 분석 조사용역 (2020), 강원연구원

 · 소비분석사업『심층분석』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평화시대 남북교류협력 유형별 사업 평가 연구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수출물류비 폐지 대비 지자체 협력 방안 마련 (2020), 농림축산식품부

 · 주요 교역모형 적용 타당성 검토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인삼 및 관련 제품의 수출시장 경쟁력 분석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업경제 역량강화 석사학위연수 프로그램 (2017~2020), 한국국제협력단

 · 캄보디아 영농기술 전수를 통한 농업생산성 증대사업 시설 운영 PMC선정 용역 (2019), 농촌진흥청

 · 건강한 식품소비 관련 국내외 정책/연구 동향과 시사점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요 OECD 회원국의 농업부문 혁신·생산성·지속가능성 추진동향 및 시사점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업관측사업의 효과 분석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가공식품 심층 분석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촌진흥기관 주요 기술의 지역성장 파급 효과의 전략적 분석 (2019), 농촌진흥청

 · 임산물 생산·유통·소비 정보 전달에 따른 품목별 소비자와 생산자 잉여 추정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합판·표고버섯의 적정 조정관세율 산정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건강한 식품소비 관련 국내외 정책/연구 동향과 시사점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국 신선편이 과일/채소 시장 및 정책 현황과 국내 업체의 경영실태 분석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통상환경 변화 대응 수출지원사업 개편 용역 (2019),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해외 농업 혁신 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형 선진통상농업 구현 방안 연구 (2019),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WTO DDA 농업협상 대응방안 (2018), 농림축산식품부

 · 유기식품 동등성 인정 협정 영향평가 및 추진방향 연구 (2018), 농림축산식품부

 · 가계부 조사를 이용한 우리나라 가구의 가공식품 소비 분석 (20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음식물 쓰레기/낭비(Food Loss and Waste) 관련 국내외 정책/연구 동향·현황과 시사점 (20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국/EU 농식품 인증·표시 최신동향 및 시사점 (20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축사표준설계도(닭·오리) 개발타당성 연구용역 (2018), 농협중앙회

 · 한‧미 FTA 개정협상 농업분야 대응전략 (20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업부문 수출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한 수산부문 시사점 도출 (2017), 해양수산개발연구원

 · 한-EAEU FTA 농업분야 대응전략 수립 (20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18~’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방안 연구용역 (2017), 농림축산식품부

 · 국제통상환경변화와 농업통상 전략: 비관세조치 대응을 중심으로 (20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20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 신행정부 출범 관련 국제 통상 자문 (2017),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수출 지원 사업 효과성 분석 조사 용역 (2017),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제 11차 WTO 각료회의 대비 DDA 협상 방안, 농림축산식품부

 · Post-FTA 농업통상 현안 대응방안 (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한·GCC 및 한·이스라엘 FTA 경제적 영향분석 연구 (2016), 농림축산식품부

 · 식량안보 목적의 농업보조금 개편방안: Post Bali DDA 협상 대응을 중심으로 (2015), 농림축산식품부

 · TPP 농업/SPS분야 연구 (2015), 산업통상자원부

 · 한·베트남 FTA 영향평가 (2015), 농림축산식품부

 · 한·중남미 FTA 체결시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2015), 농림축산식품부

 · 세계 농산물 무역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FTA를 활용한 농산물 수출증대 전략 연구(2의2년도)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TPP 협상 동향과 시사점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DDA 협상 대응 시나리오 구상 (2015), 농림축산식품부

 · On-line Soybean Checkoff Expenditure Database System (2013), United Soybean Board

 · Effectiveness of Soybean Export Promotion (2013), US Soybean Export Council

 · APEC 아태자유무역지대 가능성 및 영향 연구 (2007), 외교통상부

 · APEC 개별실행계획(IAP) 검토회의 준비 (2008), 외교통상부

 · APEC IAP Peer Review: Mexican Study Report (2008), 외교통상부

 · 아태경제공동체 창설과 APEC (2008), 기획재정부

 · APEC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논의 관련 우리정부의 대응 방안 (2008), 외교통상부

 · APEC FTAAP 추진을 위한 연구 분석 및 정책 대안 제시 (2008), 외교통상부

 · UNWTO 비전과 전략개발 (2009), 한국관광공사

 · 농촌거주직불제의 도입방안 연구 (2006), 농촌진흥청

 · Scoring을 통한 민감품목 선정 연구 (2006), 농식품부

 · 한미 FTA가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 (2007), 농협경제연구소


□ 수상경력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 2024

산림청장 표창, 2021

농림수산부 장관 표창(캄보디아, 팀), 2019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 2016

 

□ 교내봉사

강원대학교 글로벌 대학평가지표 관리위원회, 2020  - 2021. 8

강원대학교 농대 미래전문농업경영인과정사업단, 2020  - 2021. 8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발전위원회, 2020  - 2021. 8

강원대학교 국제교류 혁신TF, 2020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과정위원회, 2019


□ 자격증

유통관리사, 상공회의소

투자상담사, 증권업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