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열과 타일 Line and Tile
※ 이 페이지에서는 필드맵인 '전열맵'을 다룰 경우를 설명합니다.
※ 전열맵이 없어도 서술만 가지고도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 아래 이미지 예제에 나온 수치들은 임의로 넣어둔 수치들이므로,
실제 룰에서 적용되는 수치들과는 다를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참고해주세요.
필드맵인 '전열맵'을 사용할 경우 위의 이미지와 같은 가로 7칸, 세로 6칸의 맵을 사용하게 됩니다.
각각 아군의 전열, 중열, 후열, 그리고 상대의 전열, 중열, 후열로 나뉘는 전장이며,
이 전장은 아군의 경우엔 소환수나 구조물만이 놓이며, 상대편 전장에는 PC들이 상대할 적들이 놓여집니다.
PC들은 전열맵상에 놓여지지 않고, 전열의 가장 안쪽에 놓여진 것으로 간주됩니다.
구조물은 일반적으론 한 번 설치한 곳에 지속적으로 놓여져있으며,
소환수의 경우는 아군 전장내에 한해 움직일 수 있으나, 한 칸 당 마나 코스트 1을 소모하여 움직이게 됩니다.
근접공격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상대편 전열에 구조물이 아닌 적이 단 한 개체라도 있다면 중열과 후열을 공격할 수 없고,
전열에 있는 적을 섬멸해야 중열을, 그리고 중열도 마찬가지로 섬멸해야 후열을 공격할 수 있으며,
원거리공격은 진열과 상관없이 원하는 대상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연금술계열의 스킬을 익히면 엄폐물을 만들어낼 수도 있는데,
엄폐물의 효과를 받을 수 있는 위치는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 맨 왼쪽 PC = 왼쪽에서 1, 2 칸
• 왼쪽에서 두번째 PC = 왼쪽에서 2, 3, 4칸
• 오른쪽에서 두번째 PC = 오른쪽에서 2, 3, 4칸
• 맨 오른쪽 PC = 오른쪽에서 1, 2칸
PC들이 영향을 받을 엄폐물은 전열, 중열, 후열중 어디에 놓여 있어도 상관없습니다.
타일들은 타일별로 각각 직관적으로 타일들이 갖는 속성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용암타일이라면 일반적이라면 소환수나 구조물을 놓을 수 없고 화속성이 계속 적용되며,
설원타일이라면 일반적인 타일과 동일하나 냉기속성을 갖는 식입니다.
각 타일별로 특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초원 = 일반적, 함정 및 구조물 설치가능
• 수풀 = 일반적, 함정 및 구조물 설치가능, 이 타일에 놓인 구조물이나 소환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은신
• 모래 = 일반적, 대지속성, 함정 및 구조물 설치가능, 불이 붙지 않음, 대지속성 소환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은신
• 물 = 수속성, 비행 및 물 타입이 아니면 배치불가, 물속성 소환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은신
• 설원 = 일반적, 냉기속성, 냉기속성 소환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은신
• 용암 = 화속성, 비행 및 불 타입이 아니면 배치불가, 화염속성 소환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은신
• 에너지 = 전격속성, 전격 및 마력속성이 아니면 배치불가, 주문증폭 구조물 설치시 증폭량 +1, 전격속성 소환수는 일반적으로 자동은신
• 석재 = 일반적, 함정 및 구조물 설치가능, 바리케이드 설치시 내구도 +5
• 나락 = 비행타입이 아니면 배치불가. 떨어지면 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