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문항 및 산출물 링크https://docs.google.com/forms/d/15VJARU9aLoAnSGwMz9m1yVqCFR9qDFeFgzZPnWLcp9w/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이 양식 이후에 변경된 양식으로 해야될 것 같습니다. 수정했습니다~!!
2차시 분량인가요? 방탈출은 잘은 모르지만 원조가 김정식선생님인 것 같은데요, 출처를 밝혀야할까요? 참고자료를 밝혀두었습니다!
과학과 교과역량이 아닙니다. 과학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파일 3페이지에 있습니다~수정했습니다!
간단명료하게 표현이 잘 알아볼 수 있게 작성되어 있습니다.
정량평가가 가능할까요? Pass / Fail 방식으로 진행하는 방법이 있고 맞춘 개수에 따라 잘함/노력요함으로 배움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다만, 방탈출 과정을 진행하면서 교사나 다른 동료와의 의사소통은 어떻게 진행되는건가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이번 평가는 자기평가에 중심이 맞추어져 있어서 동료평가 부분은 중점적으로 고려하지 않았습니다만 평가 정리 단계에서 응답 시트지를 함께 확인하는 과정이 있으니 다른 친구들을 어떤 답을 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응답 시트지를 함께 분석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오개념을 확인해서 바로 잡는 것을 평가 정리 단계에 반영해두었습니다.^^
한단계 풀면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평가가 진행되는 것은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선생님^^ 와~!!선생님의 생각과 완전 같은 고민을 저도 했어요!! 어떤 방식이 효과적일까 생각하면서 방탈출 유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해보았는데 다섯번째 나오는 화학 관련한 평가 문항에서는 말씀하신 방식대로 구성해보았습니다.
평가문항 및 산출물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BpVVLoFiWdGE8GSMTPKuy9DU5dSnRBJhRDEzGgDOEeI/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동료평가가 서열화에 사용되지 않고 서로 성장시킬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어 좋습니다.
스마트폰의 열화상카메라는 대부분 엉터리인 것 같습니다. 실제로 매우 비싸기도 하구요. 코로나가 끝나면 중앙현관에서 사용하는 열화상카메라를 빌릴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스마트폰 열화상카메라앱이 정밀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학교에 구비하고 있는 열화상카메라나 액정온도계를 대여해주는 방법, 집에 있는 체온계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생각해보았습니다.
실제 우리집을 조사하여 실생활과 관련지은 점이 좋습니다. 다만 빈부차이가 표시나지 않는 방법을 고민해야할 것 같습니다. 온도 측정하는 장면을 위주로 사진을 찍게 하니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산출물 예시를 참고해주세요^^
2차 검토 의견 작성
구글 프리젠테이션을 활용해 패시브하우스를 설계하는 보습이 상당히 인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설계 과정에서 그치지 않고 입체적인 산출물로 만드는 과정을 넣는건 어떨까라는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아하!! 그러네요! 주택을 입체로 제작하면서 기술가정, 미술과 연계하여 교과통합 수업으로도 적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학생들이 작업을 하자면 시간이 좀 더 소요되니 그 다음 차시에 이어서 연결해봐야겠습니다~멋진 아이디어 감사합니다!!
평가문항 및 산출물 링크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Hfs1d7yzevJWCcFyqn2dO8DQWiyhPccwVifA2mOBGis/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평가활동에는 원소만 있는데 수업활동에는 순물질과 혼합물까지 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수업과 평가를 최대한 일치시켜보았습니다
주변의 물건들과 검색도구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하게 한 점이 좋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주어진 예시(사진)의 양이 많으면 학생들의 수업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개 모둠으로 나누어 활동하는 것으로 설계해서 한정된 사진 속에서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와 물질의 분류를 하도록 미션을 제시하는 것이 본래의 의도입니다^^
평가문항 및 산출물 링크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NAB_zgbAYpfjLsVfp9QU1Il9giDvYq4oQaRsJ6yfr-4/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포트폴리오형이라면 이전에 했던 거라던지 정리활동에서 차시에 할 활동이 누적되는 내용을 안내하면 좋겠습니다.(작업자 꼬리표 기능으로 1시간 내에서 포트폴리오인가요? 사실상 이건 어렵긴 합니다만) 다음 차시에 식물의 분류를 누적하여 다루게 됨을 예고해두었습니다.
주변의 동식물을 직접 찍어서 학습에 사용하는 점이 매우 좋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계획하신 수업내용과 사용하시는 평가도구가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포트폴리오 방식인것을 감안하면 패들렛 등의 다른 도구를 활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제 수업은 패들렛이나 구글 프리젠테이션을 거의 비슷한 용도로 활용하게 되는데 제 경험 상 중학생을 데리고 실제 활동을 해보니 도구를 여러개 쓰다보면 아이들이 더 헤매는 경우를 보았거든요^^ 오히려 도구 사용이 심플한 것이 더 수업 내용에 집중하는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줌과 구글 프리젠테이션의 위치가 바뀌어 자료에 입력되는 것이 다른분들의 작성양식과 일치되어 보입니다. 선생님 네~ 수정했습니다!
평가문항 및 산출물 링크https://docs.google.com/forms/d/1XxSqgL0i8rKT7JasUHcTR02yxPrwpQCRmhRWEt4gUDQ/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게이미피케이션을 도입하여 학생참여를 유도한 점이 좋습니다.
구글폼의 응답시트에서 오답을 찾아보는 방법도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수준에 맞게 동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심화학습을 제공하는 것도 좋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게이미피케이션 방식을 도입한 수업 설계는 매우 좋은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반응도 폭발적이여서 적극 추천드립니다. 다만 평가도구에 구글폼 이외에 카훗, 띵커벨, 소크라티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업을 설계하심을 추가적으로 말씀드립니다. 넵!! 이번에 좀 더 시간을 투자하여 배워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보겠습니다.
평가문항 및 산출물 링크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1NUBFqstsFxtIVx1MHWkfQVldW89ve_m18ZAHfv-BeY/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모둠별로 기상관련 사진을 제공하여 기상요소를 스스로 찾게 하는 점이 좋습니다.
기상청에서 일기도자료를 찾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상청 일기도자료 분석은 한차시에 모두 다루기에는 분량이 많은 것 같아 별도의 시간을 안배하도록 하겠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줌과 구글 프리젠테이션의 입력 위치가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네! 수정했습니다.
평가문항 및 산출물 링크https://docs.google.com/forms/d/1UPcpaCNN9fZ3Sgxm7L5mCLc5I6ui2iT05WrYeBi76uE/edit?usp=sharing
1차 검토 의견 작성
실험도구도 없고 지루한 온라인 수업에서 탐정버전 방탈출도 멋집니다. 학생들이 매우 좋아할 것 같습니다.
수준에 맞게 동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심화학습을 제공하는 것도 좋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추리게임을 활용한 수업 설계 좋은 것 같습니다. 중학교 2학년 학생 수준에서 수업방식이나 게임방식에 대한 수준별 안내가 세심하게 필요해 보이며, 낙오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지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게임에 들어가기 전에 학생들에게 전체 흐름과 자세한 안내를 하는 순서를 추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