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전기 단원은 학생들이 직접 전기 회로를 연결해보는 것이 개념 형성에 매우 중요하므로 옴의 법칙보다 실제 물리량들의 관계에 집중하는 교사의 피드백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바 실험실에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고 디지털 교과서의 그래프로 작성하는 수업은 기본에 충실하면서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잘 활용하신 설계라는 생각이 듭니다.
니크롬선의 굵기를 변인으로 하는 서로 다른 기울기의 전압-전류 그래프를 직접 작성하면서 학생들이 자신의 손으로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유도해 볼 수 있는 것이 우수하다고 생각됩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선생님 양식에 이전 양식입니다. 양식을 변경하셔야 할 것 같아요
PDF파일만 봐도 잘 짜여진 수업이라는 것이 보입니다.
패들렛 자료가 주제별로도 개인으로도 묶여지면 포트폴리오로 참 좋을 것 같은데 가능할지... 그래프 한 개에 전류-전압관게가 나타나고, 니크롬선 두 개의 값을 한꺼번에 그려서 비교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dibmPlRbI6rUYS8iQ_aNwSswqQhR-dTx/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천체 분야는 선생님께서 제시하신 것처럼 기 개발된 앱을 수업에 적절하게 활용하면 교실 수업보다 훨씬 생생한 체험을 해 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 점이 온라인 수업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별의 일주운동을 solarsystem scope 앱으로 시뮬레이션 하는 시도를 저도 수업에 활용해보고 싶습니다.
한 차시의 수업 안에 교과서 사진 분석, 앱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별의 일주운동을 모형으로 제작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또한 이를 평가에 연결하신 점이 놀랍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교과 역량의 체크가 다릅니다.
위의 패들렛 링크와 같습니다.(패들렛 링크가 다 같은데 각 활동의 예시를 넣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결과를 동영상에 조금씩만 넣었습니다, 계약만료되면서 자료가 모두 날아가서 고민입니다.
평가2가 이미지 캡쳐이던에 어떤 이미지이까요? 패들렛에 예시를 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동영상을 제작하신다면 solarsystem scop 앱을 소개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solarsystem scop 앱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solarsystem scop 앱은 디지털 교과서 옆에 두시는게 어떻까요?
또한 1회용 투명 컵 뚜껑에 별의 일주운동을 그린 예시 사진을 안내하면 좋울 곳 같습니다.
오른쪽 도구에 대한 설명에서 '한 화면에 비로그인 동시 접속'과 '익명의 경우 타인의 에시물을 건드리지 못하게 설정'은 패들렛이죠? 패들렛이라고 앞에 적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_QmUH9PIbL5fcJ0JE35Nly5249gikuIb/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오프라인 수업보다 온라인 수업에서 더 효과적인 실험 테마가 잘 선택되었다고 생각됩니다.
평소 온라인 수업에 늘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이나 TV모니터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화소를 확대하여 빛의 합성을 알아보는 실험이므로 따로 실험재료를 구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아도 간단하면서도 학생들의 성장을 자극하는 훌륭한 실험 수업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이미지 캡처한 것을 패들렛에 올리면 온라인 상에서 멋진 학급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는 작업이므로 협력해서 작품을 만드는 성취감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오른 쪽 도구에 줌 채팅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삭제 하셔야할 것 같아요 또한 '빛실험실'에 대한 내용을 디지털 교와서 옆에 두시는게 어떨지.. 학습자가 보는 것과 작성하는 것을 구분? 제안입니다. ^^
빛실험실 앱을 소개하는 영상이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jeTiulv1Pg
(위의 빛실험실은 AR이구요, 실제로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저는 패스했던 앱입니다.
저는 김정식선생님이 만든 빛실험실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JJgvTahVc5aAHbOge1J44ir7QRNFiJiX/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온라인 수업에서 실험 실습이 매우 제한적인 것을 감안했을 때 장난감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용수철을 이용해 파동 실험을 고안하신 것이 인상적입니다.
학생이 직접 횡파와 종파를 생성하여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1분 동안 흔들어 직접 진동수를 측정하는 활동은 파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실제적이고 학생들의 기억에 강하게 남을 수업 아이디어라고 생각이 됩니다.
파동 단원은 실험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단원인데 집에서도 역동적으로 실험하여 파동의 진동수를 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저도 꼭 적용해보고 싶은 평가 방법입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줌에서 카메라로 보여 주는 것이 찍언 동영상을 보여주는 것일까요? 1차시에 다 할 수 있을까요? 줌에서 학생 모두가 돌아가면서 보여준느 것이 아니라 한번에 측정하는 것을 보여준다면 1차시에 가능할 것 같습니다. (용수철을 카메라 보이는 위치에서 모두 흔들게 하는 것인데 제가 표현이 서툴렀나봐요)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BZRwWfKEWGkmPLkqQJ4aFQYjmILdcVId/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시계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아이디어가 매우 참신하게 느껴졌습니다. 보통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달의 모형을 사용하는데 온라인 환경에 적합하게 누구나 자신의 방에 걸려있는 시계를 활용한다는 생각이 기발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과물에 제시된 패들렛의 공유 링크의 내용이 수업 내용과 약간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답변 : 패들렛 계약이 만료되어 자료가 날아가버려서 동영상에 조금만 넣었습니다. . 따라서 수정본은 없어요~)
학생 이름이 개인정보 보호 처리가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답변 : 패들렛에서 수정했습니다. pdf파일에는 링크된 것이므로 수정이 필요없는 것 같습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동영상이나 링크에 학생들이 활동한 시계 크기로 지구크기 측정하는 사진이나 예시를 들어주신다면 더 이해가 좋을 것 같습니다.(답변: 동영상에 결과를 조금만 넣었씁니다. 디지털교과서 동영상을 시청하고 하는 것으로 문서에서 수정했습니다)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CGfffCWDfZo9XGSL9N14HAXvADOis7YQ/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평가 기준에서 잘함과 노력 요함의 기준이 조금 더 명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답변 : 수정했습니다)
학생들의 산출물 영상을 보니 지필고사 후 또는 학기말, 학년말 자기계발시기에 '암석'을 테마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마음껏 발휘하여 영상을 제작하는 기회로 매우 흥미진진한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학생들이 쉽게 제작, 활용하여 서로 피드백할 수 있는 영상툴을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유도하신 부분이 배울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오른쪽 도구에 대한 설명 다 패들렛에 대한 내용이라 키네마스터는 동영상편집 앱이라고 적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평가활용단계의 적용에서 영상편집 앱 Kinemaster 소개라고 적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팀별로 국가지질공원 1곳을 정하여 그 곳의 암석을 홍보하는 영상제작 및 편집이라고 적으면 구체적일 것 같고, 이 활동이 1차시 분량일까요? 1차시에는 영상제작하고 2차시에 발표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da-PyLHhhgapsyy1db8BidYoPXwAe6E_/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구글 프리젠테이션의 기능을 극대화하여 온라인 상에서 협업이 쉬우며 교사가 모든 팀에 대한 동시 관찰, 개별 활동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쉽도록 수업을 구성하신 점이 우수하다고 생각됩니다.
지리산에 서식하는 생물 사진을 검색하여 분류하는 과정이 온라인 수업에 잘 어울리고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출석체크 대신 학생이 실제로 수업에 집중하여 출석 체크하는 방식이 모든 학생들의 집중을 유도하며 성장을 촉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되어 제 수업에도 적용하고 싶은 평가 방법입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오늘쪽 도구와 평가활용단계 적용과 정리에 구글 프레젠테이션으로 공식 용어로 변경을 하셔야 할 것 같고, 채팅기능이 있나요? 댓글 기능 아닐까요?? 수정했습니다
평가활용단계의 적용에서 -생물 자료를 이용한다라고 하셨는데 대표적인 자료의 링크를 알려주시면 학생들이 자료를 검색하는 본보기가 될 것 같습니다. 활동지에 qr코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평가 1만 적혀있는데 ~~작성이 평가2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정리에 ~~실시간 채팅에 댓글이 맞을까요? 선생님 7개나 너무너무 수고하셨습니다.
영상 : https://drive.google.com/file/d/1FRvCZzTAhblH2XuxuJYd4zOMZJTVDETb/view?usp=sharing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2차 검토 의견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