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나중에 실험보고서의 양식(다른 탐구 과목도 일반화 할 수 있는)이 결과물로 주어지면 온라인 간접 실험+보고서 작성 형태의 좋은 수업이 될 것 같습니다.
선생님 그런데 양식이 예전 양식이에요..! 변경된 양식 아마 카톡방에 [제출본]으로 있을거에요! 참고부탁드립니다!
새로운 양식에는 '평가'라는 용어가 '배움 확인'으로 '평가'가 '평가 활동' 등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니 확인바랍니다.
비대면에서는 개인이 하고 대면에서는 모둠별로 이루어지는 것인지요. 만약 비대면에라면 모둠별로 이루어지지 않으니 자기 평가의 태도와 동료평가의 '모둠원'이라는 용어보다 '타인' 또는 '동료'라고 변경하는 것이 어떠실까요?
의견 감사합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구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유익한 앱 사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듯 합니다.
대면/비대면 평가로 나뉘어 있어 어떤 수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평가 준비가 다소 힘들수도 있지만 학생들의 여러 면을 평가하기에 좋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마찬가지로 잼보드 결과물이 나중에 예시로 주어지면 사례 모으기 수업에 적절할 것 같습니다!
잼보드를 구글 클래스룸과 연동하면 한 화면에 로그인 동시 접속 후 작성이 가능하여 '비로그인'이라는 용어를 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구글 프리젠테이션 -> 구글 프레젠테이션
그룹 별로 예를 들어 '의식주에서 한가지씩 사례조사하기' 등 구체적으로 안내하면 좋을 것 같은데 나중에 예시를 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잼보드와 같은 온라인 도구를 통해 사례 조사 및 발표를 한다는 점이 좋습니다.
활동지가 잘 짜여져서 주어진다는 훌륭한 평가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성취기준에 오타가 있어요
수업활동이 첫번째 게시물의 [탐구활동] 아세트산 이랑 같아요! 같은 활동을 다른 도구로 사용하신거면 죄송합니다..
평가활동 유형은 하나면 선택하셔야합니다.
google science fair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궁금하네요 나중에 영상으로 안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구글사이언스페어에서 제공하는 활동지입니다.
모둠 활동인 것 같은데 활동 결과물은 어디서 작성하나요?
생활 주변 탐구 가능한 문제 찾아 수행하기가 수업 활동인데 나중에 사례 예시를 들어주신다면 이해하기 쉬을 것 같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사이언스 페어를 통해 학생들이 발명이나 창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훌륭한 평가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장기적이다보니 학생들이 다소 루즈해질 수 있는데 그 점을 잘 다독여서 이끌어 나간다면 좋은 포트폴리오가 나올듯합니다.
☝ 제작한 한글파일을 PDF로 변환하여 올림
1차 검토 의견 작성
구글폼으로 학습확인형 평가를 하고, 비밀번호를 걸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일선 현장에서 많이 쓰일 수 있는 형태인 것 같습니다.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수고많으셨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2차 검토 의견 작성
구글 폼을 통해 가장 쉽고 빠르게 학생들은 평가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평가 후 피드백을 할 수 있다면 더 좋은 평가가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