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hould never entrust to human what can be done by machine
FIIL이 제작한 강좌의 목록은 ABC Campus를 참조하십시오.
목차
FIIL = Real Time Korea
팀 주피터
FIIL의 주요 프로젝트
자동화
어떻게
OASIS 도구
왜
FIIL Korea의 목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일"을 1초 이내에 끝내는 실시간 사회(Real Time Society)입니다. 가령, 시장에서 물건을 사 오거나(소비자와 판매자/생산사 사이의 일), 병원에서 진료받는 일은 몇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환자와 의사 사이의 일), 시청이나 도청에서 민원을 처리하는 데 며칠이 걸리기도 하며(시민과 공무원 사이의 일), 법원의 재판은 몇 달 혹은 수 년이 걸리기도 합니다(피고와 판사 사이의 일). FIIL은 이 모두를 1초 이내에 끝낼 수 있는 사회를 코딩(Coding)합니다.
FIIL이 실시간 사회를 만드는 도구는 GIT, Machine 그리고 Education입니다.
GIT은 모든 사람과 모든 머신에 대해,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했는지 기록하며, 이 기록은 위조나 변조, 삭제나 수정될 수 없습니다. 모든 사람의 모든 활동을 빠짐없이 기록할 수 있다면, 오늘날 사람이 하고 있는 일의 절반 이상이 불필요합니다. 가령, 경찰이나, 감사원, 검찰 등의 조사나 수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미 모든 이의 모든 행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 기록은 언제나 "참"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의 모든 것"을 기록하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FIIL은 그러한 기록 방법을 제시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사람에 관한 모든 기록"은 누군가에 의해 악용될 위험이 있습니다. FIIL에 머신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머신의 역할은 크게 둘 입니다.
사람이 하지 않아도 되는 일 또는 머신이 사람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일을 담당합니다. 가령, 약국의 약사가 하는 일은 어쩌면 머신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 맡기기에 민감한 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령, 모든 사람의 모든 활동과 행적을 기록하고, 필요 시 특정인의 특정 정보를 인출하는 일입니다.
Git으로 기록하고, Machine에게 일을 시키려면, 먼저 이 둘을 알아야 하지만, 그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적어도 20년 간 준비해야 합니다.
우리는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20년간 학습할 분량을 준비했습니다.
각 학습자는 자신의 현재 수준에 맞는 지점에서 학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각 학습자의 진도를 관리합니다.
질의 답변 사이트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혹은 무엇이든 질문하고 답변받을 수 있습니다.
월 학습비는 1천원(₩1,000)이며, 모든 교재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매일, 매주 또는 매월 등 주기적으로 시험(Test)을 실시하고, 학습자 본인, 학부모와 관련 기관 등에 성적표를 전송합니다.
팀 주피터는 한국인 개발자 50여명의 참여와 후원으로, 2017년부터 현재까지 약 3,000시간의 프로그래밍 강좌를 녹화하여, 유튜브 등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필(FIIL)은 팀 주피터가 2023년 11월에 설립한 원격 교육법인이며, 초중고 및 대학에 원격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와 학습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FIIL의 장기적인 목표는 자동화된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FIIL 플랜은 매우 큰 프로젝트이며, 한국의 개발자 몇몇이 완성할 수는 없습니다. 팀 주피터는 우물의 마중물처럼, 솔선 수범하는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의 학습자들이 스스로 진화하고, 발전할 토대를 제공합니다.
A.I., Cloud, Robotics, Quantum Encryption, Openhash Blockchain 등 제반 기술에 숙련되려면, 적어도 20년은 배워야 합니다. 우리가 원격교육법인 FIIL을 설립한 이유입니다.
FIIL는 세계 전역의 초중고 및 대학이 공유할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지향하며, 기존의 초중고 및 대학에서 제공하는 1,000여 과목을 포괄합니다. 각 커리큘럼은 오픈소스 교재, 강좌, 연습 문제 등을 포함하며, 학습자가 월 1천원(또는 $1)로 무제한 수강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재차, 팀 주피터의 소수 멤버로 모든 커리큘럼을 제작할 수는 없으므로, 여타 개발자 및 개발자들이 참조할 하나의 표준 커리큘럼을 제시합니다.
표준 커리큘럼
RTK Plan을 완성하는 것도, 그 효용을 누리는 것도 RTK 플랜의 참여자입니다. 5살 유치원 어린이부터 컴퓨터 공학 대학원까지, 참여자 각각의 현재 지식 수준에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학습을 시작할 수 있도록, 20년 간의 학습 커리큐럼을 만들었으며, 대부분 무료입니다.
지금 유치원생, 초등학교 저학년 또는 프로그래밍을 배운 적이 없으면, Scratch Coding [YouTube] [GitLab] 과정으로 시작하십시오.
코딩을 배운 적 있고, 영문 서적을 읽을 수 있으면, Computer Science with Python and Git [YouTube] [GitLab]과정으로 시작하십시오.
Git, Python, JavaScript, 그리고 Web Programming을 배운 적 있으면, Web Components [YouTube] [GitLab]과정으로 시작하십시오.
Python과 JavaScript 프로그램을 만든 경험이 있고, Git 협업 경험도 있으면, Elixir & Phoenix [YouTube] [GitLab]과정으로 시작하십시오.
C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든 경험이 있고, Functional Programming도 익숙하다면, Rust [YouTube] [GitLab]과정에서 시작하십시오.
Python, GitLab CI/CD, Web Components, Elixir & Phoenix, 그리고 Rust를 모두 익혔으면, RTK Pla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동료들과 함께,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 보십시오. 그 성과는 오로지 여러분 자신의 몫입니다.
새로운 학교(FAS) 프로젝트에 참여할 개발자들은 이 커리큘럼의 구성과 운용 메커니즘을 참조하여, 우리가 준비한 1,000여 커리큘럼 각각을 완성해 나가길 기대합니다.
2017년에 시작하여, 2026년 말 2030년까지 진행할 26개 프로젝트로 구성된 RTK 플랜의 마일스톤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 ABC & FAB Project의 베타 버전을 완성합니다.
2023년, 교육 인프라 Project를 완성합니다.
2024년, ABC & FAB를 사업화합니다.
2025년, 시장 시스템의 Code Draft를 완성합니다.
2026년, 시장 시스템의 상용 버전을 완성합니다.
RTK 플랜은 한국의 BRI 루트를 따라 건설될 신도시(이하, RTK 도시)의 모형이며, 그 특징은 제반 사회 인프라를 무인화 및 자동화한 것입니다. 즉, 한국의 각국에 건설될 RTK 도시는 교통/물류, 행정, 유통, 입법과 사법 등 제반 인프라를 무인화 자동화한 신도시입니다.
가령, 화폐와 금융 인프라를 재구성하는 ABC Project와 새로운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FAS Project입니다.
ABC(Asset Backed Cryptocurrency) : 화폐 + 은행입니다. 카카오 뱅크와 같은 일반 은행에 A.I. 기술과 Openhash를 적용하여, 무인 운영되는 글로벌 은행이며, 코딩의 전 과정을 Open Source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ABC는 국가의 금융 비용을 기존의 1/100이하로 낮출 것입니다.
FAS(Autonomous School) : 세계 전역의 초중고 및 대학과 100% 호환되는 온라인 교육 인프라입니다. FAS는 교육 비용을 기존의 1/100이하로 낮추면서도, 교육 품질을 상향 평준화할 것입니다. 달리 표현하면, 모든 인구가 월 $1의 비용으로, MIT와 Harvard 수준의 교육을 누릴 것입니다.
새로운 시장 - 시장이란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일련의 메커니즘이며, 이 메커니즘의 직접적인 요소는 공장과 노동력을 위주로 하는 산업과 교통 물류 등이고, 간접적인 요소는 금융, 입법, 사법, 행정, 의료, 교육 등의 제반 인프라입니다. 시장을 새로이 구성한다는 것은 산업, 교통물류, 금융, 입법, 사법 등 사회 전반의 인프라를 재구성하는 것이며, 곧, RTK 코딩입니다.
한국에서 성공한다면, 카자흐스탄 등에서 RTK 도시를 시범적으로 건설하면(이하, 시범 도시), BRI의 146개 국가도 각자의 RTK 도시들(이하, 후속 도시)를 건설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카카오뱅크와 같은 일반 은행에 A.I. 기술과 Openhash Blockchain 기술을 적용한 글로벌 무인 자율주행 은행(FAB - Full Autonomous Bank)을 코딩하고 있습니다. ABC는 FAB의 결제 통화이며, ABC와 FAB은 하나의 시스템입니다.
ABC와 FAB의 주요한 특징은;
화폐(ABC) 그 자체에 은행(FAB) 기능을 담습니다(BIC - Bank Included Currency). ABC가 곧 FAB입니다.
ABC를 이용하는 개별 국가는 최소한의 서버 자원으로 기존의 종이 화폐(= 국적 통화, Fiat Currency)를 디지털 화폐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개인, 기업, 기관 등의 재무제표(Integrated Financial Statement)가 ABC 화폐 그 자체입니다.
FAB은 개인, 기업, 기관 등의 재무제표를 자동 생성하고, 자동 업데이트합니다.
ABC는 특정 자산(Assets)에 의해 그 가치가 담보(Backed)되는 화폐(Currency)이며, 그 발행과 유통은 암호화(Crypto) 메커니즘에 의합니다(Assets Backed Currency).
ABC는 은행이자 화폐이며, 또한, 금융 시장이고, 금융 감독기관입니다. 우리는 코딩의 전 과정을 Open Source로 공개합니다[GitLab 링크].
RTK는 시장 경제의 작동 메커니즘을 다소 수정합니다. 이를테면, 반자동 자본주의입니다.
금융 인프라(FAB) - 은행, 보험, 증권, 거래소 등을 통합한 하나의 금융 인프라[GitLab 링크]
교육 인프라(FAS) - 초중고 및 대학을 통합한 하나의 교육 인프라[GitLab 링크]
인증 인프라(FAA, PASS) - 각종 신분증과 증명서를 통합한 하나의 인증 인프라[GitLab 링크]
시장 인프라(FAM, MART) - 도매, 소매, 식당, 관공서, 편의점 등 다양한 거래 메커니즘을 통합한 하나의 시장 인프라[GitLab 링크]
물류 인프라(FAT, CAR) - 국가나 도시 전체에 JIT(Just In Time)를 적용[GitLab 링크]
신용 인프라(FAA, AAA) - 5천 만 국민과 8백 만 사업자의 재무제표 생성 & 갱신 인프라[GitLab 링크]
국세 인프라(FAX, TAX) - 무인 국세청[GitLab 링크]
의료 인프라(FAH, MIT) - A.I. 진단과 실시간 데이터 공유로 의료진의 업무를 보조하는 국가 의료 인프라[GitLab 링크]
도시 인프라(FAZ, ART) - 치솔, 화장실, 침구, 세탁, 경찰, 법원, 도청, 시청 등 모든 것을 새로이 설계한 도시 인프라[GitLab 링크]
보다 완전한 목록은 도시 운영체제(OS) 디렉토리를 참고하십시오.
2022년 현재, 배달 음식을 주문하면, (1) 배달원(Rider), (2) 차량(Bike or Car), 및 (3) 음식이 이동합니다.
FSD(Full Self Driving) 자동차를 이용하면, (1) 배달원이 갈 필요가 없습니다.
도시를 건설할 때, 도시 전역을 관통하는 물류 터널을 구축하면, (2) 차량없이 (3) 음식만 보낼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로 배달원을 마이너스(minus)하고, 도시 물류 네트워크로 차량을 마이너스하듯, RTK는 입법, 사법, 행정, 산업, 의료, 교육 등 사회와 산업의 각 부문에 투입되는 자원을 마이너스합니다.
RTK가 코딩하는 사회는 (1) 사람은 사람만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2) 머신은 머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달리 표현하면, 머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사람이 해서는 안됩니다. 가령, 차량이 자율 주행할 수 있다면, 사람은 운전하면 안됩니다.
자율주행 차량들 속에서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이 섞이면, 사고 위험이 증가합니다. 특정 도로 위를 주행하는 자율주행 차량들은 서로 소통할 수 있지만, 사람 운전자는 그(것)들과 소통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교통물류를 차량에게 일임하면, 사람은 사람만 할 수 있는 일에 더욱 집중할 수 있습니다. 가령, 집을 짓거나, 정원을 가꾸거나, 소품을 만드는 작업은 적어도 현재까지는 머신이 할 수 없습니다.
시청과 읍면동 사무소를 무인화 및 자동화하면, 시민들이 행정 기관을 방문할 필요가 없습니다. 시민의 시간을 절약하는데 더해, 사람들 간의 불필요한 만남을 줄일 수 있습니다.
더하여, 어느 한 국가 혹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활동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공동체가 실시간으로 공유(Real Time Data Sharing)하면, 사람들 간의 불필요한 만남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그런 사회를 온전히 코딩하기에는 우리의 능력과 시간이 부족할 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1) 새로운 학교(FAS) 교육 인프라를 통해 모두에게 모든 지식을 제공하고, (2) ABC와 새로운 시장의 코딩 과정을 다음 세대와 공유하며, (3) RTK를 실증할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고, 그 과정을 기록할 것입니다. 우리가 완성하지 못한다면, 다음 세대가 RTK 프로젝트를 이어갈 것입니다.
2022년 1월 현재, 우리가 집중하는 프로젝트는 FAS와 ABC입니다.
아래는 새로운 인프라의 개요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시 운영체제(OS) 디렉토리의 각 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기존의 도로교통법은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를 상정합니다. 만약, 도시의 모든 차량이 자율주행한다면, 기존의 도로 교통법은 재구성되어야 합니다. 자율차량의 사고 책임은? 기존의 신호등과 건널목 체계는?
비단 교통 뿐 아니라, 사회 전반을 자율주행 방식으로 재구성하려면, 법과 제도부터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자율주행이 보편화되면, 운전 기사들의 직업이 사라집니다. 사회 전반을 자율주행 스타일로 전환하면, 많은 사람들이 실직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사회와 산업 구조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 인프라를 구축해야 합니다.
2022년 현재, 운전하는 일의 주체는 사람입니다. 자동차부터 시작하여, 사회 각 부문에서 일의 주체가 사람에서 머신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그에 맞게, 기존의 산업 인프라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2022년 현재, 테슬라의 시총(Market Capitalization)은 Benz, BMW, 현대, 기아 등 전세계 상위 10위권 자동차 기업들의 시총을 합친 것보다 많고(1,000조), 카카오뱅크의 시총은 설립 5년 만에 기존 대형 시중 은행들의 시총을 모두 합친 수준(32조)입니다.
두 기업의 공통점은 무인화 & 자동화입니다. 특히, 금융 산업의 무인화와 자동화는 더욱 가속될 것이며, 그에 맞게 기존 금융 인프라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카카오뱅크는 은행 지점이 없고, 따라서 창구 직원이 없습니다. 중앙 정부의 지점은 도청과 시청이며, 시청의 지점은 읍면동 사무소입니다. 지점이 없는 은행처럼, 읍면동 사무소가 없는 시청과 구청을 구성하고, 도청과 시청이 없는 중앙 정부를 구성해야 합니다.
무엇을 할 지를 정한 다음은 어떻게 입니다. 우리의 방법론은 자동화된 공장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 (1) 모두 합치고, (2) 모두 빼는 작업을, (3) 목표한 수준에 이를 때까지 반복하는 것입니다. 가령, 한국 정부는 18부 5처, 18청, 2원 4실, 7위원회로 구성됩니다.
합치고 - 모든 부처를 합친 가상의 기관을 상정합니다.
빼고 - 가상의 기관에서 모든 인력을 제거하고, 오직 기능을 남깁니다.
모든 기능을 코딩합니다.
코딩할 수 없는 업무에 사람을 할당합니다.
물론, 단기간에 성공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수십 년이 걸려도, 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입니다. 가령, 100% 로봇화된 공장을 설계한 뒤, 불가결한 부분만 사람을 배치합니다. 2022년 1월, 일부 기업은 로봇마저 구조조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1) 금융 인프라를 자동화하는 코딩(FAB)을 시범으로 진행하며, (2) 누구나 우리와 같은 기술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학습 과정(FAS)을 제공합니다.
RTK의 모토는 마이너스입니다.
예를 들어, IMF 190개 회원국 중 하나인 한국의 경제/금융 인프라를 구성하는 기관과 기구들은 국세청, 한국은행, 제일은행, 카카오뱅크, 통계청, 기획재정부 등입니다. 또한, 이들 각각은 지점, 사람, 장비, 건물, 토지 등의 요소에 의해 운영됩니다. ABC는 이처럼 다양한 경제/금융 인프라를 하나로 합친 다음, 사람, 장비, 건물, 토지 등을 마이너스한 결과입니다.
또한, RTK가 도모하는 새로운 시장은 교통 물류, 의료, 교육, 주거, 행정, 입법, 사법 등 우리 사회의 모든 인프라를 ABC처럼 마이너스 과정으로, 재구성하려는 우리의 시도입니다.
그런데, 과연 가능할까요?
기존의 직업과 직종이 상당수 자동화(autonomous) 및 무인화(unmanned)된 사회는 근면 성실한 은행원보다 무인 은행을 코딩할 개발자를 요구하며, 공평 무사한 공무원보다, 시청과 도청, 국세청, 법원을 코딩할 개발자가 필요합니다. 현재의 초중고 및 대학은 (어쩌면 곧 사라질 직업인) 은행원과 공무원 양성에 적합하며, 개발자를 양성하기에 2% 부족합니다. FAS(Full Autonomous School)는 부족한 2%를 메우려는 시도이며, 세상의 모든 초중고 및 대학을 하나로 합친 뒤, 꼭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를 마이너스한 것입니다.
재차, 우리가 FAS를 코딩하는 목적은 10만 교육 노동자를 교육 현장에서 배제하고, A.I.와 Cloud로 대체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의 초중고 및 대학 시스템은 (1) Stanford, MIT, Yale과 Berkeley 수준의 교육을 시민 모두에게 제공할 수 없고, (2)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에 2%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FAS는 월 $1의 비용으로, MIT 수준의 교육을 세계 80억 인구에게 제공하며, 미래 사회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에 집중합니다.
예로든, 음식 배달에서,
자율 주행으로 배달원을 마이너스하고, 차량과 음식만 이동하면, 에너지 소비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사회와 산업 전체를 그와같이 개조하면, 지금보다 절반의 에너지로 사회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차량이 불필요한 전자동 물류(FAT, Full Autonomous Transport) 인프라를 도시에 구축하면, 차량을 마이너스하고, 음식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재차 에너지 소비를 1/10로 줄일 수 있습니다.
그 뿐 아니라, 교통사고도 줄며, 다치는 사람도 줄고, 의료 비용도 줄며, 각종 분쟁도 줄어 듭니다.
FAT는 자율주행 물류 인프라 프로젝트입니다. 에너지 효율만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더욱 정의롭게 됩니다.
국가의 행정, 의료, 교육, 사법, 시장, 국방 등 사회 전반에 투입되는 인력과 장비 등 각종 자원을 마이너스하면, 사람과 사람이 마주해야할 일이 줄고, 그만큼 분쟁과 갈등이 줄며,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줄고, 우리의 삶은 더욱 풍요롭게 될 것입니다. 대개의 분쟁과 부당, 부패와 편법, 마찰과 갈등이 사람과 사람의 만남에서 비롯되며, 불필요한 만남이 줄면, 우리의 삶은 이전보다 맑아질 것입니다.
Minus는 우리 사회가 작동하는 방식을 재구성한 사회적 거리 두기이며,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기술적 방안입니다.
RTK 프로젝트가 결실을 거둔다면, 2030년의 한국은 각국에 건설될 RTK 도시들은 위에서 언급한 부족한 2%를 채운 사회일 것입니다. 톱과 망치로 집을 짓듯, OASIS는 RTK 프로젝트를 위한 도구입니다.
OASIS는 아래 다섯 기술의 첫 글자입니다.
Openhash -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를 보완한, 딱히 새롭지 않은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ABC - ABC 암호화폐는 내재 가치(Intrinsic Value or Real Value)를 갖는 진짜 화폐이며, 국가의 혈관인 금융 인프라를 재조(再造)할 뿐 아니라, RTK 프로젝트의 재원입니다.
SpaceWeb - 리눅스, 윈도우, 안드로이드 등은 컴퓨터를 운영하는 체제(OS)입니다. 우리는 사회를 운영하는 체제(OS)를 코딩하며, SpaceWeb은 그 기반입니다.
Innovation - 입법, 사법, 행정은 물론, 심지어 화장실조차 지금보다 훨씬 나은 무엇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종의 발명하는 공식을 제시합니다.
Social Coding - 구성원 모두가 어떤 방식으로든 코딩에 참여하는 사회입니다.
도구를 사용하려면, 그 사용법을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FAS는 만 4살부터 20년 간 배우고 익힐 과목과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5살 어린이도 단 20년 만 배우고 익히면 RTK 프로젝트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FAS 프로젝트는 유치원부터 초중고, 대학 및 대학원에 이르기까지, 세상에 쓸모있는 모든 지식과 기술 및 기능을 무상으로 혹은 월 $1에 제공할 것입니다.
우리는 10,000여 종의 학습 과목 및 과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중 300여 과목 또는 과정은 우리가 직접 제작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세계적인 대학과 기관들이 제공하는 Open Source 커리큘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우리가 준비하는 과목들은 비단 컴퓨터 과학 뿐 아니라, 영어,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 자연과학과 세계사, 미학, 예술 등 인문학, 그리고 조리, 제과, 제빵, 목공, 미용 등 실기를 망라합니다.
FAS의 시범 커리큘럼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1월 현재, 한국은 이미 선진국이지만, 아직 2%가 부족합니다. 그 부족한 2%는;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부도덕과 범죄와 교활과 몰염치로 부와 명예를 얻습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이를 부러워하며, 그들처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부와 명예와 권력을 가지려 합니다.
크고 작은 범죄가 끊이지 않습니다.
이웃을 배려하지 않거나, 질서를 무시합니다.
성실하지만 가난한 사람이 있습니다.
MIT나 Stanford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매우 적습니다.
RTK는 부족한 2%를 채울 시스템이며, 사람들에게 근면, 성실, 노력, 정직, 신뢰, 혹은 절약을 요구하지 않아도, 시스템에 의해 자연스레 2%가 채워진 사회입니다. 우리는 시장과 교육 인프라를 새로이 구성하는 것으로, 그러한 사회에 한 걸음 다가설 것으로 생각합니다. 새로운 시장의 교두보는 새로운 화폐이며,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것은 교육입니다.
우리가 코딩하는 RTK(Real Time Korea)는 사람이 하지 않아도 될 일은 사람이 하지 않는 사회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의 많은 직업들이 굳이 사람이 하지 않아도 될 일입니다. 머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머신에게 맡겨야 합니다.
그런데, 사람이 잘하고 있는 듯한 일에서 굳이 사람을 배제할 필요가 있을까요? 은행 업무를 자동화하여, 은행원 10만 명의 인건비를 줄이는 것이 RTK의 목표는 아닙니다. 우리가 RTK를 코딩하는 이유는 사람을 머신으로 대체하여, 비용을 낮추려는 게 아닙니다. 컴퓨터가 혼자 할 수 있는 일임에도, 사람이 그 앞에 앉아 있으면, 우리 사회의 부족한 2%를 채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문제입니다.
ABC와 FAS는 RTK 코딩의 첫 단추입니다.
- Linus Torvalds
누구나 원대한 꿈과 고결한 이상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백 마디의 말보다 한 줄의 Code가 낫습니다. 코드로 표현될 수 없는 꿈과 이상과 신념은 깃털처럼 가볍습니다.
누군가 나를 대변하기 보다, 내가 나를 대표하는 사회가 낫습니다.
정직하지 않은 사람을 비난하기는 쉽습니다. 그러나, 모두가 정직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 낫습니다.
범죄를 처벌하는 것도 막대한 비용이 듭니다. 애초, 범죄가 발생할 여지가 없는 시스템이 낫습니다.
날로 커지는 빈부격차를 탓하기는 보다, 모두가 가난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는 시스템이 낫습니다.
어떤 일을 사람보다 잘하는 컴퓨터가 있다면, 그 일은 그 컴퓨터에게 맡기는 사회가 낫습니다.
RTK는 그런 사회를 코딩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소스코드는 Gitlab GitLab 팀 주피터 계정에 매주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1차 코딩을 일단락하는 시점은 2020년 12월, 2차 코딩을 일단락할 시점은 2021년 12월 2022년 12월 전후로 예상합니다.
RTK 도시를 쉽게 완성할 수는 없습니다. 무수한 시행 착오의 긴 터널을 지나야, 그런 도시가 현실화될 것입니다.
시민들이 공중 도덕을 지킬 것입니다.
서두르지도, 다투지도 않을 것입니다.
남의 것을 욕심내지 않고, 스스로 수고한 결과에 만족할 것입니다.
이웃과 자연을 해치지 않을 것입니다.
시민 개개인이 스스로를 실현할 것입니다.
진시황처럼 만리장성을 쌓는 것도 아니고, Ellen Musk처럼 화성으로 이주하는 것도 아니며, 징기스칸처럼 세계를 정복하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의 목표는 작고 소박하지만, 역사 상 어떤 나라도, 어떤 영웅과 호걸도 이루지 못한 것입니다.
놀랍게도, 2020년 1월 2021년 4월 2022년 1월 기준, 이 목표의 실현 가능성은 무려 3% 10%입니다.
팀 주피터는 이 목표를 향한 여정을 꽤 오랫동안 걸어 왔고, 앞으로도 걸어갈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2017년 3월부터 매주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발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