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현재, 미국, 유럽, 한국 등 20여 선진국을 제외한 나머지 170여 국가의 식량난은 여전히 심각하거나, 오히려 악화하고 있습니다[참고 - Global Hunger Index 2021]. 현대사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는 중국의 14억 인구가 지난 100여년 간 지속되어온 식량난을 해결한 점입니다.
각국이 겪는 식량난의 주요한 원인은 전쟁과 기후 변화입니다. 모든 전쟁은 돈 문제를 기저에 깔고 있으며[참고 - GROUND BEING LOST IN THE FIGHT AGAINST HUNGER DUE TO WAR AND CLIMATE CHANGE], 170여 국가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연결하는 BRI 프로젝트는 내전을 포함하여, 각종 전쟁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강력한 수단입니다[참고 -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promoting peace in a post...].
그러나, 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 변화는 보다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해결 방안을 요구합니다.
전쟁은 기아의 가장 큰 원인이며, 식량난 해결의 1차 과제는 평화입니다. 170여 BRI 국가가 협력하여 건설할 RTK 시범 도시와 각국에 건설될 RTK 후속 도시는 세계로부터 과학과 기술, 그리고 생산성이 흘러들어갈 물줄기입니다.
170개 국가가 머리를 맞대고, 각국이 자국 내에 복제하여 건설할 수 있는 일종의 모형인 시범 도시를 설계하고, 건설합니다.
시범 도시의 건설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국 내에 시범 도시와 흡사한 후속 도시를 건설합니다. 각국의 각각의 후속도시는 특정한 산업 부문과 과학 부문의 연구에 전문화합니다.
170여 국가에 건설될 수백 개 후속 도시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여타 국가의 앞선 산업과 기술, 과학과 문화를 흡수합니다.
후속 도시로 흡수한 산업과 기술을 자국 내의 여타 도시에 전파합니다.
BRI에 기반한 RTK 도시는 평화로 가는 가장 합리적 수단입니다.
지구 온난화는 중동과 아프리카 등 기존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재앙으로 다가온 반면, 시베리아 등 과거 동토의 땅을 경작지로 전환할 기회이기도 합니다[참고 - How Russia Wins the Climate Crisis - The New York Times]. 2022년 현재, 몽골과 러시아의 농업 생산량은 향후 10년 간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참고 - Russia to Reap Benefits from Climate Change].
러시아와 몽골의 광활한 영토는 아프리카, 중동, 남미, 서남 아시아의 식량난을 해결하기에 충분합니다. 문제는 이들 국가가 러시아와 몽골에 제공할 반대 급부입니다. 아프리카는 상당한 지하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장기적 해결 방안이 될 수 없습니다.
각국 RTK 도시 간의 분업이 이상적인 해결책입니다. 가령, 에디오피아 인건비는 중국의 1/10이며, 인구의 상당수가 훌륭한 수공예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현재 식량난을 겪는 각국과 러시아, 몽골, 우크라이나 등 식량 생산국이 머리를 맞대고, 상호 교환할 물자의 종류의 양을 특정한 뒤, 장기적인 계약에 따라, 각국이 각각의 상품 생산에 전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들 국가는 로봇으로 자동화하기 어려운 노동 집약적 산업에 전문화할 수 있습니다. 가령, 항공기 동체 제조나, 가죽 수제화는 전형적인 노동 집약적 고부가 산업입니다.
RTK 도시 네트워크는 (1) 각국의 각 도시가 잘할 수 있는 것을 하고, 그 성과를 모두가 공유하며, (2) 도시의 모든 활동은 IT 기반이고, (3)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물론, 농축수산도 예외가 아닙니다.
몽골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기후와 토질이 농업에 적합한 국가의 RTK 도시들이 세계 전역의 농작물 부족분을 충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비옥한 토질은 밀 생산의 최적지이며, 러시아는 세계 비료 수요의 13%를 공급합니다[참고 - Russian Ministry Recommends Fertilizer Producers Halt Exports]. 주요 밀 생산 국가 중에서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은 자국 수요를 충당하고, 러시아, 캐나다, 우크라이나 등은 남는 생산량을 해외로 수출합니다.
2021년, 밀 생산량 순위입니다.
China (134,254,710 tons)
India (107,590,000 tons)
Russia (85,896,326 tons)
United States (49,690,680 tons)
Canada (35,183,000 tons)
France (30,144,110 tons)
Pakistan (25,247,511 tons)
Ukraine (24,912,350 tons)
2021년, 밀 수출량 순위입니다.
Russia: US$7.3 billion (13.1% of total wheat exports)
United States: $7.29 billion (13.1%)
Australia: $7.2 billion (13%)
Canada: $6.6 billion (11.9%)
Ukraine: $4.7 billion (8.5%)
France: $4.6 billion (8.2%)
Argentina: $3 billion (5.3%)
Germany: $2 billion (3.6%)
주요 수출 국가들 중에서 BRI 국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및 아르헨티나 등입니다. 이들 국가에 RTK 농업 도시를 건설하여, 170개국 중 식량난을 겪는 국가들에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과거 동토의 땅으로 불렸던 러시아는 지구 온난화의 결과로, 경작 가능한 지역이 늘고 있습니다[참고 - The Big Thaw: How Russia Could Dominate a Warming World]. 1990년 개혁 개방 이후로, 러시아의 식량 생산은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참고 - Russian agriculture: Growth and institutional challenges]
특히, 한국 및 중국과 접한 시베리아 지역은 향후 수십 년에 걸쳐 13억 에이커(acres)의 경작지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면적은 세걔 전역의 식량난을 해결하고 도 남습니다[참고 - How many people/acre? (permaculture forum at permies)].
그러므로, 러시아의 중남부 시베리아와 동부 및 극동의 연해주 지역은 농업에 특화된 RTK 도시에 최적의 장소입니다.
2022년 현재, 한국의 15배 면적에 인구는 3백만에 불과한 몽골에서 경작지 비중은 2018년 기준으로, 국토의 0.8%입니다[참고 - Mongolia - Arable Land (% Of Land Area) - Trading Economics]. 몽골의 목축업은 국토 사막화의 주요한 원인이며, 경작 가능한 지역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참고 - Agricultural land (% of land area) - Mongolia]. 대부분의 농경지는 중국에 속한 내몽고 지역에 있습니다[참고 - Analysis of the Phenology in the Mongolian Plateau by Inter-Comparison of Global Vegetation Datasets].
한편, 2022년 현재, 사막화를 멈추고, 이미 사막과 불모지로 변한 땅을 경작 가능한 땅으로 환원하려는 노력이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참고 - Combating Desertification in North-East Asia - neaspec],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세계의 식량 창고로 성장할 잠재성이 충분합니다[참고 - Developing a soil erodibility map across Mongolia].
몽골에 인구 1~2백만의 RTK 도시를 건설하면, (1) 추가적인 사막화를 막고, (2) 불모지를 경작 가능한 지역으로 복원하며, (3) 사막화의 제1 원인인 유목민을 도시로 유인할 수 있습니다[참고 - What Is Desertification and How Does It Impact Mongolia?].
170개 BRI 국가 중에서 축산에 적합한 국가와 지역을 선정하여, 다수의 RTK 축산 도시를 건설할 수 있습니다. 가령, 몽골은 축산업의 잠재력을 큰 국가입니다.
몽골 유목민의 목축 방식은 고비 지역 사막화의 주요한 원인입니다. (1) 방목에서 목장으로 목축 방식을 바꾸고, (2) 사료와 육류의 교환비가 낮은 소와 양(20:!) 대신에, 교환비가 높은 닭(2:1)이나, 식물성 단백질로 식습관을 바꾸는 것도 방안입니다[참고 - 10 FACTS ABOUT MONGOLIAN GOBI DESERT].
그러므로, (1) 사막화가 진행 중인 지역을 경작지로 전환하여, 가축 사료를 재배하는 한 편, (2) 과거 방목 방식의 목축을 목장 사육으로 전환하고, (3) 사료와 육류 생산량의 교환비가 낮은 양과 소의 비중을 낮추고, 닭, 오리, 거위, 칠면조 등 가금류의 사육 두수를 늘리면, 인구 3백만의 저소득 국가인 몽골을 고소득 축산 국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몽골에 축산 RTK 도시를 건설하는것은 (1) 170여 BRI 국가에 육류를 공급하고, (2) 국토의 사막화를 막으며, (3) 경작 가능한 지역을 늘릴 최적의 방안입니다[참고 - Case Study: Mongolian Herders].
2018년 기준으로 주요한 수산물 생산 국가는 China, Indonesia, Peru, India, the Russian Federati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iet Nam의 순입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은 자국의 수요를 충당하므로, BRI 170개 국가에 수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RTK 수산 도시의 최적지는 러시아입니다. 다만, 세계 전역의 남획으로 어자원이 크게 줄고 있습니다[참고 - UN |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0].
가령, 러시아의 극동 지역인 블라디보스톡에서 사할린은 거쳐, 북대서양으로 이어지는 러시안 동북 해안을 따라 다수의 RTK 수산 도시를 건설하고, 한국 동해안에서 러시아 캄차가 반도 및 사할린으로 이어지는 광활한 바다를 바다 목장으로 전환하면, 170개 국가의 수요를 충당할 고급 어자원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참고 - View of Trends in development of Russian Far East's fishing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