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개요
본 프로젝트는 식물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식물을 관찰 할 때, 현상적인 사실뿐만 아니라 구조가 가지는 기능을 추리하는 데 중점을 두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식물의 구조와 기능을 독립적으로 학습하지 않고, 각 기관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책, 인형극, 연극 등 학습한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고자 한다.
프로젝트 목표
식물의 전체적인 구조 관찰과 실험을 통해 뿌리, 줄기, 잎, 꽃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식물의 씨가 퍼지는 방법을 조사하고, 씨가 퍼지는 방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프로젝트 주제망
성취기준
[6과12-01] 생물체를 이루고 있는 기본 단위인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6과12-02] 식물의 전체적인 구조 관찰과 실험을 통해 뿌리, 줄기, 잎, 꽃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6과12-03] 여러 가지 식물의 씨가 퍼지는 방법을 조사하고, 씨가 퍼지는 방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6국05-04] 일상생활의 경험을 이야기나 극의 형식으로 표현한다.
[6국05-05]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사람과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6국02-02] 글의 구조를 고려하여 글의 전체 내용을 요약한다.
프로젝트 학습 과정
학습 결과물
[설명] 본 프로젝트의 주된 학습 전략은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관련 글을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데 있다. 문단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요약하는 과정을 바탕으로 식물의 구조와 기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관련 그림 자료를 따라 그려보며 수업 내용의 전반을 텍스트를 활용하여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경우 눈으로 직접적인 관찰이 어렵고 실험을 바탕으로 검증하기에 어려운 수준의 과제가 많다. 오히려 과학 관련 텍스트를 충실하게 읽고 관련 영상이나 그림을 살펴보고 개념을 확장해 나가도록 수업을 구조화했다.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을 살펴보면 학습한 내용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물론 교과서 상에 제시되어 있는 실험은 필요에 따라 수행하며 수업을 진행했다. 뿌리, 줄기, 잎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1:1 피드백을 거쳐 학습지를 정리하고 완성하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전에는 뿌리, 줄기, 잎에 대한 하위 개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음(예: 꽃-장미, 벚꽃, 해바라기), 분류가 명확하지 않으며 식물의 기능에 대해서는 언급된 내용이 없음.
(수업 전, 개념도 테스트 결과물: 빈종이에 식물에 하면 떠오르는 것을 적음)
수업 후에는 식물의 구조에 따라 뿔리, 줄기, 잎, 꽃, 열매로 구분하여 학습 내용이 정리된 것을 파악할 수 있음, 학습 결과물이 체계화되어 있고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세밀한 기록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수업 후, 개념도 테스트 결과물: 빈종이에 식물에 하면 떠오르는 것을 적음)
식물의 구조와 기능을 나타내는 식물 그림책 만들기
프로젝트 운영 결과
본 프로젝트는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림책의 서사 구조를 활용하여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학습 결과물 전반에 이야기를 만드는 서사적인 이해가 부족한 학생은 그림책 만들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부족한 이해 수준임에도 식물의 구조와 기능별로 개념 형성이 명확하게 되어 있는 모습을 자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한 내용을 자신의 삶과 연결지어 해석할 수 있는 힘이 있다면 더욱 의미있는 수업이 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