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의 인공물과 자연물을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재미있게 관찰하고, 대상을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도구를 활용해 보도록 한다.
같은 대상을 관찰하여도 사람마다 생각과 느낌이 다르므로 이를 작품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공유함으로써 심미적 감성 역량을 신장시키도록 한다.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봄을 맞아 친구들은 선생님과 함께 학교 한바퀴를 돌며 봄을 만끽했어요. 학교를 한 바퀴 돌면서 어떤 친구들은 연못에서 잉어를 보고 신기해했고, 어떤 친구들은 화단의 꽃을 보며 예쁘다고 감탄했어요. 각자 학교를 돌아보면서 관찰하고 느낀 것을 표현해보기로 했는데, 학생들마다 그림, 시, 글, 사진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싶어했어요. 그래서 우리는 관찰하고 느낀 것을 자기만의 방법으로 자유롭게 표현하기로 했어요. 그리고 표현한 작품을 학급 게시판에 게시해서 함께 감상하기로 했어요.
<미션!>
1. 꼬마 과학자가 되어 오감과 도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대상을 자세히 관찰해 기록해보세요.
2. 꼬마 작가가 되어 관찰하고 느낀 점을 생생하게 표현하기 위해 감각적 표현을 넣어 시화를 완성해 주세요.
감각기관을 활용하여 대상을 자세히 탐구하고, 탐구한 대상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표현한다.
[4미01-01]자연물과 인공물을 탐색하는데 다양한 감각을 활용할 수 있다.
[4미01-02]주변 대상을 탐색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4미03-03]미술 작품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발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4국05-01] 시각이나 청각 등 감각적 표현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4국02-05] 읽기 경험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태도를 지닌다.
과학적 탐구 방법 중 관찰
심미적 감성 역량
- 문화 향유:오감으로 탐색한 자연물과 인공물의 특징과 느낌을 말, 소리, 몸짓으로 표현하기
고차적 사고 역량
- 창의적 사고:오감으로 탐색한 것을 감각적 표현을 활용하여 시로 쓰고 나누기
- 탐구(관찰):여러 가지 감각기관과 관찰 도구를 사용하여 관찰하기
1) 눈, 귀, 손으로 우리 학교 관찰하기
2) 입, 코로 우리 집 맛과 향기 관찰하기
3) 도구를 사용하여 자세히 관찰하기
4) 관결 결과를 시화로 표현하기
한 문장 쓰기 연습, 감각적 표현 연습하기
우리 주변에서 어떠한 현상이나 대상을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그것에 관한 흥미를 유발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해석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관찰은 모든 탐구의 기본이며 출발점이 된다.
관찰: 탐구 대상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 보는 것이며, 나의 생각이나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은 관찰 결과가 아니다.
관찰 할 때는 눈,코, 입, 귀, 피부의 여러 가지 감각 기관을 사용한다.
한 문장 쓰기 연습, 감각적 표현 연습하기
감각적 표현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기 위해서는 문학 작품 속에서만 감각적 표현을 다룰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대화나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의성어와 의태어, 비유적 표현을 비롯해 감각을 구체화하고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안내 한다.
-도구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싶은 인공물을 친구들과 토의하고 정한다.
-과학실에서 현미경, 돋보기, 확대경, 루페를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인공물의 크기, 색깔, 모양 등을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한다.
-관찰 결과를 기록할 때는 기존에 알고 있었던 것보다 도구를 이용해서 관찰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을 자세히 기록한다.
-과학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활용하여 꼬마 작가가 되어 감각적 표현을 활용하여 재미있게 표현해 본다.
-시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시를 읽고, 낭송해 본다.
-사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하고 관찰한 인공물과 자연물의 관찰 결과를 활용하여 여러 차례 시를 쓰고 낭송 해 보았다.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과학적 관찰 결과를 소리와 모양 등을 흉내내는 말인 '감각적 표현'과 공통의 속성을 지닌 다른 사물에 빗대는 표현하는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시로 적고 시화로 표현함으로써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활동으로의 확장을 통해 심미적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
-관찰 결과 감각적 표현을 넣어 시로 표현하기
-각각의 활동들이 그 자체로 끝나는 단편적인 활동이 아니라 이성적인 활동에서 감성적인 활동으로 확장되어 과학적 탐구 능력과 더불어 문학적 감성, 심미적 역량까지 아우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평소에 무심코 지나치거나 이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주변 환경과 사물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거나, 또는 평소에 쓰지 않던 새로운 관찰 도구를 사용하여 봄으로써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서 의미 있었다.
-꼬마 과학자가 도구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곡물, 학용품, 식물을 관찰할 때 확대경, 현미경등 처음 접해보는 도구의 특징과 사용법을 이해하지 못해 관찰의 어려움이 있었다. 실험 도구의 사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 줄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 꼬마 작가가 되어 감각적 표현을 사용하여 시를 쓰는 것은 좋아하고,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작품이 나왔지만 학생들은 시의 형식에 맞춰 띄어쓰기하는 것과 행을 바꾸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3학년 수준에서 서 글의 의미에 맞게 연과 행을 나누는 것은 어려운 과제 였고, 교사와 함께 여러 차례 낭독하며 수정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보람있는 수업이였다고 생각한다.
-오감을 활용하여 관찰할 때 맛과 향기 부분은 코로나 상황으로인해 학교에서 할 수 없어, 가정과 연계하여 운영하였다. 이 부분이 조금 미흡했던 점이과 아쉬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