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개요
본 프로젝트는 12살 어린이의 눈으로 바라보는 인권과 법에 대한 이야기를 콘셉트로 기획되었다. 사회과에서 인권, 법, 헌법과 관련된 내용은 추상적이고 아이들의 삶과 거리감이 있다. 교과서 내용 역시 국내외 인권 보장 사례와 법, 헌법과 관련된 무거운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어 학생의 삶과 거리감을 좁히는 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나, 학교, 사회’로 공간적인 배경을 서서히 확대해나가며 학생의 눈높이에서 인권과 법을 조망하고, 아이들의 삶과 연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예컨대, 인권의 정의, 인권 보장, 인권 감수성 기르기, 법의 필요성, 학칙 개정과 같은 실제 사례를 깊이 있게 탐구하여, 12살 어린이의 일상에서 인권과 법의 의미를 발견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프로젝트 목표
인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며, 인권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나, 학교, 사회로 공간을 확대하며 인권 보장 및 충돌 사례를 탐구하고 법의 역할을 탐색할 수 있다.
12살, 내가 속한 공동체의 인권을 신장할 방법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관련 교과 및 성취기준
(사회)
[6사02-01]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던 옛 사람들의 활동을 탐구한다.
[6사02-02] 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탐구하여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보호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6사02-03] 인권 보장 측면에서 헌법의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고, 그 중요성을 설명한다.
[6사02-04] 헌법에서 규정하는 기본권과 의무가 일상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권리와 의무의 조화를 추구하는 자세를 기른다.
[6사02-05] 우리 생활 속에서 법이 적용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법의 의미와 성격을 설명한다.
[6사02-06] 법의 역할을 권리 보호와 질서 유지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법을 준수하는 태도를 기른다.
(국어)
[6국01-02] 의견을 제시하고 함께 조정하며 토의한다.
(도덕)
[6도03-01] 인권의 의미와 인권을 존중하는 삶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권존중의 방법을 익힌다.
중점 역량
공동체 역량: 참여와 책임(학교규칙 정하고 준수하기, 학생 자치), 나눔과 배려(다른 관점을 인정하고 수용하기)
주제망
프로젝트 실행1- What? 인권!(인권 탐구)
인권이란? ...
목기린씨는 버스를 꼭 타야하나?
목기린씨만 안탈수는 없으니, 모두 타지 말자.
모두 안타는건 너무하니, 그냥 목기린씨만 타지 말자.
모두 다 버스를 타자.
그렇다면,, 내가 목기린씨라면 버스를 꼭 타야하나?
'인권'은 왜 생겨났을까?
인권이란?
'인권 침해'에 대해 생각하다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프로젝트 실행2 - Why? 인권!(인권 감수성)
인권감수성 게임- ㅅㅎㅈㅇㅈ, ㅅㅅㅈ 의미 알기
-역할 뽑기: 키크고 잘 생긴 백인 남성, 나이가 많이 움직임이 불편한 노인 등
-차별상황 제시: 가고싶은 장소에 어려움없이 간다, 먹고 살 걱정을 크게 하지 않는다 등
-권리를 보호받는 그룹과 그렇지 못한 그룹으로 나뉘면, 혜택을 차등 지급 함
정의로운 사회란?
모든 사람이 동등한 권리를 누리게 하는 사회적 장치 조사
목기린씨 이야기 다시 읽기
목기린씨 이야기 속에서 인권을 보호하려는 인물들의 노력 찾기
세계인권선언문, 어린이말로 바꿔보기
프로젝트 실행3 - How? 인권!(인권 실천)
인권을 보호하는 방법
-간디, 만델라, 테레사 등 인권활동가와 권기옥, 바비깁 등 선구자들의 삶 조사하고 공유하기
-인권 보호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약속만으로 인권을 보호할 수 있을까
-법의 필요성, 법을 바꾸거나 다시 만들 수 있음을 알기
인권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까?
손바닥 헌법책
국민 양형체험 프로그램
12살, 인권의 주인공이 되다
나의 인권, 우리의 인권은 잘 보장되고 있는가
-학생생활규정을 살펴보고 우리의 인권 생각하기
'학생 인권 박람회' 개최!
-4,5,6학년이 함께 만드는 학생 인권 박람회
-5월 18일 수요일, 강당으로 오세요!
우리학교 학생생활규정을 살펴보고 개정안 만들기
박람회에서 나의 의견을 설명할 시나리오 작성하기
4,5,6학년의 의견 수렴하기
인권프로젝트를 마친 소감문
프로젝트 돌아보기
인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조금씩 인권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 짜릿한 감정을 느끼고, 학년 협의회 시간이 되면 그 느낌을 5학년 선생님과 공유하면서 프로젝트 수업의 의지를 불태웠다. 학생들도 우리 교사들처럼 동화 속의 인물이 되었다가, 과거 어느 시점의 차별을 반대하는 인권 활동가가 되었다가 다시 나의 삶으로 돌아와 학교 규칙을 돌아보게 되면서 분명 우리 교사들처럼 짜릿한 느낌을 갖는 소중한 경험이었을 거라고 믿어의심치 않는다.
올해 인권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인권 감수성을 길러 실제 생활속에서 인권의 의미를 내 삶 속의 이야기로 인지하고 나와는 다른 관점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보다 성숙한 시민사회의 일원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학생 인권 박람회를 통해 학생생활규정이 나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나의 인권 신장을 위해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란다. 또한 나와 주변 사람들의 인권을 위해서 작은 노력이라도 실천하는 모습으로 자신을 성장시키고 배움을 확장하는 5학년이기를 바란다.
성장을 기대하며
솔직히 처음부터 공동체 역량을 신장하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진행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결과론적으로 수많은 토의와 토론이 이어졌고, 실질적인 사례를 탐구하면서 어느 순간 대부분의 아이들이 인권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다시 시작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프로젝트 수업은 끝났지만, 학교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의 인권 이야기는 끝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