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독자의 시작!
나는 책을 스스로 선택한다.
나는 전략적으로 책을 빌린다.
나는 책을 끝까지 읽는다.
나는 친구들과 책에 대해 나눈다.
[4국05-05] 재미나 감동을 느끼며 작품을 즐겨 감상하는 태도를 지닌다.
[4국02-05] 읽기 경험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태도를 지닌다.
[4국02-03] 글에서 낱말의 의미나 생략된 내용을 짐작한다.
[4국04-01] 낱말을 분류하고 국어사전에서 찾는다.
[4도01-02] 시간과 물건의 소중함을 알고
자신이 시간과 물건을 아껴 쓰고 있는지 반성해 보며 그 모범 사례를 따라 습관화한다.
학생 스스로 책을 선정해 읽고 생각을 나누고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독서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한다.
이야기 글과 정보 글로 구분하여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읽기 전략을 익히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도록 한다.
궁극적으로 독서 습관과 태도를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양질의 독서 활동을 수행하는
자립형 독자를 육성하고자 하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적이 있다.
프로젝트 시작: 독서에 대한 생각과 평소 읽기 경험 돌아보기
Q1: 책을 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A: -똑똑해지니까(5명)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12명)
-생각, 상상력, 이해력이 길러지니까(9명)
Q2: 평소에 어떻게 책을 고르나요?
A: 표지(5명), 작가(1명), 주제나 내용(19명), 기타(3명-기분, 책의 종류 등등)
Q3: 위의 기준으로 책을 골랐다가 안 좋았던 경험이 있나요?
A: 있다(22명)
"표지 그림만 보고 재미있어 보여서 골랐는데 기대했던 내용이 아니어서 실망한 적이 있어요.(김**)"
"제목 보고 골랐다가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 중간에 포기한 적이 있어요.(이**)"
"주제가 제가 좋아하는 것이어서 골랐는데 단어가 너무 어렵고, 양이 많아서 이해하기 힘들었어요.(정**)"
나의 평소 독서 습관 점검하기 활동
일주일 동안 독서습관 점검하기
[북매치 전략 1차 사용 소감]
1. 기준을 사용해서 책을 빌리니까 머리로 생각해서 빌리는 것 같았다.(최**)
2. 만화책 말고 다른 책에도 관심이 간다. ( 김**)
3 .만화책을 주로 읽었는데 전략을 세워서 책을 선택하니까 조금 어려웠다. (위**)
4. 나에게 더 적절한 책을 빌릴 수 있었다. (안**)
5. 기준을 가지고 책을 빌리니까 나에게 맞는 책을 빌릴 수 있는 것 같다.(조**)
6. 앞 표지만 보고 책을 빌렸는데 더 많은 것을 보고 책을 빌리게 되었다. (오**)
7. 만화책만 보다가 주제도 생각해야 하고, 생각할 거리가 많았다(정**)
8. 어려운 책을 고르는 경우도 있었는데 나에게 좀 더 적합한 책을 알 수 있었다(진**)
9. 여러 책을 고민해서 읽을 수 있게 되었다(노**)
10. 예전에는 얇은 책만 빌렸는데 기준을 생각하고 빌리니까 두꺼운 책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연**)
[북매치 전략 2차 사용 소감]
1. 오늘은 똑같은 작가가 쓴 책을 여러 권 빌렸다. (김**)
2. 어제는 두꺼운 책을 빌려서 조금 힘들었는데
오늘은 나에게 적당한 두께의 책을 빌렸다. (조**)
3. 정해진 시간 안에 책을 분석하고 학습지를 끝내야 해서 힘들었다.
도서관에서 천천히 시간을 보내고 싶었다.(선우**)
4.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어서 좋았다.(장**)
5. 평소에는 정보 글, 이야기를 모두 빌렸는데 오늘은 이야기글만 빌렸다.(신**)
6. 도서관에 책이 많아서 선택하기가 힘들었다.(박**)
7. 전략이 없을 때는 내가 좋아하는 책만 빌렸는데 전략을 사용해서 읽으니까 좋아하는 책 중에서 나에게 적합하지 않은 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작가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이**)
8. 내가 이야기 글만 좋아하는 줄 알았는데 내가 이야기 글만 좋아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박**)
[계획을 세우서 읽으면 좋은 점]
1. 재미있는 책을 찾아서 좋다(김**)
2. 그냥 책을 빌릴 때는 재미가 없었는데 계획을 세워서 빌리니까 뿌듯하다.(신**)
3.책을 끝까지 읽지 못했는데 많이 읽게 되는 것 같다. (정**)
4. 책을 조금 읽고 반납했는데 일주일동안 읽게 되는 것 같다. 허리가 아파요.(조**)
5. 두꺼운 책도 계획대로 읽으니까 다 읽게 되는 것 같다(신**)
6. 계획을 세워서 읽으니까 끝까지 읽을 수 있는 책이 많아진 것 같다.(조**)
7.조금씩 읽게 되어서 좋다.(안**)
8. 선생님이 읽으라고 잔소리 하지 않아서 좋다.(대부분 학생)
9. 쪽수 많은 책도 술술 읽을 수 있게 되었다(조**)
10. 책을 읽어서 머리가 맑아진 기분이다.(이**)
11. 옛날에는 읽다가 포기했는데 이제는 끝까지 읽게 되었다.
12. 두께가 얇은 책만 읽다가 두꺼운 책도 읽을 수 있게 되었다.(김**)
이야기 책 읽고 내용 요약해서 정리하기
이야기 책 읽고 인상깊었던 장면 그리기 활동
정보 책 읽고 내용 내용 요약해서 정리하기
아무책 챌린지 활동 사진들
[아무 책 챌린지] 후 나에게 달라진 점
1. 나도 두꺼운 책을 술술 읽게 되었다. 읽다보니까 책이 재미있어졌다.(신**)
2. 책의 두께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없는데 나에게 맞는 책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강**)
3. 배드민턴 책을 읽고 나의 기술력이 조금 향상된 것 같다.(안**)
4.계획을 짜면서 읽으니까 더 많은 책을 읽게 되었다.(노**)
5. 1학년때는 책을 천천히 읽었는데, 지금은 책 읽는 속도가 빨라졌다. 하지만 가끔 모르는 것도 있다. (이**)
6. 3권을 다 읽지 않고 반납 했지만 지금은 계획적으로 읽으니까 다 읽고 반납을 한다.(연**)
7. 책 읽는 것이 더 좋아졌다. 그냥 재미있어졌다. (이**)
8. 정보책을 안 읽었는데 정보 책을 읽게 되었다. 다음에도 정보 책을 읽어 보고 싶은 생각이 조금 든다.(오**)
9. 옛날에는 책을 안좋아했는데 책이 좋아졌다. 처음에는 억지로 읽었지만 계속 읽다보니 좋아졌다. (장진훈)
10. 옛날에는 끝까지 읽지 않았는데 지금은 책을 끝까지 읽게 되었다. 아무 책 챌린지가 끝나도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김**)
11. 쪽수를 나누어서 읽으니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었다. (김**)
12.책을 읽고 내용을 정리하니 책 애용을 더 오래 기억할 수 있어 좋았다.(이**)
프로젝트 전략 4. 십진분류표를 활용하여 책 고르기
독후감을 써서 읽은 책 소개하기
[아무책 챌린지 프로젝트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
읽을 책을 스스로 선정하고, 선정한 책을 자신이 세운 계획에 따라 읽고, 다 읽은 후에 내용을 정리하고 친구들과 나누기까지 독서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주인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점에서 자기주도적인 태도와 높은 참여도, 그리고 끝까지 활동을 완수하려는 책임감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오롯이 책과 독서에 집중함으로써 보다 밀도 높은 독서활동과 독서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책을 끝까지 읽는 완독의 경험을 하고, 책이 재미있어진 것 같다고 이야기 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보람을 느꼈다. 하지만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책 선택 전략을 지도하기보다는 학습자들의 독서 과정에서 내면화 되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꾸준히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한 달이라는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독자로서 나에 대한 평가, 책을 읽는 방법 알아보기, 다양한 종류의 책 분류법, 독서 활동을 해 보면서 아이들이 책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읽고 싶은 마음을 가질 수 있었다. 아이들이 책을 읽는 기쁨과 뿌듯함을 느끼는 모습을 보며 앞으로도 꾸준히 독서를 하도록 격려하고 방법을 안내해야겠다고 느꼈다.
짧은 시간이지만 학생들의 독서 동기가 더욱 분명해지고 자신이 읽는 책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읽는 자세가 더욱 진지해졌다. 책을 읽고 이야기의 줄거리를 더 잘 간추릴 수 있게 되었으며, 정보글을 읽을 때에도 글을 읽고 난 뒤에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를 스스로 반문하는 등 독서 후 내면화 되어 가는 모습이 나타나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