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쪽
투호 놀이를 한 경험 이야기하기
(1)투호 놀이를 본 경험, 직접 한 경험을 이야기해 본다.
예: 설날에 민속촌을 구경하러 가족들과 갔는데 그곳에서 투호 놀이를 해 봤어요.
유치원 다닐 때 친구들과 투호 놀이를 해 봤어요.
뉴스에서 투호 놀이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어요.
학생 건강 상태 확인하기
(1)몸이 아프거나 놀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학생이 있는지 확인한다.
(2)활동하기 어려운 학생은 친구들의 놀이 활동을 관찰하며 간접 경험을 하거나 상황에 따라서 심판의 역할을 할 수 있
다.
준비 운동하기
(1)음악에 맞추어 어깨, 팔, 손목, 다리, 발목 등 주요 움직임과 관련한 관절을 충분히 풀어 준다.
(2)운동장을 걷거나 손을 흔들면서 가볍게 뛴다.
(1) 투호 놀이 방법과 규칙을 안내한다.
① 두 편으로 나눈다.
② 출발선 5~6m 앞에 통을 놓는다.
③ 화살을 던져 넣는다.
④ 가장 많은 화살을 통 안에 넣은 편이 승리한다.
(2) 필요한 투호 놀이의 규칙을 이야기해 본다.
예: 출발선을 넘어가면 안 돼요.
통 속에 들어갔다가 튕겨 나오는 화살은 무효예요.
투호 놀이를 할 때 주의할 점 이야기하기
(1) 투호 놀이를 할 떄 주의할 점을 이야기해 본다.
예: 화살을 친구가 있는 방향으로 던지지 않아요.
화살로 장난을 치지 않아요.
화살 이외에 다른 물건을 넣지 않아요.
잘 못하는 친구를 놀리지 않아요.
투호 놀이 도구 탐색하기
① 통과 화살을 만져보고 촉감과 무게가 어떤지 살펴본다.
② 화살의 모양을 살펴보고 어떻게 잡고 던지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
본다.
( 1 ) 화살을 잡고 던지는 연습을 해 본다.
( 2 ) 화살이 어떤 모양으로 날아갈 때 통에 들어가는지 생각하며 이야기
해 본다.
( 3 ) 친구들의 이갸리르 들은 후 다시 연습해 본다.
-처음부터 5~6m의 거리에 있는 통에 화살을 던지면 넣지 못해 속상
해하는 학생이 있을 수 있다. 화살 던지는 연습을 하는 모습을 관찰
한 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 4 ) 운동장 한 가운데 원(지름1m)을 그리고 2~3m정도 떨어져서 화살을
원 안에 넣는 놀이를 해 본다.
( 1 ) 편을 나누고 투호 놀이를 시작한다.
-학급 학생들의 수준에 적당한 거리에서 투호 놀이를 시작하면 학생들
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이후에 점차 출발선과 통의 거리를 넓혀 가
면 자신감을 가지고 놀이에 참여할 수 있다.
( 2 ) 자신의 순서를 기다릴 때에는 통에 화살을 잘 넣는 친구의 동작을 관찰한다.
정리 운동하기
(1)편안한 음악과 함께 주로 사용한 어꺠와 손목 관절을 이완시키는 정리 운동을 한다.
투호 놀이를 한 소감 이야기하기
(1)투호 놀이를 한 소감을 이야기해 본다.
(2)투호 놀이를 할 때 어려웠던 점과 어떻게 해결했는지 이야기해 본다.
예: 화살이 계속 바닥으로 가서 어려웠는데 소진이가 던지는 모습을 보고 팔을 위로 쭉 뻗었더니 위로 날아갔어요.
화살을 쥐는 손 모양을 다르게 했더니 정확한 방향으로 날아갔어요.
한 사람당 세 개의 종이비행기를 접는다.
출발선 5~6m 앞에 상자를 놓고 종이비행기를 날려 상자 안으로 넣는다.
가장 많은 종이비행기를 상자 안에 넣는 편이 승리한다.
우유갑의 위쪽 부분을 잘라 내고 바깥 면을 전통 문양으로 꾸민다.
빨대의 한쪽 끝에 고무찰흙을 붙여 화살을 만든다.
출발선 1m 앞에 우유갑 투호 통을 놓고 앉아서 미니 투호 화살을 던져 통 안으로 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