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쪽
준비 운동하기
(1)손목과 발목, 팔, 다리, 무릎, 허리, 목, 어깨, 가슴 등 신체의 여러 부위를 충분히 스트레칭한다.
(2)음악에 맞추어 다 함께 강당을 한 바퀴 가볍게 뛰면서 준비 운동을 한다.
고무공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1)잘 튀어 오르는 고무공을 가지고 놀아 본 경험을 이야기한다.
- 예) 유치원 때 해 본 탱탱볼 축구 놀이, 수영장에서 탱탱볼로 물놀이했던 경험
(2)잘 튀어 오르는 고무공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야기한다.
- 예) 바닥에 잠깐 닿았다가 빨리 올라온다, 힘을 주는 만큼 높이 올라온다.
(3) 잘 튀어 오르는 고무공을 잘 잡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 예) 공을 계속 집중해서 바라보고 공을 향해 달린다.
(1)고무공을 만지며 촉감을 느껴 본다.
(2)혼자 머리 위로 높이 던져 고무공을 잡아 본다.
①교사가 일정 간격으로 호루라기를 불고, 호루라기의 신호에 맞추어 학생들은 고무공을 머리 위로 한 번 던져 잡는다.
②충분히 성공하면 더 높이 던져서 잡아 보며 연습한다.
(3)바닥에 한 번 튀겨 잡기
①교사가 일정 간격으로 호루라기를 불고, 호루라기의 신호에 맞추어 학생들은 허리 아래로 공을 한 번 튀겨서 잡는다.
②세게 → 약하게 던져 보면서 나의 힘에 따라 달라지는 공의 움직임 느낀다.
(4)힘을 달리하며 튀겨 보기
①있는 힘껏 튀기고 공의 움직임 관찰하기
②약하게 떨어뜨리고 공의 움직임 관찰하기
❇️고무공의 수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짝 또는 모둠을 이루어 순서를 정하고 활동하는 친구의 자세를 확인해 주거나 숫자를 세어주는 등으로 활동하게
(1)2인의 학생이 짝이 되어 모둠을 이룬다.
(2)교사는 시간 기록기나 음악을 켜고 활동의 시작을 알린다.
(3)주어진 시간 동안 짝과 공을 바닥에 한 번 튀기고 주고받은 횟수를 센다.
(4)시간이 끝나면(혹은 음악이 끝나면) 각자 모둠별로 몇 번 성공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주고 받았는지 이야기해 본다.
❇️2인 1조뿐만 아니라 3인 / 4인 등 팀 협력 활동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거리를 좁혀서 해 보도록 지도하며 반대로 쉬워하는 학생들은 거리를 넓게 해서 해 보도록 지도한다. 팀의 구성을 바꾸어 다시 진행해 볼 수도 있다.
⚠️유의 사항⚠️ 횟수가 많을수록 이기고 적을수록 지는 승부가 중요한 놀이가 아니라 친구와 함께 협동해서 공을 주고받으며 느끼는 즐거움을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점을 강조하여 지도한다.
정리 운동하기
(1)심호흡을 하며 진정하고 이완하는 정리 운동을 한다.
(2)사용한 공 등 주변을 정리한다.
공 던지고 받기 놀이를 하면서 느낀 점 발표하기
(1)공 던지고 받기 놀이를 하면서 어떤 점이 재미있었는지, 친구와 함께 놀이를 할 때 지켜야 할 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한다.
(2)친구와 함께 놀이를 할 때에는 어떤 점을 잘 지켜야 할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놀이 방법
(1)깊고 넓은 벽이 있는 장소에서 활동한다.
(2)학생들을 4개의 모둠으로 나눈다.
(3)각 모둠은 벽을 향해서 줄을 서고 출발선 앞에서 기다린다.
(4)각 모둠별로 2m 이상 넓은 간격을 유지한다.
(5)교사가 부는 호루라기에 맞추어 발로 공을 찬다.
(6)벽에 부딪혀 튕겨 굴러오는 공을 함께 달려가 잡는다.
(7)잡은 공을 다음 순서의 친구에게 전달해 준다.
(8)마지막 순서의 친구까지 먼저 공을 다 전달한 모둠이 승리한다.
(9)모둠을 달리 구성하여 반복 활동한다.
⚠️유의 사항⚠️
①모둠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반 전체가 함께 모둠이 되는 놀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
②학생이 공을 발로 찰 때 축구하듯이 너무 세게 차는 것이 아닌 굴리는 정도로 찰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③공을 향해서 달려갈 때 옆 사람과 부딪히지 않게 조심하도록 한다.
④학생들마다 공을 차는 힘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모둠을 균형있게 구성한다.
⑤공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방법을 변형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