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쪽
⑴ 목부터 가슴, 허리, 팔, 다리 등 몸의 여러 부위를 풀어 준다.
⑵ 신발 바닥이 미끄럽지 않고, 뒤축이 막혀 있는지 확인한다.
⑴ 교사가 미리 구성한 모둠을 안내하고, 학생들은 모둠별로 줄을 선다.
⑵ 줄다리기를 해 본 경험을 이야기한다.
🪄 모둠 구성 시 몸무게, 성비 등을 고려한다.
⑴ 코퍼 밴드를 바닥에 원 모양으로 놓는다.
⑵ 8~10명의 학생들이 코퍼 밴드를 따라 비슷한 간격으로 떨어져 바닥에 앉는다. 이때
두 무릎은 편 상태이다.
⑶ 학생들은 코퍼 밴드가 각자의 무릎에 위치하도록 앉은 채로 몸을 움직인다.
⑷ 코퍼 밴드를 두 손으로 잡고 교사의 구호나 노랫말(머리-어깨-무릎-발-무릎-발)에
따라 무릎, 배, 어깨, 이마, 발 등에 줄이 위치하도록 당겼다 푼다.
🪄파도타기가 되지 않도록 교사의 구령에 맞춰 움직이며, 그대로 3초 유지하기, 점차
속도 높이기 등 변화를 주며 활동한다.
⑸ 코퍼 밴드를 허벅지에 위치시키고 무릎을 세운 후 상체를 바닥에 눕힌다. 구령에 맞
추어 윗몸 일으키기를 한다.
⑹ 반대 방향으로 누워(머리가 원 안쪽으로 모이게), 두 손 혹은 한 손으로 밴드를 잡고
머리 위로 올렸다가 다시 몸쪽으로 당기기를 반복한다.
⑴ 일어선 상태에서 손바닥이 땅을 보는 방향으로 줄을 위에서 아래로 움켜쥔다. 이때
양팔은 어깨너비 정도로 벌린다.
⑵ 다리 또한 어깨너비 정도로 벌리고 무릎을 충분히 구부려 허벅지를 땅과 나란하게
만들고, 몸을 뒤로 젖힌다.
⑶ 신호에 맞추어 줄을 당기기 시작하며, 이때 줄이 학생의 몸쪽으로 당겨지거나 끌리
면서 한쪽 다리가 앞이나 뒤로 움직인다. 이때 무게 중심을 뒤쪽 다리에 두어 자신의
몸쪽으로 끌어당긴다.
⑴ 교사가 경기 신호를 보여 주며 각 신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⑵ 두 모둠이 앞으로 나와서 교사의 신호에 맞추어 움직이고 나머지 모둠은 바라본다.
① 집합: 선수들이 순서로 입장하고 정렬한다.
② 줄잡기: 선수들은 줄을 잡는다.
③ 팽팽하게 하기: 자세를 취하고 줄을 팽팽한 상태로 만든다. 선수는 다리나 몸을 움
직이지 않아야 한다.
④ 유지: 경기가 시작되기 직전 줄을 팽팽하게 당기며 대기하는 상태로, 서로 줄을 잡
아당겨 뒤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⑤ 당기기: 머리 위로 올려진 두 손을 재빠르게 내리면 이 신호로 시합을 개시한다.
⚠️ 유의 사항
줄다리기는 생각보다 부상의 위험이 있는 운동이다. 따라서 사전에 학생들이 주의 사항을 잘 숙지하도록 강조한다. 줄을 잡은 손에서 갑자기 힘을 빼거나 줄을 놓으면 상대 모둠이 넘어져 다칠 수 있음을 안내한다.
⑴ 두 모둠이 신호에 따라 움직이며 경기를 시작한다.
⑵ 모둠끼리 구령에 맞추어 힘을 주어 당긴다.
⑶ 나머지 모둠도 대결을 진행하고, 이긴 모둠끼리 결승 경기를 진행한다.
⑴ 손 중심으로 온몸의 관절과 근육을 이완시키는 정리 운동을 한다.
⑴ 줄다리기를 하면서 어떤 점이 재미있었는지 이야기한다.
⑵ 어떻게 하면 줄을 세게 당길 수 있는지, 힘을 잘 모을 수 있는지 이야기한다.
⑴ 집합
신호: 두 손을 수평에서 위로 올린다. 선수들이 순서대로 입장하고 정렬
한다.
⑵ 줄 잡기
신호: 두 손을 앞으로 수평으로 뻗는다. 이 신호로 선수들은 줄을 잡는
다.
⑶ 팽팽하게 하기
신호: 손바닥을 안쪽으로 해 두 손을 머리 위로 올린다. 자세를 취하고
줄을 팽팽한 상태로 만든다. 선수는 다리나 몸을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⑷ 유지(경기가 시작되기 직전 줄을 팽팽하게 당기며 대기하는 상태)
신호: 머리 위로 올린 두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게 바꾼다. 이 신호로
서로 줄을 잡아당겨 뒤로 45도 각을 유지한다.
⑸ 당기기
신호: 머리 위로 올려진 두 손을 재빠르게 내린다. 이 신호로 시합을 개
시한다.
⑴ 구조물 줄다리기
코퍼 밴드만 단독으로 사용하여 줄다리기를 하면 한쪽 방향으로 줄이 쏠리면서 넘어질 위험이 크다. 하지만 중간에 무게감이 있는 구조물을 두고 양쪽으로 코퍼 밴드나 줄을 묶어 사용하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⑵ 삼각콘 위의 공 가져오기
① 한 학생은 코퍼 밴드를 잡고 버틴다.
② 두 학생이 각각 밴드 하나씩을 배에 걸치고 공을 향해 뛴다.
③ 먼저 삼각콘 위에 놓인 공을 잡는 학생이 이긴다.
④ 한 밴드에 두 학생이 들어가 등을 맞댄 후 먼저 공을 잡으면 이기는 방식으로 할 수
도 있다.
⑶ 모양 만들기
학생들이 협동하여 세모, 네모, 별, 집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을 정해진 시간 안에 완성한
다.
⑷ 엮인 밴드 사이 통과하기
① 학생 두 명이 밴드 끝을 양쪽에서 잡고 살짝 엮어 준 후 그대로 들고 앉는다.
② 두 모둠은 차례를 정한 후 각 모둠의 첫 번째 학생은 밴드까지 뛰어가 밴드 사이를
손으로 당겨 벌린 후 몸을 통과시킨다.
③ 반환점을 돌고 다시 밴드를 통과하여 돌아오면 다음 학생이 릴레이를 이어 간다.
줄을 잡고 함께 힘을 모아 친구들을 올려주는 놀이이다.
⑴ 준비물: 보조 밧줄, 슬링
① 모두 하나씩 밧줄을 나누어 가진다.
② 걸매듭, 옭매듭 만들기를 연습한다.
③ 10~15명 정도의 인원으로 조를 나눈다.
④ 선생님은 슬링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엉덩이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원을 만든다.
⑤ 원 위에 걸매듭을, 반대편에는 옭매듭을 한다.
⑥ 원(슬링)을 중심으로 비슷한 간격으로 띄워서 둥글게 앉는다.
⑦ 모두 밧줄의 끝 쪽인 옭매듭을 잡고 팔을 쭉 펴고, 편한발을 살짝 앞쪽으로 둔 채
줄을 당기며 일어서는 연습을한다.
⑧ 충분한 연습이 되었으면 밧줄을 바닥에 가지런히 놓고 쪼그려 앉는다.
⑨ 학생 한 명이 가운데 슬링에 엉덩이를 놓고 다리는 밧줄사이에 벌려 앉는다.
⑩ “하나, 둘, 셋” 구호에 맞춰 다 같이 일어난다.
⑪ “○○야, 사랑해! 고마워! 행복해!”를 외치며 친구를 들어올린다.
⑫ 구호를 2~3번 반복하며 놀이를 한 후 조심히 바닥에 내려준다.
⑬ 다음 학생이 반복한다.
⑶ 응용: 밧줄 위에 공을 올려 두고 옮기거나 튕기기, 원 위에 서서 균형을 잡는 놀이로
도 응용할 수 있다.
⑷ 유의점: 주변에 있는 위험물을 제거해야 하며, 너무 힘차게 올리면 위험하므로 주의
가 필요하다.
⑴ 놀이 방법
① 학생들을 흩어지게 한다.
② 모둠발로 하나, 둘, 셋 뛴 후 만나는 친구와 가위바위보를 한다.
③ 진 사람은 이긴 사람 뒤에 가서 허리를 잡는다.
④ 다시 두 명은 동시에 모둠발로 하나, 둘, 셋 뛴 후 만나는 친구와 가위바위보를 한
다.
⑤ 진 쪽이 이긴 쪽 뒤에 가서 허리를 잡는다.
⑥ 네 명이 한 팀이 되면 또 다른 네 명 팀을 만나 맨 앞 사람들끼리 깍지를 끼고 서로
당길 준비를 한다.
⑦ 시작 신호와 함께 서로 잡아당겨서 끌려오거나, 줄이 끊어지는 팀이 진다.
⑵ 응용
① 1:1, 2:2, 3:3 등으로 인원수를 조절하여 인간 줄다리기 놀이를 한다.
② 팀의 인원수가 다르더라도(6예 두 명 팀과 한 명) 가위바위보를 할 수 있으며, 두
명 이상이 모이고 상대방 팀의 인원도 같다면 당기기 놀이를 한다.
⑶ 유의점: 승부는 대부분 줄이 끊어져서 판가름 난다. 교사나 진행자는 줄이 끊어지는
쪽을 주의 깊게 살폈다가 크게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