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쪽
준비 운동하기
(1) 손목, 발목을 중심으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충분하게 풀어준다.
(2) 한 발로만 선 채 자유롭게 움직이다가 교사가 호루라기를 불면 그대로 멈추어 균형을 유지한다.
⚠️ 유의 사항⚠️
학생들이 균형을 잡는 과정에서 몸을 이리저리 흔들 수 있다. 앞, 뒤, 양옆으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후에 균형 잡기를 해 본다.
사방치기와 관련한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1)사방치기 놀이에 대해 알고 있는 점을 이야기 나눈다.
예: 학교 운동장에 칸이 그려진 모습을 봤어요.
우리나라 전통 놀이예요.
엄마랑 아빠도 어렸을 때 해 봤대요.
(2) 어떤 놀이를 할 수 있을지 떠올려 본다.
예: 숫자를 말하면 그 숫자까지 뛰어 봐요.
숫자가 쓰인 순서대로 칸을 건너요.
운동장 위에 여러 칸을 그린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한 발로 뛰어 본다.
(1) 한 발로 교차해 가면서 뛰기
(2) 한 발로만 차례로 뛰기
(3) 한 숫자씩 건너서 뛰어 보기(1-3-5-7-9)
(4) 순서대로 뛰어갔다가 순서대로 돌아오기
⚠️ 유의 사항⚠️
한 발로 착지할 때 균형을 잃으면서 넘어질 수 있다. 이 때, 땅을 손으로 짚거나 하면서 다치기 쉽다. 너무 무리해서 멀리 뛰거나 높이 뛰지 않도록 안내한다.
정리 운동하기
(1)사방치기 놀이를 하며 다치거나 아픈 부위가 있는지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점검한다.
(2) 손목, 발목, 허벅지 등 사방치기를 하며 사용한 관절과 근육을 중심으로 정리 운동을 한다.
사방치기 놀이를 하면서 느낀 점 발표하기
(1) 사방치기 놀이를 하며 자신이 한 일을 자유롭게 발표한다.
예: 한 발로 1부터 8까지 뛰었어요.
선을 밟지 않고 칸 안에 들어가야 하는 규칙이 재미있었어요.
한 발로 서서 돌멩이를 집을 때 어려웠어요.
(2) 사방치기 놀이를 어떻게 새롭게 바꾸어 볼 수 있을지 제안한다.
예: 놀이판에 동그라미와 네모를 섞어서 그려 놀아요.
한 발 뛰기를 두 발 뛰기로 바꾸어서 뛸 수 있는 도움권을 만들어요.
돌멩이 대신 제기를 던져서 놀이를 해요.
말을 1에 던져놓고 앙감질로 1-2-3-4-5-6-7로 차 나간다. 7에서 다시 9로 찬 다음, 앙감질로 들어가 9-10-11-12-13-14-15-16-17-18-19-20-21의 순서로 차 나간다. 21에서 하늘로 차고, 어깨 너머로 말을 던져서 제 집을 만든다. 집이 많은 쪽이 이긴다.
📖출처 : 김광인(2004). 동아시아의 놀이. 서울:민속원
미국에서는 말을 쓰지 않는다. 한 발 뛰기로 1에서 24까지 갔다가, 되돌아서 1로 온다. 이를 마치면 아무 칸에나 자기 이름을 적는다. 이어 같은 과정을 마치면 다시 이름을 쓰며, 상대는 이를 뛰어넘어야 한다. 마지막에 이름이 많은 사람이 이긴다.
📖출처 : 김광인(2004). 동아시아의 놀이. 서울:민속원